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web
■ 소방시설 자체점검사항 등에 관한 고시[별지 제5호서식] | 소방시설 성능시험조사표 | □ 시험대상 : (소재지) | 구분 | 해당설비 | 시험 결과 | 구분 | 해당설비 | 시험 결과 | 소화 설비 | [ ]소화기구 | [ ]소화기 | | 피난 구조 설비 | [ ]피난기구 | [ ]피난사다리 | | [ ]간이소화용구 | | [ ]구조대 | | [ ]자동확산소화기 | | [ ]완강기 | | [ ]자동소화장치 | [ ]주거용 | | [ ]간이완강기 | | [ ]상업용 | | [ ]공기안전매트 | | [ ]캐비닛형 | | [ ]다수인피난장비 | | [ ]가스 | | [ ]승강식피난기 | | [ ]분말 | | [ ]하향식피난구용내림식사다리 | | [ ]고체에어로졸 | | [ ]기타 | | [ ]옥내소화전설비 | | [ ]인명구조기구 | [ ]방열복, 방화복 | | [ ]스프링클러설비등 | [ ]스프링클러설비 | | [ ]공기호흡기 | |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 [ ]인공소생기 | | [ ]화재조기진압용 | | [ ]유도등 | [ ]피난유도선 | | [ ]물분무등소화설비 | [ ]물분무 | | [ ]피난구유도등 | | [ ]미분무 | | [ ]통로유도등 | | [ ]포 | | [ ]객석유도등 | | [ ]이산화탄소 | | [ ]유도표지 | | [ ]할론 | | [ ]비상조명등 | | [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 | [ ]휴대용비상조명등 | | [ ]분말 | | 소화 용수 설비 | [ ]상수도 | | [ ]강화액 | | [ ]소화수조 | | [ ]고체에어로졸 | | [ ]저수조 | | [ ]옥외소화전설비 | | [ ]기타 | | 경보 설비 | [ ]단독경보형감지기 | | 소화 활동 설비 | [ ]제연설비 | | [ ]비상경보설비 | [ ]비상벨설비 | | [ ]연결송수관설비 | | [ ]자동식사이렌설비 | | [ ]연결살수설비 | | [ ]시각경보기 | | [ ]비상콘센트설비 | | [ ]자동화재탐지설비 | | [ ]무선통신보조설비 | | [ ]비상방송설비 | | [ ]연소방지설비 | | [ ]자동화재속보설비 | | 기타 | [ ]내진설비 | | [ ]통합감시시설 | | [ ]비상전원설비 | | [ ]누전경보기 | | [ ]비상전원부하설비 | | [ ]가스누설경보기 | | | | | 비고 | | 시험기간 : 년 월 일 부터 년 월 일 까지( 일간) | 시공자 | 소방기술자 | (서명) | | 감리자 | 책임감리원 | (서명) | | 소방기술자 | (서명) | | | 보조감리원 | (서명) | | 소방기술자 | (서명) | | | | | | 소방기술자 | (서명) | | | | | 1. 소방시설란의 [ ]란에는 해당 시설에 √ 표를 한다. 시험결과란은 양호○. 불량X. 해당 없는 항목은 /표시를 한다. 2. 서명은 자필로 한다.(시공자는 설치된 소방시설의 성능시험을 실시, 감리자는 시공자의 성능시험을 확인 및 기록) 3. 아래 서류는 2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① 소방공사감리 결과보고(통보)서, ② 소방시설 성능시험조사표 | 210mm×297mm [백상지(80g/㎡)] |
- 목 차 - 1. 소방대상물의 개요표 2.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성능시험조사표 3. 옥내소화전설비 성능시험조사표 4. 스프링클러설비 성능시험조사표 5.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성능시험조사표 6.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성능시험조사표 7. 물분무소화설비 성능시험조사표 8. 미분무소화설비 성능시험조사표 9. 포소화설비 성능시험조사표 10.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성능시험조사표 11. 할론소화설비 성능시험조사표 12.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 성능시험조사표 13. 분말소화설비 성능시험조사표 14. 옥외소화전설비 성능시험조사표 15. 비상경보설비ㆍ단독경보형감지기 성능시험조사표 16. 자동화재탐지설비ㆍ시각경보기 성능시험조사표 17. 비상방송설비 성능시험조사표 18. 자동화재속보설비 성능시험조사표 19. 통합감시시설 성능시험조사표 20. 누전경보기 성능시험조사표 21. 가스누설경보기 성능시험조사표 22. 피난기구 및 인명구조기구 성능시험조사표 23. 유도등 및 유도표지 성능시험조사표 24. 비상조명등ㆍ휴대용비상조명등 성능시험조사표 25. 소화용수설비 성능시험조사표 26. 거실제연설비 성능시험조사표 27.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의 제연설비 성능시험조사표 28. 연결송수관설비 성능시험조사표 29. 연결살수설비 성능시험조사표 30. 비상콘센트설비 성능시험조사표 31. 무선통신보조설비 성능시험조사표 32. 연소방지설비 성능시험조사표 33. 내진설비 성능시험조사표 34. 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35. 비상전원 부하설비 성능시험조사표 36. 도로터널 성능시험조사표 37. 고층건축물 성능시험조사표 38.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성능시험 조사표 39. 위험물제조소등 성능시험조사표 40. 방염 및 형식승인ㆍ성능인증 확인표 41. 방화 및 피난시설 등 확인표 작성요령) 목차에는 성능시험을 실시하고자 하는 소방시설명만을 순서대로 기재한다. |
1. 소방대상물 개요표 |
| □ 건축물의 개요 | 건물명 | | 소재지 | | 관계자 | | 건축허가일 | | 사용승인일 | | 증ㆍ개축일 | | 건물구조 | [ ]철근콘크리트조 [ ]철골조(패널) [ ]조적조 [ ]목조 [ ]기타 : | 연면적(㎡) | 건축면적(㎡) | 지상(층수) | 지하(층수) | 동수 | | | | | | 건축물구분 | [ ]주요구조부 내화구조 [ ]그 밖의 건축물 | 특정소방 대상물 종류 |
| 성능위주설계 | [ ]성능위주설계 [ ]해당없음 | 내진설계 | [ ]내진설계 [ ]해당없음 | [ ]지하시설 | [ ]지하가 | [ ]지하구 | [ ]지하상가 | [ ]터널 | [ ]공동구 | [ ]전력구 | [ ]통신구 | [ ]기타 | 길이(km) | 높이(m) | 폭(m) | | | | [ ]위험물시설 | [ ]제조소 | | [ ]저장소 | [ ]옥내 [ ]옥외 [ ]지하탱크 [ ]옥내탱크 [ ]옥외탱크 [ ]암반탱크 | [ ]취급소 | [ ]일반 [ ]판매 [ ]주유 [ ]이송 | [ ]가스시설 | [ ]제조시설 [ ]저장시설 [ ]취급시설 | 저장용량(톤) | | 동별 | 층별 | 바닥면적(㎡) | 용도 또는 실명 | 구 조 (내화구조/기타) | 비 고 | | | | | | | ※ [ ]란에는 해당하는 부분에 √ 표를 한다. ※ 특정소방대상물 종류는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2에 의한 특졍소방대상물을 말함(30개) | 210mm×297mm [백상지(80g/㎡)] |
