yourweb
■ 소방시설 자체점검사항 등에 관한 고시[별지 제4호서식] | 소방시설등 | 작동점검[ ] 종합점검(최초점검[ ] 그 밖의 점검[ ]) | 점검표 |
| (7쪽 중 1쪽) | ※ 소방시설, 다중이용업란의 [ ]란에는 해당 시설에 √ 표를 한다. 점검결과란은 양호○. 불량X. 해당없는 항목은 /표시를 한다. | □ 특정소방대상물 | 건물명(상호) | | 대상물 구분 | | 소 재 지 | | | □ 소방시설등 점검결과 | 구분 | 해당설비 | 점검 결과 | 구분 | 해당설비 | 점검 결과 | 소화 설비 | [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 ]소화기구(소화기ㆍ자확ㆍ간이) [ ]주거용주방자동소화장치 [ ]상업용주방자동소화장치 [ ]캐비닛형자동소화장치 [ ]가스·분말·고체자동소화장치 | | 피난 구조 설비 | [ ]피난기구 [ ]공기안전매트ㆍ피난사다리 (간이)완강기·미끄럼대·구조대 [ ]다수인피난장비 [ ]승강식피난기 하향식피난구용내림식사다리 | | [ ]인명구조기구 | | [ ]옥내소화전설비 | | [ ]유도등 | | [ ]스프링클러설비 | | [ ]유도표지 | |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 [ ]피난유도선 | | [ ]화재조기진압용스프링클러설비 | | [ ]비상조명등 | | [ ]물분무소화설비 | | [ ]휴대용비상조명등 | | [ ]미분무소화설비 | | [ ]포소화설비 | | 소화 용수 설비 | [ ]상수도소화용수설비 | | [ ]이산화탄소소화설비 | | [ ]소화수조 및 저수조 | | [ ]할론소화설비 | | 소화 활동 설비 | [ ]거실제연설비 | | [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 | | [ ]부속실 등 제연설비 | | [ ]분말소화설비 | | [ ]연결송수관설비 | | [ ]강화액소화전설비 | | [ ]고체에어로졸소화전설비 | | [ ]연결살수설비 | | [ ]옥외소화전설비 | | [ ]비상콘센트설비 | | 경보 설비 | [ ]단독경보형감지기 | | [ ]무선통신보조설비 | | [ ]비상경보설비 | | [ ]연소방지설비 | | [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기 | | [ ]비상방송설비 | | 기타 | [ ]방화문, 자동방화셔터 | | [ ]통합감시시설 | | [ ]비상구, 피난통로 | | [ ]자동화재속보설비 | | [ ]방 염 | | [ ]누전경보기 | | 비고 | | [ ]가스누설경보기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2쪽) | □ 다중이용업소 안전시설등 점검결과 | 구분 | 해당설비 | 점검결과 | 구분 | 해당설비 | 점검결과 | 소화 설비 | [ ]소화기 또는 자동확산소화기 | | 비상구 | [ ]방화문 | |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 [ ]비상구(비상탈출구) | | 경보 설비 | [ ]비상경보설비 또는 자동화재탐지설비 | | 기타 | [ ]영업장 내부 피난통로 | | [ ]영상음향차단장치 | | [ ]가스누설경보기 | | [ ]누전차단기 | | 피난 구조 설비 | [ ]피난기구 | | [ ]창 문 | | [ ]피난유도선 | | [ ]피난안내도ㆍ피난안내영상물 | | [ ]유도등, 유도표지 또는 비상조명등 | | [ ]방염대상물품 | | [ ]휴대용비상조명등 | | 비고 | | | □ 점검업체(점검인력) 현황 | 구분 | 성명 | 자격구분 | 자격번호 | 점검참여일(기간) | 서명 | 주인력 | | | | | (서명) | 보조인력 | | | | | (서명) | 보조인력 | | | | | (서명) | 보조인력 | | | | | (서명) | 보조인력 | | | | | (서명) | 보조인력 | | | | | (서명) | 보조인력 | | | | | (서명) | 점검기간(일자):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 까지 (총 점검일수: 일) | 소방시설관리업체(등록번호): (제0000-00호) 대 표 자: (인) | | 점검번호 구분 | 대분류 (설비구분) |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를 ‘1’번으로 하여 설비별 순차적으로 번호를 부여하여 다중이용업소 ‘32’번까지로 함 | 중분류 (단위구분) | 각 설비별 점검단위에 따라 ‘A’부터 알파벳 순서대로 부여함 | 소분류 (점검항목) | 각 설비별 점검단위 내의 점검항목에 따라 ‘001’부터 순서대로 부여함 | | 작성 및 유의사항 | 1. 소방시설등 (작동, 종합)점검결과보고서의 ‘각 설비별 점검결과’에는 본 서식의 점검번호를 기재한다. 2. 자체점검결과(보고서 및 점검표)를 2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소방시설등의 세부현황 | (7쪽 중 3쪽) | ※ [ ]에는 해당 시설에 √ 표를 하고, 수량을 기입하며, 설비현황에 대하여 기입란이 부족한 경우 서식을 추가하여 작성할 수 있습니다. | 1. 소화기구, 자동소화장치 | 구분 | [ ] 소화기 | [ ] 간이소화용구 | [ ] 자동 확산소화기 | [ ] 자동 소화장치 | 비 고 | [ ] 분말 | [ ] 기타 | [ ] 투척용 | [ ] 기타 | 합계 동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수계소화설비(공통사항) | 수원 | 주된수원 | ◦ 설비의 종류: [ ]옥내소화전설비 [ ]옥외소화전설비 [ ]스프링클러설비 :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화재조기진압용스프링클러설비 : [ ]물분무소화설비 [ ]미분무소화설비 [ ]포소화설비 ◦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 흡입방식: [ ]정압 [ ]부압, ◦ 유효수량: ( )㎥ | 보조수원 | ◦ 설치장소: 동명( ) 실명( ), ◦ 유효수량: ( )㎥ | 가압 송수 장치 | [ ]고가수조 | ◦ 설비의 종류: [ ]옥내소화전설비 [ ]옥외소화전설비 [ ]스프링클러설비 :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화재조기진압용스프링클러설비 : [ ]물분무소화설비 [ ]미분무소화설비 [ ]포소화설비 ◦ 설치장소: 동명( ) 실명( ), ◦ 유효낙차: ( )m | [ ]압력수조 | ◦ 설비의 종류: [ ]옥내소화전설비 [ ]옥외소화전설비 [ ]스프링클러설비 :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화재조기진압용스프링클러설비 : [ ]물분무소화설비 [ ]미분무소화설비 [ ]포소화설비 ◦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 수조용량: ( )ℓ, 수조가압압력:( )MPa ◦ 자동식공기압축기 용량:( )㎥/min, 동 력:( )Kw | [ ]가압수조 | ◦ 설비의 종류: [ ]옥내소화전설비 [ ]옥외소화전설비 [ ]스프링클러설비 :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화재조기진압용스프링클러설비 : [ ]물분무소화설비 [ ]미분무소화설비 [ ]포소화설비 ◦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 수조용량: ( )ℓ, 수조가압압력:( )MPa ◦ 가압가스의 종류: [ ]공기 [ ]불연성가스(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4쪽) | 가압 송수 장치 | [ ]펌프방식 | ◦ 설비의 종류: [ ]옥내소화전설비 [ ]옥외소화전설비 [ ]스프링클러설비 :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화재조기진압용스프링클러설비 : [ ]물분무소화설비 [ ]미분무소화설비 [ ]포소화설비 ◦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 주펌프 전양정:( )m, 토출량:( )ℓ/min [ ]전동기 [ ]내연기관(연료:[ ]경유 [ ]기타 ◦ 예비펌프 전양정:( )m, 토출량:( )ℓ/min [ ]전동기 [ ]내연기관(연료:[ ]경유 [ ]기타 ◦ 충압펌프 전양정:( )m, 토출량:( )ℓ/min ◦ [ ]물올림장치(유효수량: ( )ℓ, 급수배관: ( )㎜ ◦ 기동장치: [ ]기동용수압개폐장치, [ ]ON/OFF 방식 [ ]압력챔버(용량:( )ℓ, 사용압력:( )MPa [ ]기동용압력스위치([ ]부르동관식 [ ]전자식 [ ]그 밖의 것) ◦ [ ]감압장치 [ ]지상/[ ]지하 ( )층, 설치장소:( ) | 송수구 | [ ]옥내소화전설비 [ ]옥외소화전설비 [ ]스프링클러설비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화재조기진압용스프링클러설비 [ ]물분무소화설비 [ ]미분무소화설비 [ ]포소화설비 ◦ 설치장소:( ), [ ]쌍구형 ( )개/[ ]단구형 ( )개 | 비상전원 | [ ]자가발전설비([ ]소방전용 [ ]소방부하겸용 [ ]소방전원보존형 [ ]기타( )) [ ]비상전원수전설비 [ ]축전지설비 [ ]전기저장장치 ◦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 3. 수계소화설비(개별사항) | [ ]옥내 소화전 |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의 설치개수: ( )개 | [ ]옥외 소화전 | ◦ 설치개수: ( )개 | [ ]스프링 클러설비 | ◦ 종류: [ ]습식 [ ]부압식 [ ]준비작동식 [ ]건식 [ ]일제살수식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 ]간이스프 링클러설비 | ◦ 종류: [ ]펌프 [ ]캐비닛 [ ]상수도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 ]화재 조기진압용 |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 :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 ]물분무 소화설비 |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 ]미분무 소화설비 |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 ]포 소화설비 | [ ]포워터스프링클러설비 [ ]포헤드설비 [ ]고정포방출설비 [ ]기타( ) ◦ 소화약제 [ ]단백포 [ ]합성계면활성제포 [ ]수성막포 [ ]내알코올포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5쪽) | 4. 가스계소화설비(개별사항) | [ ]이산화탄소 [ ]할론 [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 ]분말 [ ]강화액 [ ]고체에어로졸 | [ ]전역방출 [ ]국소방출 [ ]호스릴 / [ ]고압식 [ ]저압식 / [ ]축압식 [ ]가압식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저장용기 설치장소: [ ]지상/[ ]지하 ( )층, [ ]전용실 [ ]기타( ) 수량: ( )[ ]㎏,[ ]㎥ ( )ℓ ( )개 ◦ 소화약제 [ ]이산화탄소 [ ]할론1301 [ ]할론2402 [ ]할론1211 [ ] 할론104 [ ]FC-3-1-10 [ ]HCFC BLEND A [ ]HCFC-124 [ ]HFC-125 [ ]HFC-227ea [ ]HFC-23 [ ]IG-541 [ ]IG-100 [ ] 기타( ) [ ]제1종분말 [ ]제2종분말 [ ]제3종분말 [ ]제4종분말 | 5. 경보설비 | [ ]단독 경보형감지기 |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주전원 [ ]상용전원 [ ]건전지 | [ ]비상 경보설비 | [ ]비상벨설비 [ ]자동식사이렌설비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조작장치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 [ ]자동화재 탐지설비 | ◦ 수신기 위치: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 경보방식 [ ]전층경보 [ ]우선경보, 시각경보기 [ ]유 [ ]무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감지기종류 [ ]열 [ ]연기 [ ]그 밖의 것([ ]불꽃 [ ]아날로그식 [ ]복합형) | [ ]비상 방송설비 | [ ]전용 [ ]겸용 / [ ]전층경보 [ ]우선경보 ◦ 증폭기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 [ ]자동화재 속보설비 | ◦ 속보기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 [ ]통합 감시시설 | ◦ 주수신기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 부수신기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 정보통신망 [ ]광케이블 [ ]기타( ) / 예비선로 [ ]유 [ ]무 | [ ]누전 경보기 | ◦ 수신기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 수신기 형식 [ ]1급 [ ]2급, 차단기구 [ ]무 [ ]유(설치장소: ) | [ ]가스누설 경보기 | ◦ [ ]단독형 [ ]분리형, 사용가스종류 [ ]LNG [ ]LPG, 경계구역 수: ( )개 ◦ 수신기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 차단기구 [ ]무 [ ]유(설치장소: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6쪽) | 6. 피난구조설비 | [ ]피난기구 | ◦ 종류: [ ]피난사다리 [ ]완강기 [ ]다수인피난장비 [ ]승강식피난기 [ ]미끄럼대 : [ ]피난교 [ ]피난용트랩 [ ]구조대 [ ]간이완강기 [ ]공기안전매트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 ]인명구조 기구 | ◦ 종류: [ ]방열복/ 방화복 [ ]공기호흡기 [ ]인공소생기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대상물의 용도: [ ] 5층이상 병원 [ ] 7층이상 관광호텔 [ ]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설치 [ ] 지하역사·백화점·대형점포·쇼핑센타·지하상가·영화상영관 | [ ]유도등 | ◦ 종류: [ ]피난구 [ ]통로 [ ]객석유도등 [ ]유도표지 [ ]피난유도선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 ]비상 조명등 |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비상전원 [ ]자가발전설비 [ ]축전지설비 [ ]내장형 | [ ]휴대용 비상조명등 |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전원 [ ]건전지식 [ ]충전식 배터리식 | 7. 소화용수설비 | [ ]상수도 소화용수 | ◦ 설치장소:( ), 소화전 호칭지름: ( )㎜ | [ ]소화수조 | [ ]전용 [ ]겸용/[ ]흡수식 [ ]가압식/[ ]일반수조 [ ]그 밖의 것/유효수량:( )㎥ ◦ 가압송수장치 전양정:( )m, 토출량:( )ℓ/min, [ ]전동기/[ ]내연기관(연료:[ ]경유 [ ]기타) ◦ [ ]물올림장치 유효수량: ( )ℓ, 급수배관: ( )㎜ ◦ 기동스위치 설치장소: [ ]채수구 부근 [ ]방재실 [ ]기타( ) ◦ 채수구 구경: ( )㎜, 흡수관 투입구: 가로 ( )㎝ 세로 ( )㎝/직경 ( )㎝ | 8. 소화활동설비 | [ ] 제연 설비 | [ ] 거실 |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방식 [ ]단독 [ ]공동 [ ]상호 [ ]기타( ) ◦ 기동장치 [ ]자동(감지기 연동) [ ]수동 [ ]원격 ◦ 제연구획면적 최대: ( )㎡ / 구조 [ ]내화 [ ]불연 [ ]그 밖의 것:( ) ◦ 제연구역 출입문 [ ]상시폐쇄(자동폐쇄장치) [ ]상시개방(감지기에 의한 닫힘) ◦ 급기용송풍기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전동기 ( )㎾, 풍량 ( )㎥/min, 정압 ( )㎜Aq ◦ 배출용송풍기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전동기 ( )㎾, 풍량 ( )㎥/min, 정압 ( )㎜Aq ◦ 배출구 [ ]천장면 [ ]천장직하 [ ]기타( ) / 옥외배출구 [ ]옥상 [ ]기타( ) 풍도구조 [ ]내화 [ ]불연 [ ]그 밖의 것( ) / 구획댐퍼 [ ]유 [ ]무 ◦ 유입공기배출 [ ]자연배출 [ ]기계배출 [ ]배출구 [ ]제연설비 ◦ 급기구 [ ]강제유입 [ ]자연유입 [ ]인접구역유입 풍도구조 [ ]내화 [ ]불연 [ ]그 밖의 것( ) / 구획댐퍼 [ ]유 [ ]무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7쪽) | [ ] 제연 설비 | [ ] 전실 | ◦ 설치대상: 동명( , , , , ) 특별피난계단 ( )개소, 비상용승강기 ( )대 ◦ 방식 [ ]부속실 [ ]계단실 및 부속실 [ ] 계단실 [ ] 비상용승강기승강장 ◦ 기동방식 [ ]전층 [ ]부분층( 개층) / 댐퍼개방감지기 [ ]전용 [ ]겸용 ◦ 급기용송풍기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전동기 ( )㎾, 풍량 ( )㎥/min, 정압 ( )㎜Aq ◦ 배출용송풍기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전동기 ( )㎾, 풍량 ( )㎥/min, 정압 ( )㎜Aq ◦ 제연구역 출입문 [ ]상시폐쇄(자동폐쇄장치) [ ]상시개방(연기감지기에 의한 닫힘) ◦ 유입공기배출 [ ]자연배출 [ ]기계배출 [ ]배출구 [ ]제연설비 ◦ 과압방지장치 [ ]플랩댐퍼 [ ]자동차압급기댐퍼 [ ]그 밖의 것 [ ]해당없음 | [ ]연결 송수관 | [ ]전용 [ ]겸용([ ]옥내소화전설비 [ ]스프링클러설비 [ ]기타: ) ◦ 설치장소: 동명( ) [ ]전체층/[ ]일부층 [ ]지상/[ ]지하( )층 ~ [ ]지상/[ ]지하( )층 ◦ 방수구 위치 [ ]복도․통로 [ ]계단실[ ] 계단등의 부근 ◦ 송수구 설치장소:( ), , 중간수조용량: ( )㎥ ◦ 가압송수장치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실명( ) 전양정:( )m, 토출량:( )ℓ/min [ ]전동기 [ ]내연기관(연료:[ ]경유 [ ]기타 ◦ 기동스위치 설치장소 [ ]송수구 [ ]방재실 [ ]기타( ) | [ ]연결 살수 | ◦ 설치대상: 동명( , , , , ) ◦ 방식 [ ]습식 [ ]건식 / [ ]지하층 [ ]판매시설 [ ]가스시설 [ ]부속된 연결통로 ◦ 송수구 설치장소:( ), 송수구역수: ( )구역 | [ ]비상 콘센트 | ◦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 [ ]지상/[ ]지하 ( )층 [ ]3상 380V [ ]단상 220V / [ ]접지형 2극 플러그접속기 [ ]접지형 3극 플러그접속기 | [ ]무선 통신보조 | ◦ 설치장소: 동명( ) [ ]지상/[ ]지하 ( )층 ~ [ ]지상/[ ]지하 ( )층 [ ]전용 [ ]공용 / 방식: [ ]누설동축케이블 [ ]누설동축케이블과 안테나 [ ]안테나 ◦ 접속단자 설치장소( ), ( ) | [ ]연소 방지 | ◦ 방호대상물 [ ]전력사업용 [ ]통신사업용 [ ]그 밖의 것( ) ◦ 송수구역수: ( )구역 / 구역간의 구획 [ ]있다 [ ]일부 있다 [ ]없다 | 비고 | ※ 제연설비 설비개요 작성 시 최대 구역 1개소에 대하여 기입합니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 목 차 - 1.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점검표 2. 옥내소화전설비 점검표 3. 스프링클러소화설비 점검표 4. 간이스프링클러소화설비 점검표 5.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점검표 6. 물분무소화설비 점검표 7. 미분무소화설비 점검표 8. 포소화설비 점검표 9.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점검표 10. 할론소화설비 점검표 11.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 점검표 12. 분말소화설비 점검표 13. 옥외소화전설비 점검표 14.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 점검표 15.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 점검표 16. 비상방송설비 점검표 17. 자동화재속보설비 및 통합감시시설 점검표 18. 누전경보기 점검표 19. 가스누설경보기 점검표 20. 피난기구 및 인명구조기구 점검표 21. 유도등 및 유도표지 점검표 22. 비상조명등 및 휴대용비상조명등 점검표 23. 소화용수설비 점검표 24. 제연설비 점검표 25.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점검표 26. 연결송수관설비 점검표 27. 연결살수설비 점검표 28. 비상콘센트설비 점검표 29. 무선통신보조설비 점검표 30. 연소방지설비 31. 기타사항 점검표 32. 다중이용업소 점검표 (작성요령) 목차에는 점검을 실시하고자 하는 소방시설명만을 순서대로 기재한다. |
1.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A. 소화기구(소화기, 자동확산소화기, 간이소화용구) | 1-A-001 1-A-002 1-A-003 1-A-004 1-A-005 1-A-006 1-A-007 1-A-008 1-A-009 1-A-010 | ○ 거주자 등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 설치높이 적합 여부 ○ 배치거리(보행거리 소형 20m 이내, 대형 30m 이내) 적합 여부 ○ 구획된 거실(바닥면적 33㎡ 이상)마다 소화기 설치 여부 ○ 소화기 표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소화기의 변형·손상 또는 부식 등 외관의 이상 여부 ○ 지시압력계(녹색범위)의 적정 여부 ○ 수동식 분말소화기 내용연수(10년) 적정 여부 ● 설치수량 적정 여부 ● 적응성 있는 소화약제 사용 여부 | | 1-B. 자동소화장치 | 1-B-001 1-B-002 1-B-003 1-B-004 1-B-005 1-B-006 | [주거용 주방 자동소화장치] ○ 수신부의 설치상태 적정 및 정상(예비전원, 음향장치 등) 작동 여부 ○ 소화약제의 지시압력 적정 및 외관의 이상 여부 ○ 소화약제 방출구의 설치상태 적정 및 외관의 이상 여부 ○ 감지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탐지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차단장치 설치상태 적정 및 정상 작동 여부 | | 1-B-011 1-B-012 1-B-013 | [상업용 주방 자동소화장치] ○ 소화약제의 지시압력 적정 및 외관의 이상 여부 ○ 후드 및 덕트에 감지부와 분사헤드의 설치상태 적정 여부 ○ 수동기동장치의 설치상태 적정 여부 | | 1-B-021 1-B-022 1-B-023 | [캐비닛형 자동소화장치] ○ 분사헤드의 설치상태 적합 여부 ○ 화재감지기 설치상태 적합 여부 및 정상 작동 여부 ○ 개구부 및 통기구 설치 시 자동폐쇄장치 설치 여부 | | 1-B-031 1-B-032 1-B-033 | [가스·분말·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 수신부의 정상(예비전원, 음향장치 등) 작동 여부 ○ 소화약제의 지시압력 적정 및 외관의 이상 여부 ○ 감지부(또는 화재감지기) 설치상태 적정 및 정상 작동 여부 | | 비고 | | ※ 점검항목 중 “●”는 종합점검의 경우에만 해당한다. ※ 점검결과란은 양호 “○”, 불량 “×”, 해당없는 항목은 “/”로 표시한다. ※ 점검항목 내용 중 “설치기준” 및 “설치상태”에 대한 점검은 정상적인 작동 가능 여부를 포함한다. ※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구조․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이하 같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2. 옥내소화전설비 점검표 | (3쪽 중 1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2-A. 수원 | 2-A-001 2-A-002 | ○ 주된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 보조수원(옥상)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 | | 2-B. 수조 | 2-B-001 2-B-002 2-B-003 2-B-004 2-B-005 2-B-006 2-B-007 |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수위계 설치상태 적정 또는 수위 확인 가능 여부 ● 수조 외측 고정사다리 설치상태 적정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 실내설치 시 조명설비 설치상태 적정 여부 ○ “옥내소화전설비용 수조”표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의 이름 표시한 표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옥내소화전설비용 배관”표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 2-C. 가압송수장치 | 2-C-001 2-C-002 2-C-003 2-C-004 2-C-005 2-C-006 2-C-007 2-C-008 2-C-009 2-C-010 2-C-011 2-C-012 2-C-013 | [펌프방식]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옥내소화전 방수량 및 방수압력 적정 여부 ● 감압장치 설치 여부(방수압력 0.7MPa 초과 조건) ○ 성능시험배관을 통한 펌프 성능시험 적정 여부 ●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인 경우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 펌프 흡입측 연성계·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기동장치 적정 설치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 기동스위치 설치 적정 여부(ON/OFF 방식) ● 주펌프와 동등이상 펌프 추가설치 여부 ● 물올림장치 설치 적정(전용 여부,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여부 ● 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 내연기관 방식의 펌프 설치 적정(정상기동(기동장치 및 제어반) 여부, 축전지 상태, 연료량) 여부 ○ 가압송수장치의“옥내소화전펌프”표지설치 여부 또는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 표시 부착 여부 | | 2-C-021 | [고가수조방식] ○ 수위계·배수관·급수관·오버플로우관·맨홀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2-C-031 2-C-032 | [압력수조방식] ● 압력수조의 압력 적정 여부 ○ 수위계·급수관·급기관·압력계·안전장치·공기압축기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2-C-041 2-C-042 | [가압수조방식] ● 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 수위계·급수관·배수관·급기관·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2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2-D. 송수구 | 2-D-001 2-D-002 2-D-003 2-D-004 2-D-005 | ○ 설치장소 적정 여부 ● 연결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경우 개폐상태 확인 및 조작가능 여부 ● 송수구 설치 높이 및 구경 적정 여부 ● 자동배수밸브(또는 배수공)·체크밸브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적정 여부 ○ 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 | | 2-E. 배관 등 | 2-E-001 2-E-002 2-E-003 2-E-004 2-E-005 2-E-006 | ● 펌프의 흡입측 배관 여과장치의 상태 확인 ● 성능시험배관 설치(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유량측정장치) 적정 여부 ● 순환배관 설치(설치위치·배관구경,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적정 여부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개폐표시형, 흡입측 버터플라이 제외) 적정 여부 ● 다른 설비의 배관과의 구분 상태 적정 여부 | | 2-F. 함 및 방수구 등 | 2-F-001 2-F-002 2-F-003 2-F-004 2-F-005 2-F-006 2-F-007 2-F-008 | ○ 함 개방 용이성 및 장애물 설치 여부 등 사용 편의성 적정 여부 ○ 위치·기동 표시등 적정 설치 및 정상 점등 여부 ○“소화전”표시 및 사용요령(외국어 병기) 기재 표지판 설치상태 적정 여부 ● 대형공간(기둥 또는 벽이 없는 구조) 소화전 함 설치 적정 여부 ● 방수구 설치 적정 여부 ○ 함 내 소방호스 및 관창 비치 적정 여부 ○ 호스의 접결상태, 구경, 방수 압력 적정 여부 ● 호스릴방식 노즐 개폐장치 사용 용이 여부 | | 2-G. 전원 | 2-G-001 2-G-002 2-G-003 2-G-004 | ● 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 적정 여부 ● 비상전원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2-H. 제어반 | 2-H-001 | ● 겸용 감시·동력 제어반 성능 적정 여부(겸용으로 설치된 경우) | | 2-H-011 2-H-012 2-H-013 2-H-014 2-H-015 2-H-016 2-H-017 | [감시제어반] ○ 펌프 작동 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자동·수동 전환스위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작동 여부 ●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 수조·물올림탱크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각 확인회로 별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정상작동 여부 ○ 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시험 적합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3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2-H-018 2-H-019 | ● 감시제어반 전용실 적정 설치 및 관리 여부 ● 기계·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설비 외 설치 여부 | | 2-H-021 | [동력제어반] ○ 앞면은 적색으로 하고,“옥내소화전설비용 동력제어반” 표지 설치 여부 | | 2-H-031 | [발전기제어반] ● 소방전원보존형발전기는 이를 식별할 수 있는 표지 설치 여부 | | ※ 펌프성능시험(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체절운전 | 정격운전 (100%)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적정 여부 | ㅇ설정압력: ㅇ주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예비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충압펌프 기동: MPa 정지: MPa | 토출량 (ℓ/min) | 주 | | | | 1.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2.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3.정격토출량의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 이상일 것( ) | 예비 | | | | 토출압 (MPa) | 주 | | | | 예비 | | | |
※ 릴리프밸브 작동압력 : MPa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3. 스프링클러설비 점검표 | (4쪽 중 1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3-A. 수원 | 3-A-001 3-A-002 | ○ 주된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 보조수원(옥상)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 | | 3-B. 수조 | 3-B-001 3-B-002 3-B-003 3-B-004 3-B-005 3-B-006 3-B-007 |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수위계 설치 또는 수위 확인 가능 여부 ● 수조 외측 고정사다리 설치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 실내설치 시 조명설비 설치 여부 ○ “스프링클러설비용 수조”표지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의 이름 표시한 표지설치 여부 ● 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스프링클러설비용 배관”표지설치 여부 | | 3-C. 가압송수장치 | 3-C-001 3-C-002 3-C-003 3-C-004 3-C-005 3-C-006 3-C-007 3-C-008 3-C-009 | [펌프방식]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성능시험배관을 통한 펌프 성능시험 적정 여부 ●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인 경우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 펌프 흡입측 연성계·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기동장치 적정 설치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 물올림장치 설치 적정(전용 여부,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여부 ● 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 내연기관 방식의 펌프 설치 적정(정상기동(기동장치 및 제어반) 여부, 축전지 상태, 연료량) 여부 ○ 가압송수장치의“스프링클러펌프”표지설치 여부 또는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 표시 부착 여부 | | 3-C-021 | [고가수조방식] ○ 수위계·배수관·급수관·오버플로우관·맨홀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3-C-031 3-C-032 | [압력수조방식] ● 압력수조의 압력 적정 여부 ○ 수위계·급수관·급기관·압력계·안전장치·공기압축기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3-C-041 3-C-042 | [가압수조방식] ● 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 수위계·급수관·배수관·급기관·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3-D. 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 방호구역 및 유수검지장치 | 3-D-001 3-D-002 3-D-003 | ● 방호구역 적정 여부 ● 유수검지장치 설치 적정(수량, 접근·점검 편의성, 높이) 여부 ○ 유수검지장치실 설치 적정(실내 또는 구획, 출입문 크기, 표지)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2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3-D-004 3-D-005 | ● 자연낙차에 의한 유수압력과 유수검지장치의 유수검지압력 적정여부 ● 조기반응형헤드 적합 유수검지장치 설치 여부 | | 3-E. 개방형스프링클러설비 방수구역 및 일제개방밸브 | 3-E-001 3-E-002 3-E-003 3-E-004 | ● 방수구역 적정 여부 ● 방수구역 별 일제개방밸브 설치 여부 ● 하나의 방수구역을 담당하는 헤드 개수 적정 여부 ○ 일제개방밸브실 설치 적정(실내(구획), 높이, 출입문, 표지) 여부 | | 3-F. 배관 | 3-F-001 3-F-002 3-F-003 3-F-004 3-F-005 3-F-006 3-F-007 3-F-008 3-F-009 | ● 펌프의 흡입측 배관 여과장치의 상태 확인 ● 성능시험배관 설치(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유량측정장치) 적정 여부 ● 순환배관 설치(설치위치·배관구경,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적정 여부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개폐표시형, 흡입측 버터플라이 제외) 및 작동표시스위치 적정(제어반 표시 및 경보, 스위치 동작 및 도통시험) 여부 ○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및 일제개방밸브 2차측 배관 부대설비 설치 적정(개폐표시형 밸브, 수직배수배관, 개폐밸브, 자동배수장치, 압력스위치 설치 및 감시제어반 개방 확인) 여부 ○ 유수검지장치 시험장치 설치 적정(설치위치, 배관구경, 개폐밸브 및 개방형 헤드, 물받이 통 및 배수관) 여부 ● 주차장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방식 적정(습식 외의 방식) 여부 ● 다른 설비의 배관과의 구분 상태 적정 여부 | | 3-G.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 3-G-001 3-G-002 3-G-003 3-G-004 3-G-005 3-G-006 | ○ 유수검지에 따른 음향장치 작동 가능 여부(습식·건식의 경우) ○ 감지기 작동에 따라 음향장치 작동 여부(준비작동식 및 일제개방밸브의 경우) ● 음향장치 설치 담당구역 및 수평거리 적정 여부 ● 주 음향장치 수신기 내부 또는 직근 설치 여부 ● 우선경보방식에 따른 경보 적정 여부 ○ 음향장치(경종 등) 변형·손상 확인 및 정상 작동(음량 포함) 여부 | | 3-G-011 3-G-012 | [펌프 작동] ○ 유수검지장치의 발신이나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의 작동에 따른 펌프 기동 확인 (습식·건식의 경우) ○ 화재감지기의 감지나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의 작동에 따른 펌프 기동 확인 (준비작동식 및 일제개방밸브의 경우) | | 3-G-021 3-G-022 | [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발밸브 작동] ○ 담당구역내 화재감지기 동작(수동 기동 포함)에 따라 개방 및 작동 여부 ○ 수동조작함 (설치높이, 표시등) 설치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3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3-H. 