2.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 개요 | □ 소화기구(소화기) (4쪽 중 1쪽) | 항 목 | 비 고 | 건물 정보 | [ ] 내화구조이고 불연ㆍ준불연 또는 난연내장재 사용 [ ] 그 밖의 것 | | ◦ 건물용도 : ◦ 바닥면적 합계 : ㎡ ◦ 감소 대체 소화설비 : | 소 화 기 설 치 사 항 | 층 | 용도 | 종별개수 | 층별 소화기 능력단위의 합 | 층별 필요 능력단위 | 분말 | 이산화탄소 |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 포 | 강화액 | 기타 | 합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합 계 | | | | | | | | | | □ 소화기구(부속용도별 소화기구) | 부속용도의 종류 | [ ]보일러실ㆍ주방 등 [ ]전기ㆍ통신 관련시설이 있는 장소 [ ]소량위험물 저장ㆍ취급 장소 [ ]특수가연물 저장ㆍ취급 장소 [ ]가연성가스 제조ㆍ저장ㆍ사용 장소 | 부속용도별 소화기구 설치사항 | 층 | 부속용도명 | 종별개수 | 층별 소화기 능력단위의 합 | 층별 필요 능력단위 | 소화기 | 자동확산소화기 | 자동소화장치 | 주방화재용 소화기 | 합계 | 캐비닛형 | 가스 | 분말 | 고체에어로졸 | | | | | | | | | | | | | | | | | | | | | | | | | 합 계 | | | | | | | | | | | 210mm×297mm [백상지(80g/㎡)] |
□ 소화기구(간이소화용구) (4쪽 중 2쪽) | 설치수량 | 항 목 | 비고 | 종 류 | 에어로졸식 | 투척용 소화용구 | 소공간용 소화용구 | 기타 (마른모래, 팽창질석, 팽창진주암) | 설치장소 | 설치수량 | 계 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자동소화장치 | 설치수량 | 비고 | 종류 | 주거용 주방 | 상업용 주방 | 캐비닛형 | 가스 | 분말 | 고체에어로졸 | 계 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속용도의 종류란에는 소화기구의 화재안전기준 별표 4의 규정에 의한 용도를 말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4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1)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공통사항 (제4조) o적응성 있는 소화기구등 설치 여부 o능력단위 적정 여부 o부속실 소화기, 자동소화장치 추가설치 적정 여부 | | 2 | 소화기 (제4조) o층 마다 설치 여부 o배치거리(보행거리) 적정 여부 o설치수량 적정 여부 o설치높이 적정 여부 o바닥면적 33㎡ 이상 구획 거실마다 소화기 설치 여부 o표지 설치 적정 여부 o수동식 분말소화기 내용연수 적정 여부 | | 3 | 자동확산소화기 (제4조) o방호대상물 소화약제 유효방사 가능 여부 o견고하게 고정 여부 | | 4 | 간이소화용구 (제4조) o설치장소 적정 여부 o외형 변형 및 부식 여부 o간이소화용구 표지(소화용 모래, 소화질석) 설치 여부 | | 5 | 자동소화장치 (제4조) [ ]주거용 o소화약제방출구 환기구의 청소부분과 분리설치 여부 o소화약제방출구 유효설치 높이 및 방호면적 적합 설치 여부 o감지부의 유효한 높이 및 위치에 설치 여부 o차단장치 상시 확인 및 점검 가능 여부 o탐지부와 수신부의 분리설치 여부(가스식) o수신부의 상시점검 가능 여부 o탐지부의 설치 위치 적정 여부(가스식) o수신부 주위온도 영향 없고, 사용자 상시확인 가능한 장소 설치 여부 [ ]상업용 o조리기구 종류 별 설계 메뉴얼 따라 설치 여부 o감지부 유효한 높이 및 위치에 설치 여부 o차단장치 상시 확인 및 점검 가능 여부 o후드 및 덕트에 방출되는 분사헤드 적정설치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1)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5 | [ ]캐비닛형 o분사헤드 설치 높이의 적정설치 여부 o화재감지기 방호구역내 천장 또는 옥내 면하는 부분 적정설치 여부 o방호구역 내 화재감지기의 감지에 작동의 적정 여부 o화재감지기 교차회로 방식 설치 및 설치기준 적정 여부 o개구부 및 통기구 방사 전 자동폐쇄 가능 여부 o작동에 지장이 없도록 견고하게 고정 여부 o구획된 장소 소화성능 적정 여부 [ ]가스ㆍ[ ]분말ㆍ[ ]고체 에어로졸 o소화약제 방출구 유효범위 내 설치 여부 o감지부의 유효설치범위 내 설치 여부 o최고주위온도에 따른 적합 표시온도 감지기 설치 여부 o화재감지기 방호구역내 천장 또는 옥내 면하는 부분 적정설치 여부 o방호구역 내 화재감지기의 감지에 작동의 적정 여부 o화재감지기 교차회로 방식 설치 및 설치기준 적정 여부 | | 6 | 이산화탄소 또는 할로겐화합물 (제4조) o이산화탄소ㆍ할론소화기 지하층ㆍ무창층ㆍ밀폐 거실(20㎡미만) 설치 여부 | | 7 | o형식승인 또는 성능인증 사항 : 별첨 | | 비고 | | 1. 수동식 분말소화기는 성능확인을 받은 경우 1회에 한하여 3년 연장 가능 [소방용품의 품질관리 등에 관한 규칙(행정안전부령)] (시행‘17.2.15.) 2.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3. 옥내소화전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5쪽 중 1쪽) | 항 목 | 주된 수원 | 종 류 | [ ]일반수조 [ ]고가수조 [ ]압력수조 [ ]가압수조 [ ]그 밖의 것 : | 설치장소 | [ ]지하 [ ]지상 [ ]옥상 [ ]그 밖의 것 : | 설치위치 | [ ]부압흡입방식의 저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낮은 위치) [ ]정압흡입방식의 저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높은 위치) | 설치방식 | [ ]전용 [ ]겸용 | 수조재질 | [ ]콘크리트 [ ]기타 : | 수원수량 | ◦ 최대저장수량 ㎥ ◦ 유효수량 ㎥ | 보조 수원 (옥상) | 설치여부 | [ ]설치 [ ]제외(제외사유 : ) | 수원수량 | ◦ 최대저장수량 ㎥ ◦ 유효수량 ㎥ | 가압 송수 장치 | 설치위치 | 층 실 | 감압장치 | [ ]유 [ ]무 | 펌프방식 | 종 류 | [ ]전용 [ ]겸용 | [ ]주 펌 프-[ ]전동기 [ ]예비펌프-[ ]전동기, [ ]내연기관 | [ ]충압펌프 설치 [ ]충압펌프 미설치 | 성 능 | ◦ 전양정 : m ◦ 토출량 : ℓ/min | ◦ 출력 : kw ◦ 토출구경 : ㎜ | 물올림장치 | ◦ 유효수량 : ℓ ◦ 급수배관 구경 : ㎜ | 기타 장치 | ◦ 축전지설비 : [ ]유 [ ]무 ◦ 연료량 : ℓ | 기동장치 | 방식 | [ ]기동스위치(ON/OFF) [ ]압력챔버(용량 : ℓ) [ ]기동용압력S/W ([ ]부르동관식 [ ]전자식) | 기동점 | ◦ 주펌프 : MPa ◦ 충압펌프 : 기동 MPa / 정지 : MPa | 고가수조방식 | ◦ 유효낙차 : m | 압력수조방식 | ◦ 탱크가압압력 : MPa ◦ 용량 : ℓ ◦ 에어콤푸레샤 용량 : ㎥/min ◦ 동력 : kw | 가압수조방식 | ◦ 수조용량 : ◦ 수조가압압력 : MPa ◦ 압력방식 : ◦ 가압원 : | 방수구 | ◦ 총 설치개수 : 개 | ◦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소화전수 : 개 | [ ]호스방식 [ ] 호스릴방식 | 표시등 | [ ]전용 [ ] 겸용(점멸) | 배 관 | 배 관 | 종 류 | [ ]전용 [ ]겸용 | 구 경 | ◦ 주배관(수직배관) : mm ◦ 가지배관 : mm | 재 질 | [ ] KS D 3576 | [ ] KS D 3507 | [ ] KS D 5301 | [ ] KS D 3595 | [ ] KS D 4311 | [ ] KS D 3583 | [ ] KS D 3562 | [ ] 소방용합성수지배관 | [ ] 기타 | 이 음 | [ ]용접/나사 [ ]그루브 [ ]플랜지 [ ]그 밖의 것 : | 밸 브 | 개폐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체크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그 밖의 것 | | 송수구 | ◦ 설치개수 : 개 ◦ 설치높이 : m ◦ 형태 : [ ]단구형 [ ]쌍구형 | 제어반 | 설치형태 |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구분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미구분 | 설치장소 | [ ]전용실 내부 [ ] 그 밖의 장소 : | 설치위치 | [ ]피난층 또는 지하 1층 [ ] 지상 2층 [ ] 지하 1층 외의 지하층(지하 층) | 배선 | 비상전원회로 | [ ]내화전선 [ ]전선관 등 수납 후 매설 [ ]그 밖의 것 : | 그밖의 회로 | [ ]내열전선 [ ]전선관 등 수납 [ ]케이블 공사방법 [ ]그 밖의 것 :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5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2)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수원 (제4조) o주된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o보조수원(옥상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 o보조수원(옥상) 설치제외 사항 적정 여부 | | 2 | 수조 (제4조) o점검 편의성 확보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수위계 설치 또는 수위 확인 가능 여부 o수조 외측 고정사다리 설치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o실내 설치시 조명설비 설치 및 적정 조도 확보 여부 o수조의 밑 부분 청소용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 설치 여부 o“옥내소화전설비용 수조” 표지 설치 여부 및 설치상태 o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의 이름 표시한 표지 설치 여부 o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 “옥내소화전설비용 배관” 표지 설치 여부 o다른 설비와 겸용의 경우 후드밸브, 흡수구, 급수구의 설치 위치 | | 3 | 가압송수장치 (제5조) [ ]펌프방식 o주펌프를 전동기 방식으로 설치 여부 o펌프 설치환경 적정 여부(접근ㆍ점검 편의성, 화재ㆍ침수 등 피해 우려)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옥내소화전 방수압력 적정 여부 o감압장치 설치 여부(방수압력 0.7MPa 초과 조건) o옥내소화전 방수량 적정 여부 o펌프 정격토출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o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o펌프 흡입측 연성계ㆍ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설치 위치 적정 여부 o주펌프측에 성능시험 배관 및 순환 배관 설치 여부(충압펌프 제외) o기동용수압개폐장치 설치 적정 여부 o압력챔버 용적 적정 여부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o기동스위치 설치 적정 여부(ON/OFF 방식) o주펌프와 동등이상 펌프 추가설치 여부(ON/OFF 방식) o물올림장치 설치 여부 - 전용탱크,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적정설치 여부 o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o내연기관 방식 기동장치 설치 여부 또는 원격조작(적색등) 가능 여부 - 제어반에 내연기관 자동기동 및 수동기동 가능 여부 - 상시 충전 축전지설비 설치 여부 - 연료탱크 용량 및 연료량 적정운전 가능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옥내소화전펌프” 표지 설치 여부 또는 가압송수장치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 표시 부착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자동정지 불가능 여부(충압펌프 제외) | | 210mm×297mm [백상지(80g/㎡)] |
(5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2)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3 | [ ]고가수조방식 o자연낙차 수두 적정 여부 o부속장치(수위계ㆍ배수관ㆍ급수관ㆍ오버플로우관ㆍ맨홀) 설치 여부 [ ]압력수조방식 o압력수조의 압력 적정 여부 o부속장치(수위계ㆍ배수관ㆍ급수관ㆍ급기관ㆍ맨홀ㆍ압력계ㆍ안전장치ㆍ자동식공기압축기) 설치 여부 [ ]가압수조방식 o방수량 및 방수압 적정(20분 이상 유지) 여부 o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4 | 배관 등 (제6조) o배관과 배관이음쇠의 재질, 인증품 사용, 설치방식 등 적정 여부 o소방용합성수지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및 설치 적정 여부 o겸용 급수배관 성능 적정 여부(자동 송수 차단 등) o흡입측 배관의 공기고임 방지 구조 및 여과장치 설치 여부 o각 펌프 흡입측 배관 수조로부터 별도 설치 여부(수조가 펌프보다 낮음) o펌프 토출 측 주배관 구경 설치 적정 여부 o옥내소화전방수구와 연결 가지배관 구경 설치 적정 여부 o주배관 중 수직배관 구경 설치 적정 여부 o연결송수관설비와 겸용시 배관구경 설치 적정 여부 o펌프 성능시험배관 설치 및 성능 - 설치 위치(배관,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적정 여부 - 유량측정 장치 설치 위치 - 유량측정 장치 측정 성능 적정 여부 o순환배관 설치 적정(위치, 구경,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보온재 