헤드 | 3-H-001 3-H-002 3-H-003 3-H-004 3-H-005 3-H-006 3-H-007 3-H-008 3-H-009 3-H-010 | ○ 헤드의 변형·손상 유무 ○ 헤드 설치 위치·장소·상태(고정) 적정 여부 ○ 헤드 살수장애 여부 ● 무대부 또는 연소우려 있는 개구부 개방형 헤드 설치 여부 ● 조기반응형 헤드 설치 여부(의무 설치 장소의 경우) ● 경사진 천장의 경우 스프링클러헤드의 배치상태 ●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 헤드 설치 적정 여부 ● 습식·부압식스프링클러 외의 설비 상향식 헤드 설치 여부 ● 측벽형 헤드 설치 적정 여부 ● 감열부에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헤드의 차폐판 설치 여부 | | 3-I. 송수구 | 3-I-001 3-I-002 3-I-003 3-I-004 3-I-005 3-I-006 3-I-007 | ○ 설치장소 적정 여부 ● 연결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경우 개폐상태 확인 및 조작가능 여부 ● 송수구 설치 높이 및 구경 적정 여부 ○ 송수압력범위 표시 표지 설치 여부 ● 송수구 설치 개수 적정 여부(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의 경우) ● 자동배수밸브(또는 배수공)·체크밸브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적정 여부 ○ 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 | | 3-J. 전원 | 3-J-001 3-J-002 3-J-003 3-J-004 | ● 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 적정 여부 ● 비상전원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3-K. 제어반 | 3-K-001 | ● 겸용 감시·동력 제어반 성능 적정 여부(겸용으로 설치된 경우) | | 3-K-011 3-K-012 3-K-013 3-K-014 3-K-015 3-K-016 3-K-017 3-K-018 3-K-019 3-K-020 3-K-021 | [감시제어반] ○ 펌프 작동 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자동·수동 전환스위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작동 여부 ●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 수조·물올림탱크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각 확인회로 별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정상작동 여부 ○ 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시험 적합 여부 ● 감시제어반 전용실 적정 설치 및 관리 여부 ● 기계·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설비 외 설치 여부 ○ 유수검지장치·일제개방밸브 작동 시 표시 및 경보 정상작동 여부 ○ 일제개방밸브 수동조작스위치 설치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4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3-K-022 3-K-023 | ● 일제개방밸브 사용 설비 화재감지기 회로별 화재표시 적정 여부 ● 감시제어반과 수신기 간 상호 연동 여부(별도로 설치된 경우) | | 3-K-031 | [동력제어반] ○ 앞면은 적색으로 하고, “스프링클러설비용 동력제어반” 표지 설치 여부 | | 3-K-041 | [발전기제어반] ● 소방전원보존형발전기는 이를 식별할 수 있는 표지 설치 여부 | | 3-L. 헤드 설치제외 | 3-L-001 3-L-002 | ● 헤드 설치 제외 적정 여부(설치 제외된 경우) ● 드렌처설비 설치 적정 여부 | | ※ 펌프성능시험(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체절운전 | 정격운전 (100%)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적정 여부 | ㅇ설정압력: ㅇ주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예비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충압펌프 기동: MPa 정지: MPa | 토출량 (ℓ/min) | 주 | | | | 1.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2.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3.정격토출량의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 이상일 것( ) | 예비 | | | | 토출압 (MPa) | 주 | | | | 예비 | | | |
※ 릴리프밸브 작동압력 : MPa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4.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점검표 | (4쪽 중 1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4-A. 수원 | 4-A-001 | ○ 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 | 4-B. 수조 | 4-B-001 4-B-002 4-B-003 4-B-004 4-B-005 4-B-006 4-B-007 4-B-008 | ○ 자동급수장치 설치 여부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수위계 설치 또는 수위 확인 가능 여부 ● 수조 외측 고정사다리 설치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 실내설치 시 조명설비 설치 여부 ○ “간이스프링클러설비용 수조”표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의 이름 표시한 표지설치 여부 ● 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간이스프링클러설비용 배관”표지설치 여부 | | 3-C. 가압송수장치 | 4-C-001 | [상수도직결형] ○ 방수량 및 방수압력 적정 여부 | | 4-C-011 4-C-012 4-C-013 4-C-014 4-C-015 4-C-016 4-C-017 4-C-018 4-C-019 | [펌프방식]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성능시험배관을 통한 펌프 성능시험 적정 여부 ●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인 경우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 펌프 흡입측 연성계·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기동장치 적정 설치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 물올림장치 설치 적정(전용 여부,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여부 ● 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 내연기관 방식의 펌프 설치 적정(정상기동(기동장치 및 제어반) 여부, 축전지 상태, 연료량) 여부 ○ 가압송수장치의“간이스프링클러펌프”표지설치 여부 또는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 표시 부착 여부 | | 4-C-031 | [고가수조방식] ○ 수위계·배수관·급수관·오버플로우관·맨홀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4-C-041 4-C-042 | [압력수조방식] ● 압력수조의 압력 적정 여부 ○ 수위계·급수관·급기관·압력계·안전장치·공기압축기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4-C-051 4-C-052 | [가압수조방식] ● 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 수위계·급수관·배수관·급기관·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2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4-D. 방호구역 및 유수검지장치 | 4-D-001 4-D-002 4-D-003 4-D-004 4-D-005 | ● 방호구역 적정 여부 ● 유수검지장치 설치 적정(수량, 접근·점검 편의성, 높이) 여부 ○ 유수검지장치실 설치 적정(실내 또는 구획, 출입문 크기, 표지) 여부 ● 자연낙차에 의한 유수압력과 유수검지장치의 유수검지압력 적정여부 ● 주차장에 설치된 간이스프링클러 방식 적정(습식 외의 방식) 여부 | | 4-E. 배관 및 밸브 | 4-E-001 4-E-002 4-E-003 4-E-004 4-E-005 4-E-006 4-E-007 4-E-008 4-E-009 4-E-010 | ○ 상수도직결형 수도배관 구경 및 유수검지에 따른 다른 배관 자동 송수 차단 여부 ○ 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개폐표시형, 흡입측 버터플라이 제외) 및 작동표시스위치 적정(제어반 표시 및 경보, 스위치 동작 및 도통시험) 여부 ● 펌프의 흡입측 배관 여과장치의 상태 확인 ● 성능시험배관 설치(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유량측정장치) 적정 여부 ● 순환배관 설치(설치위치·배관구경,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적정 여부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 부대설비 설치 적정(개폐표시형 밸브, 수직배수배관·개폐밸브, 자동배수장치, 압력스위치 설치 및 감시제어반 개방 확인) 여부 ○ 유수검지장치 시험장치 설치 적정(설치위치, 배관구경, 개폐밸브 및 개방형 헤드, 물받이 통 및 배수관) 여부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배관 및 밸브 등의 순서의 적정 시공 여부 ● 다른 설비의 배관과의 구분 상태 적정 여부 | | 4-F.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 4-F-001 4-F-002 4-F-003 4-F-004 4-F-005 | ○ 유수검지에 따른 음향장치 작동 가능 여부(습식의 경우) ● 음향장치 설치 담당구역 및 수평거리 적정 여부 ● 주 음향장치 수신기 내부 또는 직근 설치 여부 ● 우선경보방식에 따른 경보 적정 여부 ○ 음향장치(경종 등) 변형·손상 확인 및 정상 작동(음량 포함) 여부 | | 4-F-011 4-F-012 | [펌프 작동] ○ 유수검지장치의 발신이나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의 작동에 따른 펌프 기동 확인 (습식의 경우) ○ 화재감지기의 감지나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의 작동에 따른 펌프 기동 확인 (준비작동식의 경우) | | 4-F-021 4-F-022 | [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 작동] ○ 담당구역내 화재감지기 동작(수동 기동 포함)에 따라 개방 및 작동 여부 ○ 수동조작함(설치높이, 표시등) 설치 적정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3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4-G. 간이헤드 | 4-G-001 4-G-002 4-G-003 4-G-004 4-G-005 | ○ 헤드의 변형·손상 유무 ○ 헤드 설치 위치·장소·상태(고정) 적정 여부 ○ 헤드 살수장애 여부 ● 감열부에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헤드의 차폐판 설치 여부 ● 헤드 설치 제외 적정 여부(설치 제외된 경우) | | 4-H. 송수구 | 4-H-001 4-H-002 4-H-003 4-H-004 4-H-005 | ○ 설치장소 적정 여부 ● 연결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경우 개폐상태 확인 및 조작가능 여부 ● 송수구 설치 높이 및 구경 적정 여부 ● 자동배수밸브(또는 배수공)·체크밸브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적정 여부 ○ 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 | | 4-I. 제어반 | 4-I-001 | ● 겸용 감시·동력 제어반 성능 적정 여부(겸용으로 설치된 경우) | | 4-I-011 4-I-012 4-I-013 4-I-014 4-I-015 4-I-016 4-I-017 4-I-018 4-I-019 4-I-020 4-I-021 | [감시제어반] ○ 펌프 작동 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자동·수동 전환스위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작동 여부 ●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 수조·물올림탱크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각 확인회로 별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정상작동 여부 ○ 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시험 적합 여부 ● 감시제어반 전용실 적정 설치 및 관리 여부 ● 기계·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설비 외 설치 여부 ○ 유수검지장치 작동 시 표시 및 경보 정상작동 여부 ● 감시제어반과 수신기 간 상호 연동 여부(별도로 설치된 경우) | | 4-I-031 | [동력제어반] ○ 앞면은 적색으로 하고,“간이스프링클러설비용 동력제어반”표지 설치 여부 | | 4-I-041 | [발전기제어반] ● 소방전원보존형발전기는 이를 식별할 수 있는 표지 설치 여부 | | 4-J. 전원 | 4-J-001 4-J-002 4-J-003 4-J-004 | ● 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 적정 여부 ● 비상전원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4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 펌프성능시험(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체절운전 | 정격운전 (100%)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적정 여부 | ㅇ설정압력: ㅇ주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예비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충압펌프 기동: MPa 정지: MPa | 토출량 (ℓ/min) | 주 | | | | 1.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2.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3.정격토출량의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 이상일 것( ) | 예비 | | | | 토출압 (MPa) | 주 | | | | 예비 | | | |
※ 릴리프밸브 작동압력 : MPa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5.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점검표 | (3쪽 중 1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5-A. 설치장소의 구조 | 5-A-001 | ● 설비 설치장소의 구조(층고, 내화구조, 방화구획, 천장 기울기, 천장 자재 돌출부 길이, 보 간격, 선반 물 침투구조) 적합 여부 | | 5-B. 수원 | 5-B-001 5-B-002 | ○ 주된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 보조수원(옥상)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 | | 5-C. 수조 | 5-C-001 5-C-002 5-C-003 5-C-004 5-C-005 5-C-006 5-C-007 |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수위계 설치 또는 수위 확인 가능 여부 ● 수조 외측 고정사다리 설치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 실내설치 시 조명설비 설치 여부 ○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용 수조”표지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의 이름 표시한 표지설치 여부 ● 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용 배관”표지설치 여부 | | 5-D. 가압송수장치 | 5-D-001 5-D-002 5-D-003 5-D-004 5-D-005 5-D-006 5-D-007 5-D-008 5-D-009 | [펌프방식]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성능시험배관을 통한 펌프 성능시험 적정 여부 ●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인 경우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 펌프 흡입측 연성계·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기동장치 적정 설치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 물올림장치 설치 적정(전용 여부,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여부 ● 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 내연기관 방식의 펌프 설치 적정(정상기동(기동장치 및 제어반) 여부, 축전지 상태, 연료량) 여부 ○ 가압송수장치의“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펌프”표지설치 여부 또는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 표시 부착 여부 | | 5-D-021 | [고가수조방식] ○ 수위계·배수관·급수관·오버플로우관·맨홀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5-D-031 5-D-032 | [압력수조방식] ● 압력수조의 압력 적정 여부 ○ 수위계·급수관·급기관·압력계·안전장치·공기압축기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5-D-041 5-D-042 | [가압수조방식] ● 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 수위계·급수관·배수관·급기관·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2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5-E. 방호구역 및 유수검지장치 | 5-E-001 5-E-002 5-E-003 5-E-004 | ● 방호구역 적정 여부 ● 유수검지장치 설치 적정(수량, 접근·점검 편의성, 높이) 여부 ○ 유수검지장치실 설치 적정(실내 또는 구획, 출입문 크기, 표지) 여부 ● 자연낙차에 의한 유수압력과 유수검지장치의 유수검지압력 적정여부 | | 5-F. 