성능(난연재 이상) 적정 여부 o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 적정(개폐표시형, 흡입측 버터플라이 제외) 여부 o다른 설비 배관과의 구분방식 적정 여부(보온재 적색&배관구분 설치) o분기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5 | 송수구 (제6조) o설치장소 적정 여부(소방차 쉽게 접근, 잘 보이는 장소 설치 등) o개폐밸브 미설치 여부(소화설비와 겸용 시 개표밸브 설치 가능) o지면으로부터 높이의 적정 여부 o송수구 구경 적정 여부 o자동배수밸브(배수공)ㆍ체크밸브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적정 여부 o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 o소방시설별 송수구 적정 구분 표시 여부 | | 6 | 함 및 방수구 등 (제7조) o소화전함 성능인증 적합 여부 o함 개방 용이성 및 장애물 설치 여부 등 사용 편의성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5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2)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6 | o위치ㆍ기동 표시등 설치 적정(설치위치, 성능인증 적합) 여부 o“소화전” 표시 및 사용요령(외국어 병기) 기재 표지판 설치 여부 o대형공간(기둥 또는 벽이 없는 구조)의 소화전 함 위치표지를 표시등 또는 축광도료 등으로 상시 확인 가능토록 설치 여부 o방수구 설치(각 층, 수평거리 25m 이내, 높이 1.5m 이내) 적정 여부 o함 내 소방호스 및 관창 비치 적정 여부 o호스의 접결상태, 구경, 방수거리 적정 여부 o호스릴방식 노즐 개폐장치 사용 용이 여부 o복층형 구조의 공동주택 방수구 설치 적정 여부 o방수구 설치제외 장소 적정 여부 | | 7 | 전원 (제8조) o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회로 배선 적정 여부 | | 8 | 제어반 (제9조) [공통사항] o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 구분 설치 여부 o제어반 설치장소(화재ㆍ침수 피해 방지) 적정 여부 o제어반 설비전용 설치 여부(제어에 지장없는 경우 제외) o겸용 감시ㆍ동력 제어반 성능 적정 여부(겸용으로 설치된 경우) [감시제어반] o펌프 작동 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o펌프 별 자동ㆍ수동 전환스위치 정상작동 여부 o펌프 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작동 여부 o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o수조ㆍ물올림탱크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o각 확인회로 별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정상작동 여부 o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시험 적합 여부 o전용실(중앙제어실 내에 감시제어반 설치 시 제외) -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 적정 여부 - 설치 위치(층) 적정 여부 - 비상조명등 및 급ㆍ배기설비 설치 적정 여부 - 무선기기 접속단자 설치 적정 여부 - 바닥면적 적정 확보 여부 o기계ㆍ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설비 외 설치 여부 [동력제어반] o“옥내소화전설비용 동력제어반” 표지 설치 여부 o외함의 색상(적색), 재료, 두께, 강도 및 내열성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5쪽 중 5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2)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9 | 배선 (제10조) o비상전원회로 사용전선 및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그 밖의 전기회로의 사용전선 및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과전류차단기 및 개폐기 “옥내소화전설비용” 표지 설치 여부 o적정 과전류차단기 설치 및 적정 작동 여부 o전기배선 접속단자 “옥내소화전단자” 표지 설치 여부 o전기배선 양단 타 설비와 식별 용이성 확보 여부 | | 10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11 | 수압시험 o가압송수장치 및 부속장치(밸브류ㆍ배관ㆍ배관부속류ㆍ압력챔버)의 수압시험(접속상태에서 실시한다. 이하 같다)결과 o옥외연결송수구 연결배관의 수압시험결과 o입상배관 및 가지배관의 수압시험결과 ※ 수압시험은 1.4MPa의 압력으로 2시간 이상 시험하고자 하는 배관의 가장 낮은 부분에서 가압하되, 배관과 배관ㆍ배관부속류ㆍ밸브류ㆍ각종장치 및 기구의 접속부분에서 누수현상이 없어야 한다. 이 경우 상용수압이 1.05MPa이상인 부분에 있어서의 압력은 그 상용수압에 0.35MPa을 더한 값 | | 12 | ※펌프 성능시험결과표(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주펌프 | 예비펌프 | 적 정 여 부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체절운전 | | | | | 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이하일 것( ) | 정격운전 (100%) | | | | | 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이상일 것( )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 | | | 정격토출량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이상일 것( ) | ○설정압력: MPa ○주펌프 기동: MPa ○예비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정지: MPa ※ 유량계: [ ]전자식, [ ] 초음파식, [ ]기타( ) ※ 릴리프밸브 작동 압력 : MPa |
| 비고 | o방수구 설치제외 장소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4. 스프링클러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8쪽 중 1쪽) | 항 목 | 방식 | [ ] 습식 [ ] 건식 [ ] 준비작동식 [ ] 일제살수식 [ ] 부압식 | 헤드 | [ ] 폐쇄형설치층 : 층 [ ] 조기반응형설치층 : 층 [ ] 개방형설치층 : 층 [ ] 드라이펜던트형설치층 : 층 | 주된 수원 | 종 류 | [ ]일반수조 [ ]고가수조 [ ]압력수조 [ ]가압수조 [ ]그 밖의 것 : | 설치장소 | [ ]지하 [ ]지상 [ ]옥상 [ ]그 밖의 것 : | 설치위치 | [ ]부압흡입방식 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낮음) | [ ]정압흡입방식 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높음) | 설치방식 | [ ]전용 [ ]겸용 | 수조재질 | [ ]콘크리트 [ ]기타( ) | 수원수량 | ◦ 최대저장수량 ㎥ ◦ 유효수량 ㎥ | 보조 수원 (옥상) | 설치여부 | [ ]설치 [ ]제외(제외사유 : ) | 수원수량 | ◦ 최대저장수량 ㎥ ◦ 유효수량 ㎥ | 가압 송수 장치 | 설치위치 | 층 실 | 감압장치 | [ ]유 [ ]무 | 펌프방식 | 종 류 | [ ]전용 [ ]겸용 | [ ]주 펌 프-[ ]전동기 [ ]예비펌프-[ ]전동기, [ ]내연기관 | [ ]충압펌프 설치 [ ]충압펌프 미설치 | 성 능 | ◦ 전양정 : m ◦ 토출량 : ℓ/min | ◦ 출력 : kw ◦ 토출구경 : ㎜ | 물올림장치 | ◦ 유효수량 : ℓ ◦ 급수배관 구경 : ㎜ | 기타 장치 | ◦ 축전지설비 : [ ]유 [ ]무 ◦ 연료량 : ℓ | 기동장치 | 습식ㆍ건식 | [ ] 기동용수압개폐장치 [ ] 유수검지장치 [ ] 혼용 | 준비작동식ㆍ 일제개방밸브 | [ ] 기동용수압개폐장치 [ ] 화재감지기 [ ] 혼용 | 고가수조방식 | ◦ 유효낙차 : m | 압력수조방식 | ◦ 탱크가압압력 : MPa ◦ 용량 : ℓ ◦ 에어콤푸레샤 용량 : ㎥/min ◦ 동력 : kw | 가압수조방식 | ◦ 수조용량 : ◦ 수조가압압력 : MPa ◦ 압력방식 : ◦ 가압원 : | 방호 (수) 구역 | ◦ 최대방호구역 : ㎡ | ◦ 최대방수구역 : 헤드개수 개 | 유수 검지 장치 | 습식 | [ ] 직경 mm ◦ 설치개수 : 개 | 건식 | [ ] 직경 mm ◦ 설치개수 : 개 | 준비작동식 | [ ] 직경 mm ◦ 설치개수 : 개 | 일제개방밸브 | [ ] 감압개방 [ ] 가압개방 / 직경 mm ◦ 설치개수 : 개 | 배 관 | 배 관 | 종 류 | [ ]전용 [ ]겸용 / [ ]규약배관(별표1) [ ]수리계산 | 구 경 | ◦ 주배관(수직배관) : mm ◦ 가지배관 : mm | 재 질 | [ ] KS D 3576 | [ ] KS D 3507 | [ ] KS D 5301 | [ ] KS D 3595 | [ ] KS D 4311 | [ ] KS D 3583 | [ ] KS D 3562 | [ ] 소방용합성수지배관 | [ ] 기타 | 이 음 | [ ]용접/나사 [ ]그루브 [ ]플랜지 [ ]그 밖의 것 : | 밸 브 | 개폐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체크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그 밖의 것 | | 송수구 | ◦ 설치개수 : 개 ◦ 설치높이 : m ◦ 형태 : [ ]단구형 [ ]쌍구형 | 제어반 | 설치형태 |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구분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미구분 | 설치장소 | [ ]전용실 내부 [ ] 그 밖의 장소 : | 설치위치 | [ ]피난층 또는 지하 1층 [ ] 지상 2층 [ ] 지하 1층 외의 지하층(지하 층) | 배선 | 비상전원회로 | [ ]내화전선 [ ]전선관 등 수납 후 매설 [ ]그 밖의 것 : | 그밖의 회로 | [ ]내열전선 [ ]전선관 등 수납 [ ]케이블 공사방법 [ ]그 밖의 것 :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8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수원 (제4조) o주된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o보조수원(옥상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 o보조수원(옥상) 설치제외 사항 적정 여부 | | 2 | 수조 (제4조) o점검 편의성 확보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수위계 설치 또는 수위확인 가능 여부 o수조외측 고정사다리 설치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o실내설치 시 조명설비 설치 및 적정조도 확보 여부 o수조의 밑 부분 청소용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 설치 여부 o“스프링클러설비용 수조” 표지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o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의 이름 표시한 표지 설치 여부 o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 “스프링클러설비용 배관” 표지 설치 여부 o다른 설비와 겸용의 경우 후드밸브, 흡수구, 급수구의 설치 위치 | | 3 | 가압송수장치 (제5조) [ ]펌프방식 o주펌프를 전동기 방식으로 설치 여부 o펌프 설치환경 적정 여부(접근ㆍ점검 편의성, 화재ㆍ침수 등 피해 우려)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가압송수장치 정격토출압력 적정 여부 o가압송수장치 송수량 적정 여부 o펌프 정격토출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o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o펌프 흡입측 연성계ㆍ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설치위치 적정 여부 o주펌프 측에 성능시험 배관 및 순환 배관 설치 여부(충압펌프 제외) o기동용수압개폐장치 설치 적정 여부 - 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 압력챔버 용적 적정 여부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o물올림장치 설치 여부 - 전용탱크,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적정설치 여부 o내연기관 방식 기동장치 설치 여부 또는 원격조작(적색등) 가능 여부 - 제어반에 내연기관 자동기동 및 수동기동 가능 여부 - 상시 충전 축전지설비 설치 여부 - 연료탱크 용량 및 연료량 적정운전 가능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스프링클러펌프” 표지 설치 여부 또는 가압송수장치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 표시 부착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자동정지 불가능 여부(충압펌프 제외) | | 210mm×297mm [백상지(80g/㎡)] |