배관 | 5-F-001 5-F-002 5-F-003 5-F-004 5-F-005 5-F-006 5-F-007 | ● 펌프의 흡입측 배관 여과장치의 상태 확인 ● 성능시험배관 설치(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유량측정장치) 적정 여부 ● 순환배관 설치(설치위치·배관구경,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적정 여부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개폐표시형, 흡입측 버터플라이 제외) 및 작동표시스위치 적정(제어반 표시 및 경보, 스위치 동작 및 도통시험) 여부 ○ 유수검지장치 시험장치 설치 적정(설치위치, 배관구경, 개폐밸브 및 개방형 헤드, 물받이 통 및 배수관) 여부 ● 다른 설비의 배관과의 구분 상태 적정 여부 | | 5-G.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 5-G-001 5-G-002 5-G-003 5-G-004 5-G-005 | ○ 유수검지에 따른 음향장치 작동 가능 여부 ● 음향장치 설치 담당구역 및 수평거리 적정 여부 ● 주 음향장치 수신기 내부 또는 직근 설치 여부 ● 우선경보방식에 따른 경보 적정 여부 ○ 음향장치(경종 등) 변형·손상 확인 및 정상 작동(음량 포함) 여부 | | 5-G-011 | [펌프 작동] ○ 유수검지장치의 발신이나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의 작동에 따른 펌프 기동 확인 | | 5-H. 헤드 | 5-H-001 5-H-002 5-H-003 5-H-004 | ○ 헤드의 변형·손상 유무 ○ 헤드 설치 위치·장소·상태(고정) 적정 여부 ○ 헤드 살수장애 여부 ● 감열부에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헤드의 차폐판 설치 여부 | | 5-I. 저장물의 간격 및 환기구 | 5-I-001 5-I-002 | ● 저장물품 배치 간격 적정 여부 ● 환기구 설치 상태 적정 여부 | | 5-J. 송수구 | 5-J-001 5-J-002 5-J-003 5-J-004 5-J-005 | ○ 설치장소 적정 여부 ● 연결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경우 개폐상태 확인 및 조작가능 여부 ● 송수구 설치 높이 및 구경 적정 여부 ○ 송수압력범위 표시 표지 설치 여부 ● 송수구 설치 개수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3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5-J-006 5-J-007 | ● 자동배수밸브(또는 배수공)·체크밸브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적정 여부 ○ 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 | | 5-K. 전원 | 5-K-001 5-K-002 5-K-003 5-K-004 | ● 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 적정 여부 ● 비상전원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5-L. 제어반 | 5-L-001 | ● 겸용 감시·동력 제어반 성능 적정 여부(겸용으로 설치된 경우) | | 5-L-001 5-L-002 5-L-003 5-L-004 5-L-005 5-L-006 5-L-007 5-L-008 5-L-009 5-L-010 5-L-011 | [감시제어반] ○ 펌프 작동 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자동·수동 전환스위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작동 여부 ●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 수조·물올림탱크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각 확인회로 별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정상작동 여부 ○ 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시험 적합 여부 ● 감시제어반 전용실 적정 설치 및 관리 여부 ● 기계·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설비 외 설치 여부 ○ 유수검지장치 작동 시 표시 및 경보 정상작동 여부 ○ 감시제어반과 수신기 간 상호 연동 여부(별도로 설치된 경우) | | 5-L-021 | [동력제어반] ○ 앞면은 적색으로 하고,“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용 동력제어반”표지 설치 여부 | | 5-L-031 | [발전기제어반] ● 소방전원보존형발전기는 이를 식별할 수 있는 표지 설치 여부 | | 5-M. 설치금지 장소 | 5-M-001 | ● 설치가 금지된 장소(제4류 위험물 등이 보관된 장소) 설치 여부 | | ※ 펌프성능시험(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체절운전 | 정격운전 (100%)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적정 여부 | ㅇ설정압력: ㅇ주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예비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충압펌프 기동: MPa 정지: MPa | 토출량 (ℓ/min) | 주 | | | | 1.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2.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3.정격토출량의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 이상일 것( ) | 예비 | | | | 토출압 (MPa) | 주 | | | | 예비 | | | |
※ 릴리프밸브 작동압력 : MPa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6. 물분무소화설비 점검표 | (3쪽 중 1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6-A. 수원 | 6-A-001 | ○ 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 | 6-B. 수조 | 6-B-001 6-B-002 6-B-003 6-B-004 6-B-005 6-B-006 6-B-007 |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수위계 설치 또는 수위 확인 가능 여부 ● 수조 외측 고정사다리 설치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 실내설치 시 조명설비 설치 여부 ○ “물분무소화설비용 수조”표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의 이름 표시한 표지설치 여부 ● 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물분무소화설비용 배관”표지설치 여부 | | 6-C. 가압송수장치 | 6-C-001 6-C-002 6-C-003 6-C-004 6-C-005 6-C-006 6-C-007 6-C-008 6-C-009 | [펌프방식]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성능시험배관을 통한 펌프 성능시험 적정 여부 ●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인 경우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 펌프 흡입측 연성계·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기동장치 적정 설치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 물올림장치 설치 적정(전용 여부,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여부 ● 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 내연기관 방식의 펌프 설치 적정(정상기동(기동장치 및 제어반) 여부, 축전지 상태, 연료량) 여부 ○ 가압송수장치의 “물분무소화설비펌프”표지설치 여부 또는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 표시 부착 여부 | | 6-C-021 | [고가수조방식] ○ 수위계·배수관·급수관·오버플로우관·맨홀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6-C-031 6-C-032 | [압력수조방식] ● 압력수조의 압력 적정 여부 ○ 수위계·급수관·급기관·압력계·안전장치·공기압축기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6-C-041 6-C-042 | [가압수조방식] ● 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 수위계·급수관·배수관·급기관·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6-D. 기동장치 | 6-D-001 6-D-002 6-D-003 | ○ 수동식 기동장치 조작에 따른 가압송수장치 및 개방밸브 정상 작동 여부 ○ 수동식 기동장치 인근“기동장치”표지설치 여부 ○ 자동식 기동장치는 화재감지기의 작동 및 헤드 개방과 연동하여 경보를 발하고, 가압송수장치 및 개방밸브 정상 작동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2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6-E. 제어밸브 등 | 6-E-001 6-E-002 6-E-003 | ○ 제어밸브 설치 위치(높이) 적정 및“제어밸브”표지 설치 여부 ● 자동개방밸브 및 수동식 개방밸브 설치위치(높이) 적정 여부 ● 자동개방밸브 및 수동식 개방밸브 시험장치 설치 여부 | | 6-F. 물분무헤드 | 6-F-001 6-F-002 6-F-003 | ○ 헤드의 변형․손상 유무 ○ 헤드 설치 위치·장소·상태(고정) 적정 여부 ● 전기절연 확보 위한 전기기기와 헤드 간 거리 적정 여부 | | 6-G. 배관 등 | 6-G-001 6-G-002 6-G-003 6-G-004 6-G-005 6-G-006 | ● 펌프의 흡입측 배관 여과장치의 상태 확인 ● 성능시험배관 설치(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유량측정장치) 적정 여부 ● 순환배관 설치(설치위치·배관구경,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적정 여부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개폐표시형, 흡입측 버터플라이 제외) 및 작동표시스위치 적정(제어반 표시 및 경보, 스위치 동작 및 도통시험) 여부 ● 다른 설비의 배관과의 구분 상태 적정 여부 | | 6-H. 송수구 | 6-H-001 6-H-002 6-H-003 6-H-004 6-H-005 6-H-006 6-H-007 | ○ 설치장소 적정 여부 ● 연결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경우 개폐상태 확인 및 조작가능 여부 ● 송수구 설치 높이 및 구경 적정 여부 ○ 송수압력범위 표시 표지 설치 여부 ● 송수구 설치 개수 적정 여부 ● 자동배수밸브(또는 배수공)·체크밸브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적정 여부 ○ 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 | | 6-I. 배수설비(차고ㆍ주차장의 경우) | 6-I-001 | ● 배수설비(배수구, 기름분리장치 등) 설치 적정 여부 | | 6-J. 제어반 | 6-J-001 | ● 겸용 감시·동력 제어반 성능 적정 여부(겸용으로 설치된 경우) | | 6-J-011 6-J-012 6-J-013 6-J-014 6-J-015 6-J-016 6-J-017 6-J-018 | [감시제어반] ○ 펌프 작동 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자동ㆍ수동 전환스위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작동 여부 ●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 수조·물올림탱크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각 확인회로 별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정상작동 여부 ○ 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시험 적합 여부 ● 감시제어반 전용실 적정 설치 및 관리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3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6-J-019 | ● 기계·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설비 외 설치 여부 | | 6-J-031 | [동력제어반] ○ 앞면은 적색으로 하고,“물분무소화설비용 동력제어반”표지 설치 여부 | | 6-J-041 | [발전기제어반] ● 소방전원보존형발전기는 이를 식별할 수 있는 표지 설치 여부 | | 6-K. 전원 | 6-K-001 6-K-002 6-K-003 6-K-004 | ● 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 적정 여부 ● 비상전원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6-L. 물분무헤드의 제외 | 6-L-001 | ● 헤드 설치 제외 적정 여부(설치 제외된 경우) | | ※ 펌프성능시험(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체절운전 | 정격운전 (100%)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적정 여부 | ㅇ설정압력: ㅇ주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예비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충압펌프 기동: MPa 정지: MPa | 토출량 (ℓ/min) | 주 | | | | 1.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2.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3.정격토출량의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 이상일 것( ) | 예비 | | | | 토출압 (MPa) | 주 | | | | 예비 | | | |
※ 릴리프밸브 작동압력 : MPa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7. 미분무소화설비 점검표 | (3쪽 중 1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7-A. 수원 | 7-A-001 7-A-002 7-A-003 7-A-004 | ○ 수원의 수질 및 필터(또는 스트레이너) 설치 여부 ● 주배관 유입측 필터(또는 스트레이너) 설치 여부 ○ 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 ● 첨가제의 양 산정 적정 여부(첨가제를 사용한 경우) | | 7-B. 수조 | 7-B-001 7-B-002 7-B-003 7-B-004 7-B-005 7-B-006 7-B-007 | ○ 전용 수조 사용 여부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수위계 설치 또는 수위 확인 가능 여부 ● 수조 외측 고정사다리 설치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 실내설치 시 조명설비 설치 여부 ○“미분무설비용 수조”표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미분무설비용 배관”표지설치 여부 | | 7-C. 가압송수장치 | 7-C-001 7-C-002 7-C-003 7-C-004 7-C-005 7-C-006 | [펌프방식]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전용 펌프 사용 여부 ○ 펌프 토출측 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성능시험배관을 통한 펌프 성능시험 적정 여부 ○ 내연기관 방식의 펌프 설치 적정(정상기동(기동장치 및 제어반) 여부, 축전지 상태, 연료량) 여부 ○ 가압송수장치의“미분무펌프”등 표지설치 여부 | | 7-C-011 7-C-012 7-C-013 7-C-014 7-C-015 7-C-016 | [압력수조방식]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전용 압력수조 사용 여부 ○ 압력수조의 압력 적정 여부 ○ 수위계·급수관·급기관·압력계·안전장치·공기압축기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압력수조 토출측 압력계 설치 및 적정 범위 여부 ○ 작동장치 구조 및 기능 적정 여부 | | 7-C-021 7-C-022 7-C-023 | [가압수조방식] ● 전용 가압수조 사용 여부 ● 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 수위계·급수관·배수관·급기관·압력계 등 구성품의 변형·손상 유무 | | 7-D. 폐쇄형 미분무소화설비의 방호구역 및 개방형 미분무소화설비의 방수구역 | 7-D-001 | ○ 방호(방수)구역의 설정기준(바닥면적, 층 등)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2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7-E. 배관 등 | 7-E-001 7-E-002 7-E-003 7-E-004 7-E-005 7-E-006 | ○ 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개폐표시형, 흡입측 버터플라이 제외) 및 작동표시스위치 적정(제어반 표시 및 경보, 스위치 동작 및 도통시험) 여부 ● 성능시험배관 설치(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유량측정장치) 적정 여부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유수검지장치 시험장치 설치 적정(설치위치, 배관구경, 개폐밸브 및 개방형 헤드, 물받이 통 및 배수관) 여부 ● 주차장에 설치된 미분무소화설비 방식 적정(습식 외의 방식) 여부 ● 다른 설비의 배관과의 구분 상태 적정 여부 | | 7-E-011 7-E-012 | [호스릴 방식] ● 방호대상물 각 부분으로부터 호스접결구까지 수평거리 적정 여부 ○ 소화약제저장용기의 위치표시등 정상 점등 및 표지 설치 여부 | | 7-F. 음향장치 | 7-F-001 7-F-002 7-F-003 7-F-004 7-F-005 7-F-006 7-F-007 | ○ 유수검지에 따른 음향장치 작동 가능 여부 ○ 개방형 미분무설비는 감지기 작동에 따라 음향장치 작동 여부 ● 음향장치 설치 담당구역 및 수평거리 적정 여부 ● 주 음향장치 수신기 내부 또는 직근 설치 여부 ● 우선경보방식에 따른 경보 적정 여부 ○ 음향장치(경종 등) 변형·손상 확인 및 정상 작동(음량 포함) 여부 ○ 발신기(설치높이, 설치거리, 표시등) 설치 적정 여부 | | 7-G. 헤 드 | 7-G-001 7-G-002 7-G-003 | ○ 헤드 설치 위치·장소·상태(고정) 적정 여부 ○ 헤드의 변형·손상 유무 ○ 헤드 살수장애 여부 | | 7-H. 전원 | 7-H-001 7-H-002 7-H-003 7-H-004 | ● 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 적정 여부 ● 비상전원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7-I. 제어반 | 7-I-001 7-I-002 7-I-003 7-I-004 7-I-005 7-I-006 | [감시제어반] ○ 펌프 작동 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자동·수동 전환스위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작동 여부 ●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 수조·물올림탱크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각 확인회로 별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정상작동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3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7-I-007 7-I-008 7-I-009 7-I-010 | ○ 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시험 적합 여부 ● 감시제어반 전용실 적정 설치 및 관리 여부 ● 기계·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설비 외 설치 여부 ○ 감시제어반과 수신기 간 상호 연동 여부(별도로 설치된 경우) | | 7-I-021 | [동력제어반] ○ 앞면은 적색으로 하고, “미분무소화설비용 동력제어반” 표지 설치 여부 | | 7-I-031 | [발전기제어반] ● 소방전원보존형발전기는 이를 식별할 수 있는 표지 설치 여부 | | ※ 펌프성능시험(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체절운전 | 정격운전 (100%)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적정 여부 | ㅇ설정압력: ㅇ주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예비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충압펌프 기동: MPa 정지: MPa | 토출량 (ℓ/min) | 주 | | | | 1.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2.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3.정격토출량의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 이상일 것( ) | 예비 | | | | 토출압 (MPa) | 주 | | | | 예비 | | | |