(8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3 | [ ]고가수조방식 o자연낙차수두 적정 여부 o부속장치(수위계ㆍ배수관ㆍ급수관ㆍ오버플로우관ㆍ맨홀) 설치 여부 [ ]압력수조방식 o압력수조의 압력 적정 여부 o부속장치(수위계ㆍ배수관ㆍ급수관ㆍ급기관ㆍ맨홀ㆍ압력계ㆍ안전장치ㆍ자동식공기압축기) 설치 여부 [ ]가압수조방식 o방수량 및 방수압 적정(20분 이상 유지) 여부 o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4 | 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 방호구역 및 유수검지장치 (제6조) o방호구역의 바닥면적 적정 여부 - 격자형배관방식 채택의 적정 여부 o유수검지장치 설치 적정(수량, 접근ㆍ점검 편의성, 높이) 여부 o방호구역 선정 적정(1개 층 1개) 여부 - 헤드 10개이하, 복층형구조 공동주택 3개층 이내 방호구역 설치 o유수검지장치실 설치 적정(실내 또는 구획, 출입문 크기, 표지) 여부 o헤드 공급수 유수검지장치 통과 여부 o자연낙차방식일때 유수검지장치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조기반응형스프링클러설비 설치 시 습식유수검지장치 또는 부압식스프링클러설비 설치 여부 | | 5 | 개방형스프링클러설비 방수구역 및 일제개방밸브 (제7조) o방수구역 선정 적정(1개 층 1개 방수구역) 여부 o방수구역별 일제개방밸브 설치 여부 o하나의 방수구역을 담당하는 헤드개수 적정 여부 o주차장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방식 적정(습식 외의 방식) 여부 o일제개방밸브실 설치 적정(실내 또는 구획, 높이, 출입문 크기, 표지) 여부 | | 6 | 배관 (제8조) o배관과 배관이음쇠의 재질, 인증품 사용, 설치방식 등 적정 여부 o소방용합성수지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및 설치 적정 여부 o겸용 급수배관 성능 적정 여부(자동 송수 차단 등) o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 적정(개폐표시형, 흡입측 버터플라이 제외) 여부 o배관 구경 적정(수리계산방식의 경우 유속 제한기준 포함) 여부 o흡입측 배관의 공기고임 방지 구조 및 여과장치 설치 여부 o각 펌프 흡입측 배관 수조로부터 별도 설치 여부(수조가 펌프보다 낮음) o연결송수관설비와 겸용시 배관구경 설치 적정 여부 o펌프 성능시험배관 설치 및 성능 - 설치 위치(배관,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적정 여부 - 유량측정장치 설치 위치 - 유량측정장치 측정 성능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8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6 | o순환배관 설치 적정(위치, 구경,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보온재 성능(난연재 이상) 적정 여부 o가지배관 배열방식 적정 여부(토너먼트 방식 제외) o가지배관에 설치되는 헤드 수량의 적정 여부 o신축배관 성능인증 적합 및 설치길이 적정 여부 o교차배관 설치위치 적정 여부 및 최소구경 충족 여부 o청소구 설치 적정(설치위치, 나사식 개폐밸브 및 나사보호용 캡 설치) 여부 o하향식 헤드 가지배관 분기 적정 여부 o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및 일제개방밸브 2차측 배관 부대설비 - 수직배수배관 연결 및 개폐밸브 설치 적정 여부 - 자동배수장치 및 압력스위치 설치 적정 여부 - 압력스위치 수신부에서 개방 여부 확인 가능 여부 o습식ㆍ건식유수검지장치 및 부압식스프링클러설비 시험장치 - 유수검지장치에서 가장 먼 가지배관에 끝에 설치 여부 - 시험장치 배관구경 적정 여부 - 시험장치 개폐밸브 및 개방형헤드 설치 적정 여부 - 시험 중 방사된 물이 바닥에 흘러내리지 않는 구조로 설치 여부 o가지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교차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수평주행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수직배수배관 최소구경 충족 여부 o주차장 스프링클러설비 방식 적정 여부 o급수배관 개폐밸브 작동표시스위치 설치 - 급수개폐밸브 잠금상태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 표시, 경보 가능 여부 - 탬퍼스위치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에서 동작 유무확인 가능 여부 - 탬퍼스위치 배선 동작시험, 도통시험 가능 여부 - 급수 개폐밸브 작동표시 스위치 전기배선 적정설치 여부 o배관 수평 설치 여부(습식ㆍ부압식), 배수밸브 설치 적정 여부 o배관 기울기 적정 여부(습식ㆍ부압식), 배수밸브 설치 적정 여부 o다른 설비 배관과의 구분방식 적정 여부(보온재 적색&배관구분 설치) o분기배관 성능인증제품 설치 여부 | | 7 |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제9조) o습식ㆍ건식 유수검지장치 사용 설비 헤드 개방시 음향장치 작동 여부 o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발밸브 화재감지기 감지에 따라음향장치 작동 여부 o음향장치 설치 담당구역 및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음향장치의 종류, 음색, 성능 적정 여부 o주 음향장치 수신기 내부 또는 직근 설치 여부 o경보방식에 따른 경보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8쪽 중 5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7 | [펌프 작동] o습식ㆍ건식스프링클러설비 펌프의 작동 적정 여부(유수검지장치 발신,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작동 또는 혼용에 의한 작동) o준비작동식ㆍ일제살수식스프링클러설비 펌프의 작동 적정 여부(화재감지기의 화재감지,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작동 또는 혼용에 의한 작동) [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발밸브 작동] o담당구역내 화재감지기 동작에 따라 개방 및 작동 여부 o화재감지기 교차회로방식 설치 여부 o화재감지기 담당 바닥면적의 적정 여부 o수동기동에 따라서 개방 및 작동 여부 o화재감지기 회로의 발신기 설치 - 설치장소 및 설치높이 적정 여부 - 층마다 설치 및 설치 거리 적정 여부 - 표시등 설치 위치, 식별가능 적색등 적정설치 여부 | | 8 | 헤드 (제10조) o헤드 부착 위치ㆍ장소ㆍ상태(고정) 적정 여부 o천장과 반자사이 헤드 설치 시 적정설치 여부 o폭 1.2m초과 덕트, 선반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 헤드 설치 적정 여부 o랙크식창고 헤드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헤드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수리계산에 