※ 릴리프밸브 작동압력 : MPa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8. 포소화설비 점검표 | (4쪽 중 1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8-A. 종류 및 적응성 | 8-A-001 | ● 특정소방대상물 별 포소화설비 종류 및 적응성 적정 여부 | | 8-B. 수원 | 8-B-001 | ○ 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 | 8-C. 수조 | 8-C-001 8-C-002 8-C-003 8-C-004 8-C-005 8-C-006 8-C-007 |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수위계 설치 또는 수위 확인 가능 여부 ● 수조 외측 고정사다리 설치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 실내설치 시 조명설비 설치 여부 ○ “포소화설비용 수조” 표지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의 이름 표시한 표지설치 여부 ● 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 “포소화설비용 배관” 표지설치 여부 | | 8-D. 가압송수장치 | 8-D-001 8-D-002 8-D-003 8-D-004 8-D-005 8-D-006 8-D-007 8-D-008 8-D-009 | [펌프방식]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성능시험배관을 통한 펌프 성능시험 적정 여부 ●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인 경우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 펌프 흡입측 연성계·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기동장치 적정 설치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 물올림장치 설치 적정(전용 여부,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여부 ● 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 내연기관 방식의 펌프 설치 적정(정상기동(기동장치 및 제어반) 여부, 축전지 상태, 연료량) 여부 ○ 가압송수장치의 “포소화설비펌프” 표지설치 여부 또는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 표시 부착 여부 | | 8-D-021 | [고가수조방식] ○ 수위계·배수관·급수관·오버플로우관·맨홀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8-D-031 8-D-032 | [압력수조방식] ● 압력수조의 압력 적정 여부 ○ 수위계·급수관·급기관·압력계·안전장치·공기압축기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8-D-041 8-D-042 | [가압수조방식] ● 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 수위계·급수관·배수관·급기관·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2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8-E. 배관 등 | 8-E-001 8-E-002 8-E-003 8-E-004 8-E-005 8-E-006 8-E-007 8-E-008 | ● 송액관 기울기 및 배액밸브 설치 적정 여부 ● 펌프의 흡입측 배관 여과장치의 상태 확인 ● 성능시험배관 설치(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유량측정장치) 적정 여부 ● 순환배관 설치(설치위치·배관구경,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적정 여부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개폐표시형, 흡입측 버터플라이 제외) 적정 여부 ○ 급수배관 개폐밸브 작동표시스위치 설치 적정(제어반 표시 및 경보, 스위치 동작 및 도통시험, 전기배선 종류) 여부 ● 다른 설비의 배관과의 구분 상태 적정 여부 | | 8-F. 송수구 | 8-F-001 8-F-002 8-F-003 8-F-004 8-F-005 8-F-006 8-F-007 | ○ 설치장소 적정 여부 ● 연결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경우 개폐상태 확인 및 조작가능 여부 ● 송수구 설치 높이 및 구경 적정 여부 ○ 송수압력범위 표시 표지 설치 여부 ● 송수구 설치 개수 적정 여부 ● 자동배수밸브(또는 배수공)·체크밸브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적정 여부 ○ 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 | | 8-G. 저장탱크 | 8-G-001 8-G-002 8-G-003 8-G-004 | ● 포약제 변질 여부 ● 액면계 또는 계량봉 설치상태 및 저장량 적정 여부 ● 그라스게이지 설치 여부(가압식이 아닌 경우) ○ 포소화약제 저장량의 적정 여부 | | 8-H. 개방밸브 | 8-H-001 8-H-002 | ○ 자동 개방밸브 설치 및 화재감지장치의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되는지 여부 ○ 수동식 개방밸브 적정 설치 및 작동 여부 | | 8-I. 기동장치 | 8-I-001 8-I-002 8-I-003 8-I-004 | [수동식 기동장치] ○ 직접·원격조작 가압송수장치·수동식개방밸브·소화약제혼합장치 기동 여부 ● 기동장치 조작부의 접근성 확보, 설치 높이, 보호장치 설치 적정 여부 ○ 기동장치 조작부 및 호스접결구 인근“기동장치의 조작부”및“접결구”표지설치 여부 ● 수동식 기동장치 설치개수 적정 여부 | | 8-I-011 8-I-012 8-I-013 | [자동식 기동장치] ○ 화재감지기 또는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개방과 연동하여 가압송수장치․ 일제개방밸브 및 포소화약제 혼합장치 기동 여부 ●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적정 여부 ● 화재감지기 및 발신기 설치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3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8-I-014 | ● 동결우려 장소 자동식기동장치 자동화재탐지설비 연동 여부 | | 8-I-021 8-I-022 8-I-023 | [자동경보장치] ○ 방사구역 마다 발신부(또는 층별 유수검지장치) 설치 여부 ○ 수신기는 설치 장소 및 헤드개방·감지기 작동 표시장치 설치 여부 ● 2 이상 수신기 설치 시 수신기간 상호 동시 통화 가능 여부 | | 8-J. 포헤드 및 고정포방출구 | 8-J-001 8-J-002 8-J-003 | [포헤드] ○ 헤드의 변형·손상 유무 ○ 헤드 수량 및 위치 적정 여부 ○ 헤드 살수장애 여부 | | 8-J-011 8-J-012 8-J-013 | [호스릴포소화설비 및 포소화전설비] ○ 방수구와 호스릴함 또는 호스함 사이의 거리 적정 여부 ○ 호스릴함 또는 호스함 설치 높이, 표지 및 위치표시등 설치 여부 ● 방수구 설치 및 호스릴․호스 길이 적정 여부 | | 8-J-021 8-J-022 8-J-023 8-J-024 | [전역방출방식의 고발포용 고정포 방출구] ○ 개구부 자동폐쇄장치 설치 여부 ● 방호구역의 관포체적에 대한 포수용액 방출량 적정 여부 ● 고정포방출구 설치 개수 적정 여부 ○ 고정포방출구 설치 위치(높이) 적정 여부 | | 8-J-031 8-J-032 | [국소방출방식의 고발포용 고정포 방출구] ● 방호대상물 범위 설정 적정 여부 ● 방호대상물별 방호면적에 대한 포수용액 방출량 적정 여부 | | 8-K. 전원 | 8-K-001 8-K-002 8-K-003 8-K-004 | ● 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 적정 여부 ● 비상전원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8-L. 제어반 | 8-L-001 | ● 겸용 감시·동력 제어반 성능 적정 여부(겸용으로 설치된 경우) | | 8-L-011 8-L-012 8-L-013 8-L-014 8-L-015 8-L-016 8-L-017 | [감시제어반] ○ 펌프 작동 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자동·수동 전환스위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작동 여부 ●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 수조·물올림탱크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각 확인회로 별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정상작동 여부 ○ 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시험 적합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4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8-L-018 8-L-019 | ● 감시제어반 전용실 적정 설치 및 관리 여부 ● 기계·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설비 외 설치 여부 | | 8-L-031 | [동력제어반] ○ 앞면은 적색으로 하고,“포소화설비용 동력제어반”표지 설치 여부 | | 8-L-041 | [발전기제어반] ● 소방전원보존형발전기는 이를 식별할 수 있는 표지 설치 여부 | | ※ 펌프성능시험(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체절운전 | 정격운전 (100%)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적정 여부 | ㅇ설정압력: ㅇ주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예비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충압펌프 기동: MPa 정지: MPa | 토출량 (ℓ/min) | 주 | | | | 1.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2.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3.정격토출량의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 이상일 것( ) | 예비 | | | | 토출압 (MPa) | 주 | | | | 예비 | | | |
※ 릴리프밸브 작동압력 : MPa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9.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점검표 | (4쪽 중 1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9-A. 저장용기 | 9-A-001 9-A-002 9-A-003 9-A-004 9-A-005 9-A-006 | ●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저장용기 설치장소 표지 설치 여부 ● 저장용기 설치 간격 적정 여부 ○ 저장용기 개방밸브 자동·수동 개방 및 안전장치 부착 여부 ● 저장용기와 집합관 연결배관 상 체크밸브 설치 여부 ● 저장용기와 선택밸브(또는 개폐밸브) 사이 안전장치 설치 여부 | | 9-A-011 9-A-012 9-A-013 | [저압식] ● 안전밸브 및 봉판 설치 적정(작동 압력) 여부 ● 액면계․압력계 설치 여부 및 압력강하경보장치 작동 압력 적정 여부 ○ 자동냉동장치의 기능 | | 9-B. 소화약제 | 9-B-001 | ○ 소화약제 저장량 적정 여부 | | 9-C. 기동장치 | 9-C-001 | ○ 방호구역별 출입구 부근 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 9-C-011 9-C-012 9-C-013 9-C-014 | [수동식 기동장치] ○ 기동장치 부근에 비상스위치 설치 여부 ● 방호구역별 또는 방호대상별 기동장치 설치 여부 ○ 기동장치 설치 적정(출입구 부근 등, 높이, 보호장치, 표지, 전원표시등) 여부 ○ 방출용 스위치 음향경보장치 연동 여부 | | 9-C-021 9-C-022 9-C-023 9-C-024 9-C-025 | [자동식 기동장치] ○ 감지기 작동과의 연동 및 수동기동 가능 여부 ● 저장용기 수량에 따른 전자 개방밸브 수량 적정 여부(전기식 기동장치의 경우) ○ 기동용 가스용기의 용적, 충전압력 적정 여부(가스압력식 기동장치의 경우) ● 기동용 가스용기의 안전장치, 압력게이지 설치 여부(가스압력식 기동장치의 경우) ● 저장용기 개방구조 적정 여부(기계식 기동장치의 경우) | | 9-D. 제어반 및 화재표시반 | 9-D-001 9-D-002 9-D-003 | ○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회로도 및 취급설명서 비치 여부 ● 수동잠금밸브 개폐여부 확인 표시등 설치 여부 | | 9-D-011 9-D-012 9-D-013 | [제어반] ○ 수동기동장치 또는 감지기 신호 수신 시 음향경보장치 작동 기능 정상 여부 ○ 소화약제 방출·지연 및 기타 제어 기능 적정 여부 ○ 전원표시등 설치 및 정상 점등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2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9-D-021 9-D-022 9-D-023 9-D-024 | [화재표시반] ○ 방호구역별 표시등(음향경보장치 조작, 감지기 작동), 경보기 설치 및 작동 여부 ○ 수동식 기동장치 작동표시 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자동식기동장치 자동·수동 절환 및 절환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 9-E. 배관 등 | 9-E-001 9-E-002 | ○ 배관의 변형․손상 유무 ● 수동잠금밸브 설치 위치 적정 여부 | | 9-F. 선택밸브 | 9-F-001 | ● 선택밸브 설치 기준 적합 여부 | | 9-G. 분사헤드 | 9-G-001 9-G-002 | [전역방출방식] ○ 분사헤드의 변형·손상 유무 ● 분사헤드의 설치위치 적정 여부 | | 9-G-011 9-G-012 | [국소방출방식] ○ 분사헤드의 변형·손상 유무 ● 분사헤드의 설치장소 적정 여부 | | 9-G-021 9-G-022 9-G-023 | [호스릴방식] ● 방호대상물 각 부분으로부터 호스접결구까지 수평거리 적정 여부 ○ 소화약제저장용기의 위치표시등 정상 점등 및 표지 설치 여부 ● 호스릴소화설비 설치장소 적정 여부 | | 9-H. 화재감지기 | 9-H-001 9-H-002 9-H-003 | ○ 방호구역별 화재감지기 감지에 의한 기동장치 작동 여부 ● 교차회로(또는 NFSC 203 제7조제1항 단서 감지기) 설치 여부 ● 화재감지기별 유효 바닥면적 적정 여부 | | 9-I. 음향경보장치 | 9-I-001 9-I-002 9-I-003 | ○ 기동장치 조작 시(수동식-방출용스위치, 자동식-화재감지기) 경보 여부 ○ 약제 방사 개시(또는 방출 압력스위치 작동) 후 경보 적정 여부 ●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 구획 안에서 유효한 경보 가능 여부 | | 9-I-011 9-I-012 9-I-013 | [방송에 따른 경보장치] ● 증폭기 재생장치의 설치장소 적정 여부 ● 방호구역·방호대상물에서 확성기 간 수평거리 적정 여부 ● 제어반 복구스위치 조작 시 경보 지속 여부 | | 9-J. 자동폐쇄장치 | 9-J-001 9-J-002 | ○ 환기장치 자동정지 기능 적정 여부 ○ 개구부 및 통기구 자동폐쇄장치 설치 장소 및 기능 적합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 (4쪽 중 3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9-J-003 | ● 자동폐쇄장치 복구장치 설치기준 적합 및 위치표지 적합 여부 | | 9-K. 비상전원 | 9-K-001 9-K-002 9-K-003 | ●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9-L. 배출설비 | 9-L-001 | ● 배출설비 설치상태 및 관리 여부 | | 9-M. 과압배출구 | 9-M-001 | ● 과압배출구 설치상태 및 관리 여부 | | 9-N. 안전시설 등 | 9-N-001 9-N-002 9-N-003 | ○ 소화약제 방출알림 시각경보장치 설치기준 적합 및 정상 작동 여부 ○ 방호구역 출입구 부근 잘 보이는 장소에 소화약제 방출 위험경고표지 부착 여부 ○ 방호구역 출입구 외부 인근에 공기호흡기 설치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 약제저장량 점검리스트 | (4쪽 중 4쪽) | 설치위치 | 용기 No. | 실내 온도(℃) | 약제높이 (cm) | 충전량 (kg) | 손실량 (kg) | 점검 결과 | 비고 | | | | | | | | ※ 약제량 손실 5% 초과 시 불량으로 판정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0mm×297mm [백상지(80g/㎡)] |