따른 헤드 적정 설치 여부 o무대부 또는 연소우려 있는 개구부 개방형 헤드 설치 여부 o조기반응형 헤드 설치 장소 적정 여부(의무 설치 대상) o개방형스프링클러헤드 적정 설치 여부(의무 설치 대상) o폐쇄형 헤드 표시온도에 따른 설치장소 적정 여부 o헤드의 반사판 중심과 보의 수평거리 적정 여부 [설치방법] o헤드 살수장애 여부 o헤드 살수반경 및 벽과의 공간 확보 여부 o헤드와 부착면과의 적정설치 여부(30cm이하) o헤드 반사판 부착면과 평행 설치 여부 o천장의 기울기가 10분의 1을 초과하는 경우 - 가지관을 천장마루와 평행하게 설치 여부 - 천장 최상부 헤드설치 시 적정설치 여부 - 가지배관, 헤드, 반사판 설치 적정 여부 o연소 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 - 헤드 상하좌우 설치 간격의 적정 여부 - 헤드와 개구부 내측면과 거리 적정 여부 - 헤드 상호간 간격의 적정 여부 o습식ㆍ부압식스프링클러 외의 설비 상향식 헤드 설치 여부 o측벽형 헤드 설치 적정 여부 o감열부에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헤드의 차폐판 설치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8쪽 중 6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9 | 송수구 (제11조) o설치장소 적정 여부(소방차 쉽게 접근, 잘 보이는 곳 설치 등) o개폐밸브 설치 장소 적정 여부 o송수구 구경 및 형태(쌍구형) 적정 여부 o송수압력범위 표시 표지 적정설치 여부 o송수구 설치 개수 적정 여부(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의 경우) o지면으로부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자동배수밸브(또는 배수공)ㆍ체크밸브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적정 여부 o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 o겸용 송수구 성능 적정 여부 o소방시설별 송수구 적정 구분 표시 여부 | | 10 | 전원 (제12조) o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회로회로회로 배선 적정 여부 | | 11 | 제어반 (제13조) [공통사항] o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 구분 설치 여부 o제어반 설치장소(화재ㆍ침수 피해 방지) 적정 여부 o제어반 설비전용 설치 여부(제어에 지장없는 경우 제외) o겸용 감시ㆍ동력 제어반 성능 적정 여부(겸용으로 설치된 경우) [감시제어반] o펌프 작동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 작동 여부 o펌프별 자동ㆍ수동 전환스위치 정상작동 여부 o펌프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작동 여부 o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o수조ㆍ물올림탱크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o각 확인회로별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정상 작동 여부 o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적합여부 시험 가능 여부 o전용실(중앙제어실 내에 감시제어반 설치 시 제외) -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 적정 여부 - 설치 위치(층) 적정 여부 - 비상조명등 및 급ㆍ배기설비 설치 적정 여부 - 무선기기 접속단자 설치 적정 여부 - 바닥면적 적정 확보 여부 o기계ㆍ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설비 외 설치 여부 o유수검지장치ㆍ일제개방밸브 작동 시 표시 및 경보 정상작동 여부 o일제개방밸브 수동조작스위치 설치 여부 o일제개방밸브 사용 설비 화재감지기 회로별 화재표시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8쪽 중 7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1 | o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 기동용수압개폐장치의 압력스위치 회로 작동 여부 - 수조 및 물올림탱크의 저수위감시 회로 작동 여부 -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의 압력스위치 회로 작동 여부 - 일제개방밸브를 사용하는 설비의 화재감지기 회로 작동 여부 - 개폐밸브 폐쇄상태 확인 회로 작동 여부 o감시제어반과 수신기 간 상호 연동 여부(별도로 설치된 경우) [동력제어반] o“스프링클러설비용 동력제어반” 표지 설치 여부 o외함의 색상(적색), 재료, 두께, 강도 및 내열성 적정 여부 [자가발전설비 제어반의 제어장치] o비영리 공인기관의 시험 필한 장치 설치 여부 o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 제어장치 설치 및 표시 적정 여부 | | 12 | 배선 등 (제14조) o비상전원회로 사용전선 및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그 밖의 전기회로의 사용전선 및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과전류차단기 및 개폐기 “스프링클러설비용” 표지 설치 여부 o전기배선 접속단자 “스프링클러설비단자” 표지 설치 여부 o전기배선 양단 타 설비와 식별 용이성 확보 여부 | | 13 | 헤드 설치제외 (제15조) o헤드 설치 제외 적정 여부(설치 제외된 경우) [드렌처헤드] o드렌처설비헤드 수량, 위치의 적정 여부 o제어밸브 설치 위치의 적정 여부 o수원량 적정 확보 여부 o방수압력, 방수량의 적정 여부 o가압송수장치 설치위치, 장소의 적정 여부 | | 14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15 | 수압시험 o가압송수장치 및 부속장치(밸브류ㆍ배관ㆍ배관부속류ㆍ압력챔버)의 수압시험(접속상태에서 실시한다. 이하 같다)결과 o옥외연결송수구 연결배관의 수압시험결과 o입상배관 및 가지배관의 수압시험결과 | | 210mm×297mm [백상지(80g/㎡)] |