10. 할론소화설비 점검표 | (3쪽 중 1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0-A. 저장용기 | 10-A-001 10-A-002 10-A-003 10-A-004 10-A-005 10-A-006 10-A-007 10-A-008 10-A-009 | ●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저장용기 설치장소 표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저장용기 설치 간격 적정 여부 ○ 저장용기 개방밸브 자동·수동 개방 및 안전장치 부착 여부 ● 저장용기와 집합관 연결배관 상 체크밸브 설치 여부 ● 저장용기와 선택밸브(또는 개폐밸브) 사이 안전장치 설치 여부 ○ 축압식 저장용기의 압력 적정 여부 ● 가압용 가스용기 내 질소가스 사용 및 압력 적정 여부 ● 가압식 저장용기 압력조정장치 설치 여부 | | 10-B. 소화약제 | 10-B-001 | ○ 소화약제 저장량 적정 여부 | | 10-C. 기동장치 | 10-C-001 | ○ 방호구역별 출입구 부근 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 10-C-011 10-C-012 10-C-013 10-C-014 | [수동식 기동장치] ○ 기동장치 부근에 비상스위치 설치 여부 ● 방호구역별 또는 방호대상별 기동장치 설치 여부 ○ 기동장치 설치상태 적정(출입구 부근 등, 높이, 보호장치, 표지, 전원표시등) 여부 ○ 방출용 스위치 음향경보장치 연동 여부 | | 10-C-021 10-C-022 10-C-023 10-C-024 10-C-025 | [자동식 기동장치] ○ 감지기 작동과의 연동 및 수동기동 가능 여부 ● 저장용기 수량에 따른 전자 개방밸브 수량 적정 여부(전기식 기동장치의 경우) ○ 기동용 가스용기의 용적, 충전압력 적정 여부(가스압력식 기동장치의 경우) ● 기동용 가스용기의 안전장치, 압력게이지 설치 여부(가스압력식 기동장치의 경우) ● 저장용기 개방구조 적정 여부(기계식 기동장치의 경우) | | 10-D. 제어반 및 화재표시반 | 10-D-001 10-D-002 | ○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회로도 및 취급설명서 비치 여부 | | 10-D-011 10-D-012 10-D-013 | [제어반] ○ 수동기동장치 또는 감지기 신호 수신 시 음향경보장치 작동 기능 정상 여부 ○ 소화약제 방출·지연 및 기타 제어 기능 적정 여부 ○ 전원표시등 설치 및 정상 점등 여부 | | 10-D-021 10-D-022 10-D-023 | [화재표시반] ○ 방호구역별 표시등(음향경보장치 조작, 감지기 작동), 경보기 설치 및 작동 여부 ○ 수동식 기동장치 작동표시 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2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0-D-024 | ● 자동식기동장치 자동·수동 절환 및 절환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 10-E. 배관 등 | 10-E-001 | ○ 배관의 변형․손상 유무 | | 10-F. 선택밸브 | 10-F-001 | ● 선택밸브 설치 기준 적합 여부 | | 10-G. 분사헤드 | 10-G-001 10-G-002 | [전역방출방식] ○ 분사헤드의 변형·손상 유무 ● 분사헤드의 설치위치 적정 여부 | | 10-G-011 10-G-012 | [국소방출방식] ○ 분사헤드의 변형·손상 유무 ● 분사헤드의 설치장소 적정 여부 | | 10-G-021 10-G-022 10-G-023 | [호스릴방식] ● 방호대상물 각 부분으로부터 호스접결구까지 수평거리 적정 여부 ○ 소화약제저장용기의 위치표시등 정상 점등 및 표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호스릴소화설비 설치장소 적정 여부 | | 10-H. 화재감지기 | 10-H-001 10-H-002 10-H-003 | ○ 방호구역별 화재감지기 감지에 의한 기동장치 작동 여부 ● 교차회로(또는 NFSC 203 제7조제1항 단서 감지기) 설치 여부 ● 화재감지기별 유효 바닥면적 적정 여부 | | 10-I. 음향경보장치 | 10-I-001 10-I-002 10-I-003 | ○ 기동장치 조작 시(수동식-방출용스위치, 자동식-화재감지기) 경보 여부 ○ 약제 방사 개시(또는 방출 압력스위치 작동) 후 경보 적정 여부 ●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 구획 안에서 유효한 경보 가능 여부 | | 10-I-011 10-I-012 10-I-013 | [방송에 따른 경보장치] ● 증폭기 재생장치의 설치장소 적정 여부 ● 방호구역·방호대상물에서 확성기 간 수평거리 적정 여부 ● 제어반 복구스위치 조작 시 경보 지속 여부 | | 10-J. 자동폐쇄장치 | 10-J-001 10-J-002 10-J-003 | ○ 환기장치 자동정지 기능 적정 여부 ○ 개구부 및 통기구 자동폐쇄장치 설치 장소 및 기능 적합 여부 ● 자동폐쇄장치 복구장치 및 위치표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 10-K. 비상전원 | 10-K-001 10-K-002 10-K-003 | ●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210mm×297mm [백상지(80g/㎡)] |
※ 약제저장량 점검리스트 | (3쪽 중 3쪽) | 설치위치 | 용기 No. | 실내 온도(℃) | 약제높이 (cm) | 충전량 (kg) | 손실량 (kg) | 점검 결과 | 비고 | | | | | | | | ※ 약제량 손실 5% 초과 시 불량으로 판정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0mm×297mm [백상지(80g/㎡)] |
11.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 점검표 | (3쪽 중 1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1-A. 저장용기 | 11-A-001 11-A-002 11-A-003 11-A-004 11-A-005 | ●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저장용기 설치장소 표지 설치 여부 ● 저장용기 설치 간격 적정 여부 ○ 저장용기 개방밸브 자동·수동 개방 및 안전장치 부착 여부 ● 저장용기와 집합관 연결배관 상 체크밸브 설치 여부 | | 11-B. 소화약제 | 11-B-001 | ○ 소화약제 저장량 적정 여부 | | 11-C. 기동장치 | 11-C-001 | ○ 방호구역별 출입구 부근 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 11-C-011 11-C-012 11-C-013 11-C-014 | [수동식 기동장치] ○ 기동장치 부근에 비상스위치 설치 여부 ● 방호구역별 또는 방호대상별 기동장치 설치 여부 ○ 기동장치 설치 적정(출입구 부근 등, 높이, 보호장치, 표지, 전원표시등) 여부 ○ 방출용 스위치 음향경보장치 연동 여부 | | 11-C-021 11-C-022 11-C-023 11-C-024 11-C-025 | [자동식 기동장치] ○ 감지기 작동과의 연동 및 수동기동 가능 여부 ● 저장용기 수량에 따른 전자 개방밸브 수량 적정 여부(전기식 기동장치의 경우) ○ 기동용 가스용기의 용적, 충전압력 적정 여부(가스압력식 기동장치의 경우) ● 기동용 가스용기의 안전장치, 압력게이지 설치 여부(가스압력식 기동장치의 경우) ● 저장용기 개방구조 적정 여부(기계식 기동장치의 경우) | | 11-D. 제어반 및 화재표시반 | 11-D-001 11-D-002 | ○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회로도 및 취급설명서 비치 여부 | | 11-D-011 11-D-012 11-D-013 | [제어반] ○ 수동기동장치 또는 감지기 신호 수신 시 음향경보장치 작동 기능 정상 여부 ○ 소화약제 방출·지연 및 기타 제어 기능 적정 여부 ○ 전원표시등 설치 및 정상 점등 여부 | | 11-D-021 11-D-022 11-D-023 11-D-024 | [화재표시반] ○ 방호구역별 표시등(음향경보장치 조작, 감지기 작동), 경보기 설치 및 작동 여부 ○ 수동식 기동장치 작동표시 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자동식기동장치 자동·수동 절환 및 절환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 11-E. 배관 등 | 11-E-001 | ○ 배관의 변형·손상 유무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2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1-F. 선택밸브 | 11-F-001 | ○ 선택밸브 설치 기준 적합 여부 | | 11-G. 분사헤드 | 11-G-001 11-G-002 | ○ 분사헤드의 변형․손상 유무 ● 분사헤드의 설치높이 적정 여부 | | 11-H. 화재감지기 | 11-H-001 11-H-002 11-H-003 | ○ 방호구역별 화재감지기 감지에 의한 기동장치 작동 여부 ● 교차회로(또는 NFSC 203 제7조제1항 단서 감지기) 설치 여부 ● 화재감지기별 유효 바닥면적 적정 여부 | | 11-I. 음향경보장치 | 11-I-001 11-I-002 11-I-003 | ○ 기동장치 조작 시(수동식-방출용스위치, 자동식-화재감지기) 경보 여부 ○ 약제 방사 개시(또는 방출 압력스위치 작동) 후 경보 적정 여부 ●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 구획 안에서 유효한 경보 가능 여부 | | 11-I-011 11-I-012 11-I-013 | [방송에 따른 경보장치] ● 증폭기 재생장치의 설치장소 적정 여부 ● 방호구역·방호대상물에서 확성기 간 수평거리 적정 여부 ● 제어반 복구스위치 조작 시 경보 지속 여부 | | 11-J. 자동폐쇄장치 | 11-J-001 11-J-002 11-J-003 | [화재표시반] ○ 환기장치 자동정지 기능 적정 여부 ○ 개구부 및 통기구 자동폐쇄장치 설치 장소 및 기능 적합 여부 ● 자동폐쇄장치 복구장치 설치기준 적합 및 위치표지 적합 여부 | | 11-K. 비상전원 | 11-K-001 11-K-002 11-K-003 | ●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11-L. 과압배출구 | 11-L-001 | ● 과압배출구 설치상태 및 관리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 약제저장량 점검리스트 | (3쪽 중 3쪽) | 설치위치 | 용기 No. | 실내온도 (℃) | 약제높이 (㎝) | 충전량(압) (㎏)(㎏/㎠) | 손실량 (㎏) | 점검 결과 | 비고 (손실5%초과) | | | | | | | | ※ 약제량 손실 (불활성기체는 압력손실) 5% 초과 시 불량으로 판정합니다. ※ 불활성기체는 손실량에 압력게이지 값을 기록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0mm×297mm [백상지(80g/㎡)] |
12. 분말소화설비 점검표 | (3쪽 중 1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2-A. 저장용기 | 12-A-001 12-A-002 12-A-003 12-A-004 12-A-005 12-A-006 12-A-007 12-A-008 12-A-009 | ●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저장용기 설치장소 표지 설치 여부 ● 저장용기 설치 간격 적정 여부 ○ 저장용기 개방밸브 자동·수동 개방 및 안전장치 부착 여부 ● 저장용기와 집합관 연결배관 상 체크밸브 설치 여부 ● 저장용기 안전밸브 설치 적정 여부 ● 저장용기 정압작동장치 설치 적정 여부 ● 저장용기 청소장치 설치 적정 여부 ○ 저장용기 지시압력계 설치 및 충전압력 적정 여부(축압식의 경우) | | 12-B. 가압용 가스용기 | 12-B-001 12-B-002 12-B-003 12-B-004 12-B-005 | ○ 가압용 가스용기 저장용기 접속 여부 ○ 가압용 가스용기 전자개방밸브 부착 적정 여부 ○ 가압용 가스용기 압력조정기 설치 적정 여부 ○ 가압용 또는 축압용 가스 종류 및 가스량 적정 여부 ● 배관 청소용 가스 별도 용기 저장 여부 | | 12-C. 소화약제 | 12-C-001 | ○ 소화약제 저장량 적정 여부 | | 12-D. 기동장치 | 12-D-001 | ○ 방호구역별 출입구 부근 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 12-D-011 12-D-012 12-D-013 12-D-014 | [수동식 기동장치] ○ 기동장치 부근에 비상스위치 설치 여부 ● 방호구역별 또는 방호대상별 기동장치 설치 여부 ○ 기동장치 설치 적정(출입구 부근 등, 높이, 보호장치, 표지, 전원표시등) 여부 ○ 방출용 스위치 음향경보장치 연동 여부 | | 12-D-021 12-D-022 12-D-023 12-D-024 12-D-025 | [자동식 기동장치] ○ 감지기 작동과의 연동 및 수동기동 가능 여부 ● 저장용기 수량에 따른 전자 개방밸브 수량 적정 여부(전기식 기동장치의 경우) ○ 기동용 가스용기의 용적, 충전압력 적정 여부(가스압력식 기동장치의 경우) ● 기동용 가스용기의 안전장치, 압력게이지 설치 여부(가스압력식 기동장치의 경우) ● 저장용기 개방구조 적정 여부(기계식 기동장치의 경우) | | 12-E. 제어반 및 화재표시반 | 12-E-001 12-E-002 | ○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회로도 및 취급설명서 비치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2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2-E-011 12-E-012 12-E-013 | [제어반] ○ 수동기동장치 또는 감지기 신호 수신 시 음향경보장치 작동 기능 정상 여부 ○ 소화약제 방출·지연 및 기타 제어 기능 적정 여부 ○ 전원표시등 설치 및 정상 점등 여부 | | 12-E-021 12-E-022 12-E-023 12-E-024 | [화재표시반] ○ 방호구역별 표시등(음향경보장치 조작, 감지기 작동), 경보기 설치 및 작동 여부 ○ 수동식 기동장치 작동표시 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자동식기동장치 자동·수동 절환 및 절환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 12-F. 배관 등 | 12-F-001 | ○ 배관의 변형·손상 유무 | | 12-G. 선택밸브 | 12-G-001 | ○ 선택밸브 설치 기준 적합 여부 | | 12-H. 분사헤드 | 12-H-001 12-H-002 | [전역방출방식] ○ 분사헤드의 변형·손상 유무 ● 분사헤드의 설치위치 적정 여부 | | 12-H-011 12-H-012 | [국소방출방식] ○ 분사헤드의 변형·손상 유무 ● 분사헤드의 설치장소 적정 여부 | | 12-H-021 12-H-022 12-H-023 | [호스릴방식] ● 방호대상물 각 부분으로부터 호스접결구까지 수평거리 적정 여부 ○ 소화약제저장용기의 위치표시등 정상 점등 및 표지 설치 여부 ● 호스릴소화설비 설치장소 적정 여부 | | 12-I. 화재감지기 | 12-I-001 12-I-002 12-I-003 | ○ 방호구역별 화재감지기 감지에 의한 기동장치 작동 여부 ● 교차회로(또는 NFSC 203 제7조제1항 단서 감지기) 설치 여부 ● 화재감지기별 유효 바닥면적 적정 여부 | | 12-J. 음향경보장치 | 12-J-001 12-J-002 12-J-003 | ○ 기동장치 조작 시(수동식-방출용스위치, 자동식-화재감지기) 경보 여부 ○ 약제 방사 개시(또는 방출 압력스위치 작동) 후 1분 이상 경보 여부 ●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 구획 안에서 유효한 경보 가능 여부 | | 12-J-011 12-J-012 12-J-013 | [방송에 따른 경보장치] ● 증폭기 재생장치의 설치장소 적정 여부 ● 방호구역·방호대상물에서 확성기 간 수평거리 적정 여부 ● 제어반 복구스위치 조작 시 경보 지속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3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2-K. 비상전원 | 12-K-001 12-K-002 12-K-003 | ●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13. 옥외소화전설비 점검표 | (3쪽 중 1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3-A. 수원 | 13-A-001 | ○ 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 | 13-B. 수조 | 13-B-001 13-B-002 13-B-003 13-B-004 13-B-005 13-B-006 13-B-007 |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수위계 설치 또는 수위 확인 가능 여부 ● 수조 외측 고정사다리 설치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 실내설치 시 조명설비 설치 여부 ○“옥외소화전설비용 수조”표지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의 이름 표시한 표지설치 여부 ● 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옥외소화전설비용 배관”표지설치 여부 | | 13-C. 가압송수장치 | 13-C-001 13-C-002 13-C-003 13-C-004 13-C-005 13-C-006 13-C-007 13-C-008 13-C-009 13-C-010 13-C-011 13-C-012 | [펌프방식]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옥외소화전 방수량 및 방수압력 적정 여부 ● 감압장치 설치 여부(방수압력 0.7MPa 초과 조건) ○ 성능시험배관을 통한 펌프 성능시험 적정 여부 ●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인 경우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 펌프 흡입측 연성계․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기동장치 적정 설치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 기동스위치 설치 적정 여부(ON/OFF 방식) ● 물올림장치 설치 적정(전용 여부,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여부 ● 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 내연기관 방식의 펌프 설치 적정(정상기동(기동장치 및 제어반) 여부, 축전지 상태, 연료량) 여부 ○ 가압송수장치의“옥외소화전펌프”표지설치 여부 또는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 표시 부착 여부 | | 13-C-021 | [고가수조방식] ○ 수위계·배수관·급수관·오버플로우관·맨홀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13-C-031 13-C-032 | [압력수조방식] ● 압력수조의 압력 적정 여부 ○ 수위계·급수관·급기관·압력계·안전장치·공기압축기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13-C-041 13-C-042 | [가압수조방식] ● 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 수위계·급수관·배수관·급기관․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2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3-D. 배관 등 | 13-D-001 13-D-002 13-D-003 13-D-004 13-D-005 13-D-006 13-D-007 13-D-008 | ● 호스접결구 높이 및 각 부분으로부터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 적정 여부 ○ 호스 구경 적정 여부 ● 펌프의 흡입측 배관 여과장치의 상태 확인 ● 성능시험배관 설치(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유량측정장치) 적정 여부 ● 순환배관 설치(설치위치·배관구경,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적정 여부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개폐표시형, 흡입측 버터플라이 제외) 적정 여부 ● 다른 설비의 배관과의 구분 상태 적정 여부 | | 13-E. 소화전함 등 | 13-E-001 13-E-002 13-E-003 13-E-004 13-E-005 13-E-006 | ○ 함 개방 용이성 및 장애물 설치 여부 등 사용 편의성 적정 여부 ○ 위치·기동 표시등 적정 설치 및 정상 점등 여부 ○ “옥외소화전”표시 설치 여부 ● 소화전함 설치 수량 적정 여부 ○ 옥외소화전함 내 소방호스, 관창, 옥외소화전개방 장치 비치 여부 ○ 호스의 접결상태, 구경, 방수 거리 적정 여부 | | 13-F. 전원 | 13-F-001 13-F-002 13-F-003 13-F-004 | ● 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 적정 여부 ● 비상전원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13-G. 제어반 | 13-G-001 | ● 겸용 감시·동력 제어반 성능 적정 여부(겸용으로 설치된 경우) | | 13-G-011 13-G-012 13-G-013 13-G-014 13-G-015 13-G-016 13-G-017 13-G-018 13-G-019 | [감시제어반] ○ 펌프 작동 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자동·수동 전환스위치 정상작동 여부 ● 펌프 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작동 여부 ●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 수조·물올림탱크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 각 확인회로 별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정상작동 여부 ○ 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시험 적합 여부 ● 감시제어반 전용실 적정 설치 및 관리 여부 ● 기계·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설비 외 설치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3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3-G-031 | [동력제어반] ○ 앞면은 적색으로 하고,“옥외소화전설비용 동력제어반”표지 설치 여부 | | 13-G-041 | [발전기제어반] ● 소방전원보존형발전기는 이를 식별할 수 있는 표지 설치 여부 | | ※ 펌프성능시험(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체절운전 | 정격운전 (100%)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적정 여부 | ㅇ설정압력: ㅇ주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예비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충압펌프 기동: MPa 정지: MPa | 토출량 (ℓ/min) | 주 | | | | 1.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2.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3.정격토출량의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 이상일 것( ) | 예비 | | | | 토출압 (MPa) | 주 | | | | 예비 | | | |
※ 릴리프밸브 작동압력 : MPa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14.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4-A. 비상경보설비 | 14-A-001 14-A-002 14-A-003 14-A-004 14-A-005 14-A-006 14-A-007 14-A-008 | ○ 수신기 설치장소 적정(관리용이) 및 스위치 정상 위치 여부 ○ 수신기 상용전원 공급 및 전원표시등 정상점등 여부 ○ 예비전원(축전지) 상태 적정 여부(상시 충전, 상용전원 차단 시 자동절환) ○ 지구음향장치 설치기준 적합 여부 ○ 음향장치(경종 등) 변형·손상 확인 및 정상 작동(음량 포함) 여부 ○ 발신기 설치 장소, 위치(수평거리) 및 높이 적정 여부 ○ 발신기 변형·손상 확인 및 정상 작동 여부 ○ 위치표시등 변형·손상 확인 및 정상 점등 여부 | | 14-B. 단독경보형감지기 | 14-B-001 14-B-002 14-B-003 | ○ 설치 위치(각 실, 바닥면적 기준 추가설치, 최상층 계단실) 적정 여부 ○ 감지기의 변형 또는 손상이 있는지 여부 ○ 정상적인 감시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시험작동 포함)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15.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 점검표 | (2쪽 중 1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5-A. 경계구역 | 15-A-001 15-A-002 | ● 경계구역 구분 적정 여부 ● 감지기를 공유하는 경우 스프링클러․물분무소화․제연설비 경계구역 일치 여부 | | 15-B. 수신기 | 15-B-001 15-B-002 15-B-003 15-B-004 15-B-005 15-B-006 15-B-007 15-B-008 15-B-009 15-B-010 | ○ 수신기 설치장소 적정(관리용이) 여부 ○ 조작스위치의 높이는 적정하며 정상 위치에 있는지 여부 ● 개별 경계구역 표시 가능 회선수 확보 여부 ● 축적기능 보유 여부(환기·면적·높이 조건 해당할 경우) ○ 경계구역 일람도 비치 여부 ○ 수신기 음향기구의 음량․음색 구별 가능 여부 ● 감지기․중계기․발신기 작동 경계구역 표시 여부(종합방재반 연동 포함) ● 1개 경계구역 1개 표시등 또는 문자 표시 여부 ● 하나의 대상물에 수신기가 2 이상 설치된 경우 상호 연동되는지 여부 ○ 수신기 기록장치 데이터 발생 표시시간과 표준시간 일치 여부 | | 15-C. 중계기 | 15-C-001 15-C-002 15-C-003 15-C-004 15-C-005 | ● 중계기 설치위치 적정 여부(수신기에서 감지기회로 도통시험하지 않는 경우) ● 설치 장소(조작·점검 편의성, 화재·침수 피해 우려) 적정 여부 ● 전원입력 측 배선 상 과전류차단기 설치 여부 ● 중계기 전원 정전 시 수신기 표시 여부 ● 상용전원 및 예비전원 시험 적정 여부 | | 15-D. 감지기 | 15-D-001 15-D-002 15-D-003 15-D-004 15-D-005 15-D-006 15-D-007 15-D-008 15-D-009 | ● 부착 높이 및 장소별 감지기 종류 적정 여부 ● 특정 장소(환기불량, 면적협소, 저층고)에 적응성이 있는 감지기 설치 여부 ○ 연기감지기 설치장소 적정 설치 여부 ● 감지기와 실내로의 공기유입구 간 이격거리 적정 여부 ● 감지기 부착면 적정 여부 ○ 감지기 설치(감지면적 및 배치거리) 적정 여부 ● 감지기별 세부 설치기준 적합 여부 ● 감지기 설치제외 장소 적합 여부 ○ 감지기 변형·손상 확인 및 작동시험 적합 여부 | | 15-E. 음향장치 | 15-E-001 15-E-002 15-E-003 | ○ 주음향장치 및 지구음향장치 설치 적정 여부 ○ 음향장치(경종 등) 변형·손상 확인 및 정상 작동(음량 포함) 여부 ● 우선경보 기능 정상작동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2쪽 중 2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5-F. 시각경보장치 | 15-F-001 15-F-002 | ○ 시각경보장치 설치 장소 및 높이 적정 여부 ○ 시각경보장치 변형·손상 확인 및 정상 작동 여부 | | 15-G. 발신기 | 15-G-001 15-G-002 15-G-003 | ○ 발신기 설치 장소, 위치(수평거리) 및 높이 적정 여부 ○ 발신기 변형·손상 확인 및 정상 작동 여부 ○ 위치표시등 변형·손상 확인 및 정상 점등 여부 | | 15-H. 전원 | 15-H-001 15-H-002 | ○ 상용전원 적정 여부 ○ 예비전원 성능 적정 및 상용전원 차단 시 예비전원 자동전환 여부 | | 15-I. 배선 | 15-I-001 15-I-002 15-I-003 15-I-004 15-I-005 | ● 종단저항 설치 장소, 위치 및 높이 적정 여부 ● 종단저항 표지 부착 여부(종단감지기에 설치할 경우) ○ 수신기 도통시험 회로 정상 여부 ● 감지기회로 송배전식 적용 여부 ● 1개 공통선 접속 경계구역 수량 적정 여부(P형 또는 GP형의 경우)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16. 비상방송설비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6-A. 음향장치 | 16-A-001 16-A-002 16-A-003 16-A-004 16-A-005 16-A-006 16-A-007 16-A-008 16-A-009 16-A-010 16-A-011 | ● 확성기 음성입력 적정 여부 ● 확성기 설치 적정(층마다 설치, 수평거리, 유효하게 경보) 여부 ● 조작부 조작스위치 높이 적정 여부 ● 조작부 상 설비 작동층 또는 작동구역 표시 여부 ● 증폭기 및 조작부 설치 장소 적정 여부 ● 우선경보방식 적용 적정 여부 ● 겸용설비 성능 적정(화재 시 다른 설비 차단) 여부 ● 다른 전기회로에 의한 유도장애 발생 여부 ● 2 이상 조작부 설치 시 상호 동시통화 및 전 구역 방송 가능 여부 ● 화재신호 수신 후 방송개시 소요시간 적정 여부 ○ 자동화재탐지설비 작동과 연동하여 정상 작동 가능 여부 | | 16-B. 배선 등 | 16-B-001 16-B-002 | ● 음량조절기를 설치한 경우 3선식 배선 여부 ● 하나의 층에 단락, 단선 시 다른 층의 화재통보 적부 | | 16-C. 전원 | 16-C-001 16-C-002 | ○ 상용전원 적정 여부 ● 예비전원 성능 적정 및 상용전원 차단 시 예비전원 자동전환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17. 자동화재속보설비 및 통합감시시설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7-A. 자동화재속보설비 | 17-A-001 17-A-002 17-A-003 | ○ 상용전원 공급 및 전원표시등 정상 점등 여부 ○ 조작스위치 높이 적정 여부 ○ 자동화재탐지설비 연동 및 화재신호 소방관서 전달 여부 | | 17-B. 통합감시시설 | 17-B-001 17-B-002 17-B-003 | ● 주․보조 수신기 설치 적정 여부 ○ 수신기 간 원격제어 및 정보공유 정상 작동 여부 ● 예비선로 구축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18. 누전경보기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8-A. 설치방법 | 18-A-001 18-A-002 | ● 정격전류에 따른 설치 형태 적정 여부 ● 변류기 설치위치 및 형태 적정 여부 | | 18-B. 수신부 | 18-B-001 18-B-002 18-B-003 18-B-004 | ○ 상용전원 공급 및 전원표시등 정상 점등 여부 ● 가연성 증기, 먼지 등 체류 우려 장소의 경우 차단기구 설치 여부 ○ 수신부의 성능 및 누전경보 시험 적정 여부 ○ 음향장치 설치장소(상시 사람이 근무) 및 음량·음색 적정 여부 | | 18-C. 전원 | 18-C-001 18-C-002 18-C-003 | ●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 구성 여부 ●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 설치 여부 ● 다른 차단기에 의한 전원차단 여부(전원을 분기할 경우)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19. 가스누설경보기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19-A. 수신부 | 19-A-001 19-A-002 19-A-003 | ○ 수신부 설치 장소 적정 여부 ○ 상용전원 공급 및 전원표시등 정상 점등 여부 ○ 음향장치의 음량·음색·음압 적정 여부 | | 19-B. 탐지부 | 19-B-001 19-B-002 | ○ 탐지부의 설치방법 및 설치상태 적정 여부 ○ 탐지부의 정상 작동 여부 | | 19-C. 차단기구 | 19-C-001 19-C-002 | ○ 차단기구는 가스 주배관에 견고히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 ○ 시험장치에 의한 가스차단밸브의 정상 개․폐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20. 피난기구 및 인명구조기구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20-A. 피난기구 공통사항 | 20-A-001 20-A-002 20-A-003 20-A-004 20-A-005 20-A-006 20-A-007 | ● 대상물 용도별·층별·바닥면적별 피난기구 종류 및 설치개수 적정 여부 ○ 피난에 유효한 개구부 확보(크기, 높이에 따른 발판, 창문 파괴장치) 및 관리상태 ● 개구부 위치 적정(동일직선상이 아닌 위치) 여부 ○ 피난기구의 부착 위치 및 부착 방법 적정 여부 ○ 피난기구(지지대 포함)의 변형·손상 또는 부식이 있는지 여부 ○ 피난기구의 위치표시 표지 및 사용방법 표지 부착 적정 여부 ● 피난기구의 설치제외 및 설치감소 적합 여부 | | 20-B. 공기안전매트‧피난사다리‧(간이)완강기‧미끄럼대‧구조대 | 20-B-001 20-B-002 20-B-003 20-B-004 20-B-005 20-B-006 20-B-007 | ● 공기안전매트 설치 여부 ● 공기안전매트 설치 공간 확보 여부 ● 피난사다리(4층 이상의 층)의 구조(금속성 고정사다리) 및 노대 설치 여부 ● (간이)완강기의 구조(로프 손상방지) 및 길이 적정 여부 ● 숙박시설의 객실마다 완강기(1개) 또는 간이완강기(2개 이상) 추가 설치 여부 ● 미끄럼대의 구조 적정 여부 ● 구조대의 길이 적정 여부 | | 20-C. 다수인 피난장비 | 20-C-001 20-C-002 20-C-003 20-C-004 | ● 설치장소 적정(피난용이, 안전하게 하강, 피난층의 충분한 착지 공간) 여부 ● 보관실 설치 적정(건물외측 돌출, 빗물·먼지 등으로부터 장비 보호) 여부 ● 보관실 외측문 개방 및 탑승기 자동 전개 여부 ● 보관실 문 오작동 방지조치 및 문 개방 시 경보설비 연동(경보) 여부 | | 20-D. 승강식 피난기‧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 | 20-D-001 20-D-002 20-D-003 20-D-004 20-D-005 20-D-006 | ● 대피실 출입문 갑종방화문 설치 및 표지 부착 여부 ● 대피실 표지(층별 위치표시, 피난기구 사용설명서 및 주의사항) 부착 여부 ● 대피실 출입문 개방 및 피난기구 작동 시 표시등·경보장치 작동 적정 여부 및 감시제어반 피난기구 작동 확인 가능 여부 ● 대피실 면적 및 하강구 규격 적정 여부 ● 하강구 내측 연결금속구 존재 및 피난기구 전개 시 장애발생 여부 ● 대피실 내부 비상조명등 설치 여부 | | 20-E. 인명구조기구 | 20-E-001 20-E-002 20-E-003 20-E-004 | ○ 설치 장소 적정(화재시 반출 용이성) 여부 ○ “인명구조기구” 표시 및 사용방법 표지 설치 적정 여부 ○ 인명구조기구의 변형 또는 손상이 있는지 여부 ● 대상물 용도별․장소별 설치 인명구조기구 종류 및 설치개수 적정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21. 유도등 및 유도표지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21-A. 유도등 | 21-A-001 21-A-002 21-A-003 21-A-004 21-A-005 21-A-006 21-A-007 | ○ 유도등의 변형 및 손상 여부 ○ 상시(3선식의 경우 점검스위치 작동시) 점등 여부 ○ 시각장애(규정된 높이, 적정위치, 장애물 등으로 인한 시각장애 유무) 여부 ○ 비상전원 성능 적정 및 상용전원 차단 시 예비전원 자동전환 여부 ● 설치 장소(위치) 적정 여부 ● 설치 높이 적정 여부 ● 객석유도등의 설치 개수 적정 여부 | | 21-B. 유도표지 | 21-B-001 21-B-002 21-B-003 21-B-004 | ○ 유도표지의 변형 및 손상 여부 ○ 설치 상태(유사 등화광고물․게시물 존재, 쉽게 떨어지지 않는 방식) 적정 여부 ○ 외광·조명장치로 상시 조명 제공 또는 비상조명등 설치 여부 ○ 설치 방법(위치 및 높이) 적정 여부 | | 21-C. 피난유도선 | 21-C-001 21-C-002 | ○ 피난유도선의 변형 및 손상 여부 ○ 설치 방법(위치·높이 및 간격) 적정 여부 | | 21-C-011 21-C-012 | [축광방식의 경우] ● 부착대에 견고하게 설치 여부 ○ 상시조명 제공 여부 | | 21-C-021 21-C-022 21-C-023 21-C-024 | [광원점등방식의 경우] ○ 수신기 화재신호 및 수동조작에 의한 광원점등 여부 ○ 비상전원 상시 충전상태 유지 여부 ●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 매립방식 설치 여부 ● 제어부 설치위치 적정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22. 비상조명등 및 휴대용비상조명등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22-A. 비상조명등 | 22-A-001 22-A-002 22-A-003 22-A-004 22-A-005 22-A-006 | ○ 설치 위치(거실, 지상에 이르는 복도․계단, 그 밖의 통로) 적정 여부 ○ 비상조명등 변형·손상 확인 및 정상 점등 여부 ● 조도 적정 여부 ○ 예비전원 내장형의 경우 점검스위치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비상전원 종류 및 설치장소 기준 적합 여부 ○ 비상전원 성능 적정 및 상용전원 차단 시 예비전원 자동전환 여부 | | 22-B. 휴대용비상조명등 | 22-B-001 22-B-002 22-B-003 22-B-004 22-B-005 22-B-006 22-B-007 | ○ 설치 대상 및 설치 수량 적정 여부 ○ 설치 높이 적정 여부 ○ 휴대용비상조명등의 변형 및 손상 여부 ○ 어둠 속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인지 여부 ○ 사용 시 자동으로 점등되는지 여부 ○ 건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유효한 방전 방지조치가 되어있는지 여부 ○ 충전식 배터리의 경우에는 상시 충전되도록 되어 있는지의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23. 소화용수설비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23-A. 소화수조 및 저수조 | 23-A-001 | [수원] ○ 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 | | 23-A-011 23-A-012 23-A-013 | [흡수관투입구] ○ 소방차 접근 용이성 적정 여부 ● 크기 및 수량 적정 여부 ○ “흡수관투입구”표지 설치 여부 | | 23-A-021 23-A-022 23-A-023 23-A-024 | [채수구] ○ 소방차 접근 용이성 적정 여부 ● 결합금속구 구경 적정 여부 ● 채수구 수량 적정 여부 ○ 개폐밸브의 조작 용이성 여부 | | 23-A-031 23-A-032 23-A-033 23-A-034 23-A-035 23-A-036 23-A-037 23-A-038 | [가압송수장치] ○ 기동스위치 채수구 직근 설치 여부 및 정상 작동 여부 ○ “소화용수설비펌프”표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 토출측 압력계, 흡입측 연성계 또는 진공계 설치 여부 ○ 성능시험배관 적정 설치 및 정상작동 여부 ○ 순환배관 설치 적정 여부 ● 물올림장치 설치 적정(전용 여부,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여부 ○ 내연기관 방식의 펌프 설치 적정(제어반 기동, 채수구 원격조작, 기동표시등 설치, 축전지 설비) 여부 | | 23-B. 상수도소화용수설비 | 23-B-001 23-B-002 | ○ 소화전 위치 적정 여부 ○ 소화전 관리상태(변형·손상 등) 및 방수 원활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24. 제연설비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24-A. 제연구역의 구획 | 24-A-001 | ● 제연구역의 구획 방식 적정 여부 - 제연경계의 폭, 수직거리 적정 설치 여부 - 제연경계벽은 가동 시 급속하게 하강되지 아니하는 구조 | | 24-B. 배출구 | 24-B-001 24-B-002 | ● 배출구 설치 위치(수평거리) 적정 여부 ○ 배출구 변형·훼손 여부 | | 24-C. 유입구 | 24-C-001 24-C-002 24-C-003 | ○ 공기유입구 설치 위치 적정 여부 ○ 공기유입구 변형·훼손 여부 ● 옥외에 면하는 배출구 및 공기유입구 설치 적정 여부 | | 24-D. 배출기 | 24-D-001 24-D-002 24-D-003 24-D-004 24-D-005 | ● 배출기와 배출풍도 사이 캔버스 내열성 확보 여부 ○ 배출기 회전이 원활하며 회전방향 정상 여부 ○ 변형․훼손 등이 없고 V-벨트 기능 정상 여부 ○ 본체의 방청, 보존상태 및 캔버스 부식 여부 ● 배풍기 내열성 단열재 단열처리 여부 | | 24-E. 비상전원 | 24-E-001 24-E-002 24-E-003 | ● 비상전원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24-F. 기 동 | 24-F-001 24-F-002 24-F-003 | ○ 가동식의 벽·제연경계벽·댐퍼 및 배출기 정상 작동(화재감지기 연동) 여부 ○ 예상제연구역 및 제어반에서 가동식의 벽·제연경계벽·댐퍼 및 배출기 수동 기동 가능 여부 ○ 제어반 각종 스위치류 및 표시장치(작동표시등 등) 기능의 이상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25.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25-A. 과압방지조치 | 25-A-001 | ●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또는 플랩댐퍼)를 사용한 경우 성능 적정 여부 | | 25-B. 수직풍도에 따른 배출 | 25-B-001 25-B-002 | ○ 배출댐퍼 설치(개폐여부 확인 기능, 화재감지기 동작에 따른 개방) 적정 여부 ○ 배출용송풍기가 설치된 경우 화재감지기 연동 기능 적정 여부 | | 25-C. 급기구 | 25-C-001 | ○ 급기댐퍼 설치 상태(화재감지기 동작에 따른 개방) 적정 여부 | | 25-D. 송풍기 | 25-D-001 25-D-002 25-D-003 | ○ 설치장소 적정(화재영향, 접근·점검 용이성) 여부 ○ 화재감지기 동작 및 수동조작에 따라 작동하는지 여부 ● 송풍기와 연결되는 캔버스 내열성 확보 여부 | | 25-E. 외기취입구 | 25-E-001 25-E-002 | ○ 설치위치(오염공기 유입방지, 배기구 등으로부터 이격거리) 적정 여부 ● 설치구조(빗물·이물질 유입방지, 옥외의 풍속과 풍향에 영향) 적정 여부 | | 25-F. 제연구역의 출입문 | 25-F-001 25-F-002 | ○ 폐쇄상태 유지 또는 화재 시 자동폐쇄 구조 여부 ● 자동폐쇄장치 폐쇄력 적정 여부 | | 25-G. 수동기동장치 | 25-G-001 25-G-002 | ○ 기동장치 설치(위치, 전원표시등 등) 적정 여부 ○ 수동기동장치(옥내 수동발신기 포함) 조작 시 관련 장치 정상 작동 여부 | | 25-H. 제어반 | 25-H-001 25-H-002 | ○ 비상용축전지의 정상 여부 ○ 제어반 감시 및 원격조작 기능 적정 여부 | | 25-I. 비상전원 | 25-I-001 25-I-002 25-I-003 | ● 비상전원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26. 연결송수관설비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26-A. 송수구 | 26-A-001 26-A-002 26-A-003 26-A-004 26-A-005 26-A-006 | ○ 설치장소 적정 여부 ○ 지면으로부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 급수개폐밸브가 설치된 경우 설치 상태 적정 및 정상 기능 여부 ○ 수직배관별 1개 이상 송수구 설치 여부 ○“연결송수관설비송수구”표지 및 송수압력범위 표지 적정 설치 여부 ○ 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 | | 26-B. 배관 등 | 26-B-001 26-B-002 | ● 겸용 급수배관 적정 여부 ● 다른 설비의 배관과의 구분 상태 적정 여부 | | 26-C. 방수구 | 26-C-001 26-C-002 26-C-003 26-C-004 | ● 설치기준(층, 개수, 위치, 높이) 적정 여부 ○ 방수구 형태 및 구경 적정 여부 ○ 위치표시(표시등, 축광식표지) 적정 여부 ○ 개폐기능 설치 여부 및 상태 적정(닫힌 상태) 여부 | | 26-D. 방수기구함 | 26-D-001 26-D-002 26-D-003 | ● 설치기준(층, 위치) 적정 여부 ○ 호스 및 관창 비치 적정 여부 ○“방수기구함”표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 26-E. 가압송수장치 | 26-E-001 26-E-002 26-E-003 26-E-004 26-E-005 26-E-006 26-E-007 26-E-008 26-E-009 26-E-010 | ● 가압송수장치 설치장소 기준 적합 여부 ● 펌프 흡입측 연성계·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설치 여부 ● 성능시험배관 및 순환배관 설치 적정 여부 ○ 펌프 토출량 및 양정 적정 여부 ○ 방수구 개방시 자동기동 여부 ○ 수동기동스위치 설치 상태 적정 및 수동스위치 조작에 따른 기동 여부 ○ 가압송수장치“연결송수관펌프”표지 설치 여부 ● 비상전원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27. 연결살수설비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27-A. 송수구 | 27-A-001 27-A-002 27-A-003 27-A-004 27-A-005 27-A-006 27-A-007 27-A-008 27-A-009 27-A-010 27-A-011 | ○ 설치장소 적정 여부 ○ 송수구 구경(65mm) 및 형태(쌍구형) 적정 여부 ○ 송수구역별 호스접결구 설치 여부(개방형 헤드의 경우) ○ 설치 높이 적정 여부 ● 송수구에서 주배관 상 연결배관 개폐밸브 설치 여부 ○“연결살수설비 송수구”표지 및 송수구역 일람표 설치 여부 ○ 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 ○ 송수구의 변형 또는 손상 여부 ● 자동배수밸브 및 체크밸브 설치 순서 적정 여부 ○ 자동배수밸브 설치 상태 적정 여부 ● 1개 송수구역 설치 살수헤드 수량 적정 여부(개방형 헤드의 경우) | | 27-B. 선택밸브 | 27-B-001 27-B-002 | ○ 선택밸브 적정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선택밸브 부근 송수구역 일람표 설치 여부 | | 27-C. 배관 등 | 27-C-001 27-C-002 27-C-003 27-C-004 27-C-005 | ○ 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 적정(개폐표시형, 흡입측 버터플라이 제외) 여부 ●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습식의 경우) ● 주배관과 타 설비 배관 및 수조 접속 적정 여부(폐쇄형 헤드의 경우) ○ 시험장치 설치 적정 여부(폐쇄형 헤드의 경우) ● 다른 설비의 배관과의 구분 상태 적정 여부 | | 27-D. 헤드 | 27-D-001 27-D-002 27-D-003 | ○ 헤드의 변형․손상 유무 ○ 헤드 설치 위치·장소·상태(고정) 적정 여부 ○ 헤드 살수장애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28. 비상콘센트설비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28-A. 전원 | 28-A-001 28-A-002 28-A-003 28-A-004 | ● 상용전원 적정 여부 ● 비상전원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 자가발전설비인 경우「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 | 28-B. 전원회로 | 28-B-001 28-B-002 28-B-003 28-B-004 28-B-005 | ● 전원회로 방식(단상교류 220V) 및 공급용량(1.5kVA 이상) 적정 여부 ● 전원회로 설치개수(각 층에 2이상) 적정 여부 ● 전용 전원회로 사용 여부 ● 1개 전용회로에 설치되는 비상콘센트 수량 적정(10개 이하) 여부 ● 보호함 내부에 분기배선용 차단기 설치 여부 | | 28-C. 콘센트 | 28-C-001 28-C-002 28-C-003 | ○ 변형․손상․현저한 부식이 없고 전원의 정상 공급여부 ● 콘센트별 배선용 차단기 설치 및 충전부 노출 방지 여부 ○ 비상콘센트 설치 높이, 설치 위치 및 설치 수량 적정 여부 | | 28-D. 보호함 및 배선 | 28-D-001 28-D-002 28-D-003 28-D-004 | ○ 보호함 개폐용이한 문 설치 여부 ○“비상콘센트”표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위치표시등 설치 및 정상 점등 여부 ○ 점검 또는 사용상 장애물 유무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29. 무선통신보조설비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29-A. 누설동축케이블등 | 29-A-001 29-A-002 29-A-003 29-A-004 29-A-005 | ○ 피난 및 통행 지장 여부(노출하여 설치한 경우) ● 케이블 구성 적정(누설동축케이블 + 안테나 또는 동축케이블 + 안테나) 여부 ● 지지금구 변형·손상 여부 ● 누설동축케이블 및 안테나 설치 적정 및 변형·손상 여부 ● 누설동축케이블 말단‘무반사 종단저항’설치 여부 | | 29-B. 무선기기접속단자, 옥외안테나 | 29-B-001 29-B-002 29-B-003 29-B-004 29-B-005 29-B-006 29-B-007 29-B-008 29-B-009 29-B-0010 | ○ 설치장소(소방활동 용이성, 상시 근무장소) 적정 여부 ● 단자 설치높이 적정 여부 ● 지상 접속단자 설치거리 적정 여부 ● 접속단자 보호함 구조 적정 여부 ○ 접속단자 보호함“무선기기접속단자”표지 설치 여부 ○ 옥외안테나 통신장애 발생 여부 ○ 안테나 설치 적정(견고함, 파손우려) 여부 ○ 옥외안테나에 “무선통신보조설비 안테나” 표지 설치 여부 ○ 옥외안테나 통신 가능거리 표지 설치 여부 ○ 수신기 설치장소 등에 옥외안테나 위치표시도 비치 여부 | | 29-C. 분배기, 분파기, 혼합기 | 29-C-001 29-C-002 | ● 먼지, 습기, 부식 등에 의한 기능 이상 여부 ●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 | 29-D. 증폭기 및 무선중계기 | 29-D-001 29-D-002 29-D-003 29-D-004 | ● 상용전원 적정 여부 ○ 전원표시등 및 전압계 설치상태 적정 여부 ● 증폭기 비상전원 부착 상태 및 용량 적정 여부 ○ 적합성 평가 결과 임의 변경 여부 | | 29-E. 기능점검 | 29-E-001 | ● 무선통신 가능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30. 연소방지설비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30-A. 배관 | 30-A-001 30-A-002 | ○ 급수배관 개폐밸브 적정(개폐표시형) 설치 및 관리상태 적합 여부 ● 다른 설비의 배관과의 구분 상태 적정 여부 | | 30-B. 방수헤드 | 30-B-001 30-B-002 30-B-003 30-B-004 | ○ 헤드의 변형․손상 유무 ○ 헤드 살수장애 여부 ○ 헤드상호 간 거리 적정 여부 ● 살수구역 설정 적정 여부 | | 30-C. 송수구 | 30-C-001 30-C-002 30-C-003 30-C-004 30-C-005 30-C-006 30-C-007 | ○ 설치장소 적정 여부 ● 송수구 구경(65mm) 및 형태(쌍구형) 적정 여부 ○ 송수구 1m 이내 살수구역 안내표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설치 높이 적정 여부 ● 자동배수밸브 설치상태 적정 여부 ● 연결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경우 개폐상태 확인 및 조작 가능 여부 ○ 송수구 마개 설치상태 적정 여부 | | 30-D. 방화벽 | 30-D-001 30-D-002 | ● 방화문 관리상태 및 정상기능 적정 여부 ● 관통부위 내화성 화재차단제 마감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31. 기타사항 점검표 |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31-A. 피난‧방화시설 | 31-A-001 31-A-002 | ○ 방화문 및 방화셔터의 관리 상태(폐쇄·훼손·변경) 및 정상 기능 적정 여부 ● 비상구 및 피난통로 확보 적정 여부(피난․방화시설 주변 장애물 적치 포함) | | 31-B. 방염 | 31-B-001 31-B-002 | ● 선처리 방염대상물품의 적합 여부(방염성능시험성적서 및 합격표시 확인) ● 후처리 방염대상물품의 적합 여부(방염성능검사결과 확인) | | 비고 | ※ 방염성능시험성적서, 합격표시 및 방염성능검사결과의 확인이 불가한 경우 비고에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32. 다중이용업소 점검표 | (2쪽 중 1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32-A. 소화설비 | 32-A-001 32-A-002 32-A-003 32-A-004 32-A-005 | 소화기구(소화기, 자동확산소화기) ○ 설치수량(구획된 실 등) 및 설치거리(보행거리) 적정 여부 ○ 설치장소(손쉬운 사용) 및 설치 높이 적정 여부 ○ 소화기 표지 설치상태 적정 여부 ○ 외형의 이상 또는 사용상 장애 여부 ○ 수동식 분말소화기 내용연수 적정여부 | | 32-A-011 32-A-012 32-A-013 32-A-014 32-A-015 32-A-016 32-A-017 32-A-018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수원의 양 적정 여부 ○ 가압송수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 ○ 배관 및 밸브의 파손, 변형 및 잠김 여부 ○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의 이상 여부 ● 유수검지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 ● 헤드의 적정 설치 여부(미설치, 살수장애, 도색 등) ● 송수구 결합부의 이상 여부 ● 시험밸브 개방시 펌프기동 및 음향 경보 여부 | | ※ 펌프성능시험(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체절운전 | 정격운전 (100%)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적정 여부 | ㅇ설정압력: ㅇ주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예비펌프 기동: MPa 정지: MPa ㅇ충압펌프 기동: MPa 정지: MPa | 토출량 (ℓ/min) | 주 | | | | 1.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2.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3.정격토출량의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 이상일 것( ) | 예비 | | | | 토출압 (MPa) | 주 | | | | 예비 | | | |
※ 릴리프밸브 작동압력 : MPa | 32-B. 경보설비 | 32-B-001 32-B-002 32-B-003 | 비상벨‧자동화재탐지설비 ○ 구획된 실마다 감지기(발신기), 음향장치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전용 수신기가 설치된 경우 주수신기와 상호 연동되는지 여부 ○ 수신기 예비전원(축전지) 상태 적정 여부(상시 충전, 상용전원 차단 시 자동절환) | | 32-B-011 | 가스누설경보기 ● 주방 또는 난방시설이 설치된 장소에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 32-C. 피난구조설비 | 32-C-001 | 피난기구 ● 피난기구 종류 및 설치개수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2쪽) | 번호 | 점검항목 | 점검결과 | 32-C-002 32-C-003 32-C-004 32-C-005 | ○ 피난기구의 부착 위치 및 부착 방법 적정 여부 ○ 피난기구(지지대 포함)의 변형·손상 또는 부식이 있는지 여부 ○ 피난기구의 위치표시 표지 및 사용방법 표지 부착 적정 여부 ● 피난에 유효한 개구부 확보(크기, 높이에 따른 발판, 창문 파괴장치) 및 관리상태 | | 32-C-011 32-C-012 | 피난유도선 ○ 피난유도선의 변형 및 손상 여부 ● 정상 점등(화재 신호와 연동 포함) 여부 | | 32-C-021 32-C-022 32-C-023 | 유도등 ○ 상시(3선식의 경우 점검스위치 작동시) 점등 여부 ○ 시각장애(규정된 높이, 적정위치, 장애물 등으로 인한 시각장애 유무) 여부 ○ 비상전원 성능 적정 및 상용전원 차단 시 예비전원 자동전환 여부 | | 32-C-031 32-C-032 | 유도표지 ○ 설치 상태(유사 등화광고물․게시물 존재, 쉽게 떨어지지 않는 방식) 적정 여부 ○ 외광․조명장치로 상시 조명 제공 또는 비상조명등 설치 여부 | | 32-C-041 32-C-042 | 비상조명등 ○ 설치위치의 적정 여부 ● 예비전원 내장형의 경우 점검스위치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 | 32-C-051 32-C-052 32-C-053 | 휴대용비상조명등 ○ 영업장안의 구획된 실마다 잘 보이는 곳에 1개 이상 설치 여부 ● 설치높이 및 표지의 적합 여부 ● 사용 시 자동으로 점등되는지 여부 | | 32-D. 비상구 | 32-D-001 32-D-002 32-D-003 | ○ 피난동선에 물건을 쌓아두거나 장애물 설치 여부 ○ 피난구, 발코니 또는 부속실의 훼손 여부 ○ 방화문·방화셔터의 관리 및 작동상태 | | 32-E. 영업장 내부 피난통로‧영상음향차단장치‧누전차단기‧창문 | 32-E-001 32-E-002 32-E-003 32-E-004 | ○ 영업장 내부 피난통로 관리상태 적합 여부 ● 영상음향차단장치 설치 및 정상작동 여부 ● 누전차단기 설치 및 정상작동 여부 ○ 영업장 창문 관리상태 적합 여부 | | 32-F. 피난안내도․피난안내영상물 | 32-F-001 | ○ 피난안내도의 정상 부착 및 피난안내영상물 상영 여부 | | 32-G. 방염 | 32-G-001 32-G-002 | ● 선처리 방염대상물품의 적합 여부(방염성능시험성적서 및 합격표시 확인) ● 후처리 방염대상물품의 적합 여부(방염성능검사결과 확인) | | 비고 | ※ 방염성능시험성적서, 합격표시 및 방염성능검사결과의 확인이 불가한 경우 비고에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 출처: 법제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