(8쪽 중 8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5 | ※수압시험은 1.4MPa의 압력으로 2시간 이상 시험하고자 하는 배관의 가장 낮은 부분에서 가압하되, 배관과 배관ㆍ배관부속류ㆍ밸브류ㆍ각종장치 및 기구의 접속부분에서 누수현상이 없어야 한다. 이 경우 상용수압이 1.05MPa 이상인 부분에 있어서의 압력은 그 상용수압에 0.35MPa을 더한 값 | | 16 | ※펌프 성능시험결과표(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주펌프 | 예비펌프 | 적 정 여 부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체절운전 | | | | | 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 정격운전 (100%) | | | | | 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 | | | 정격토출량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이상일 것( ) | ○설정압력: MPa ○주펌프 기동: MPa ○예비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정지: MPa ※ 유량계: [ ]전자식, [ ] 초음파식, [ ]기타( ) ※ 릴리프밸브 작동 압력 : MPa |
| 비고 | o천장과 반자사이 헤드 설치장소 : o헤드설치 제외 장소 : | 1. 스프링클러설비 단위별로 작성한다. 2. 방수압력의 측정은 스프링클러설비의 오리피스 선단에서의 피토게이지압력으로 한다. 3.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5.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7쪽 중 1쪽) | 항 목 | 방 식 | [ ] 상수도직결형 [ ] 수조형([ ]가압송수장치 [ ] 캐비닛형) | 헤드 | [ ] 간이형설치층 : 층 [ ] 폐쇄형설치층 : 층 [ ] 조기반응형설치층 : 층 [ ] 개방형설치층 : 층 [ ] 드라이펜던트형 : 층 | 수원 (수조형) | 종 류 | [ ]일반수조 [ ]고가수조 [ ]압력수조 [ ]가압수조 [ ]그 밖의 것 : | 설치장소 | [ ]지하 [ ]지상 [ ]옥상 [ ]그 밖의 것 : | 설치위치 | [ ]부압흡입방식의 저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낮은 위치) [ ]정압흡입방식의 저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높은 위치) | 설치방식 | [ ]전용 [ ]겸용 | 수조재질 | [ ]콘크리트 [ ]기타( ) | 수원수량 | ◦ 최대저장수량 ㎥ ◦ 유효수량 ㎥ | 급수차단장치(상수도직결형) | ◦ 급수차단장치의 설치 위치 : | 가압 송수 장치 | 설치위치 | 층 실 | 감압장치 | [ ]유 [ ]무 | 펌프방식 | 종 류 | [ ]전용 [ ]겸용 | [ ]전동기 [ ]내연기관 | [ ]충압펌프 설치 [ ]충압펌프 미설치 | 성 능 | ◦ 전양정 : m ◦ 토출량 : ℓ/min | ◦ 출력 : kw ◦ 토출구경 : ㎜ | 물올림장치 | ◦ 유효수량 : ℓ ◦ 급수배관 구경 : ㎜ | 기타 장치 | ◦ 축전지설비 : [ ]유 [ ]무 ◦ 연료량 : ℓ | 기동장치 | 방식 | [ ]기동스위치(ON/OFF) [ ]압력챔버(용량 : ℓ) [ ]기동용압력S/W ([ ]부르동관식 [ ]전자식) | 기동점 | ◦ 주펌프 : MPa ◦ 충압펌프 : 기동 MPa / 정지 : MPa | 고가수조방식 | ◦ 유효낙차 : m | 압력수조방식 | ◦ 탱크가압압력 : MPa ◦ 용량 : ℓ ◦ 에어콤푸레샤 용량 : ㎥/min ◦ 동력 : kw | 가압수조방식 | ◦ 수조용량 : ◦ 수조가압압력 : MPa ◦ 압력방식 : ◦ 가압원 : | 방호 구역 등 | ◦ 방호구역수 : 구역 | ◦ 최대방호구역 : ㎡ ◦ 헤드개수 : 개 | ◦ 유수검지장치 직경 : mm ◦ 설치개수 : 개 | 배 관 | 배 관 | 종 류 | [ ]전용 [ ]겸용 / [ ]규약배관(별표1) [ ]수리계산 | 구 경 | ◦ 주배관(수직배관) : mm ◦ 가지배관 : mm ◦ 수도배관 : mm | 재 질 | [ ] KS D 3576 | [ ] KS D 3507 | [ ] KS D 5301 | [ ] KS D 3595 | [ ] KS D 4311 | [ ] KS D 3583 | [ ] KS D 3562 | [ ] 소방용합성수지배관 | [ ] 기타 | 이 음 | [ ]용접/나사 [ ]그루브 [ ]플랜지 [ ]그 밖의 것 : | 밸 브 | 개폐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체크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그 밖의 것 | | 송수구 | ◦ 설치개수 : 개 ◦ 설치높이 : m ◦ 형태 : [ ]단구형 [ ]쌍구형 | 제어반 | 설치형태 |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구분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미구분 | 설치장소 | [ ]전용실 내부 [ ] 그 밖의 장소 : | 설치위치 | [ ]피난층 또는 지하 1층 [ ] 지상 2층 [ ] 지하 1층 외의 지하층(지하 층) | 배선 | 비상전원회로 | [ ] 내화전선 [ ] 전선관매설 [ ] 그밖의 것 : | 그밖의 회로 | [ ] 내열전선 [ ] 전선관노출 [ ] 전선관매설 [ ] 그밖의 것: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7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수원 (제4조) o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 | 2 | 수조 (제4조) o자동급수장치 설치 여부 o점검 편의성 확보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수위계 설치 또는 수위확인 가능 여부 o수조외측 고정사다리 설치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o실내설치 시 조명설비 설치 및 적정조도 확보 여부 o수조의 밑 부분 청소용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 설치 여부 o“간이스프링클러설비용 수조” 표지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o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의 이름 표시한 표지 설치 여부 o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 “간이스프링클러설비용 배관” 표지 설치 여부 o다른 설비와 겸용의 경우 후드밸브, 흡수구, 급수구의 설치 위치 | | 3 | 가압송수장치 (제5조) [ ]상수도직결형 o방수압력(간이헤드 선단) 적정 여부 o방수량(간이헤드 선단) 적정 여부 [ ]펌프방식 o펌프 설치환경 적정 여부(접근ㆍ점검 편의성, 화재ㆍ침수 등 피해 우려)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가압송수장치 정격토출압력 적정 여부 o가압송수장치 송수량 적정 여부 o펌프 정격토출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o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o펌프 흡입측 연성계ㆍ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설치위치 적정 여부 o주펌프측에 성능시험 배관 및 순환 배관 설치 여부 o기동용수압개폐장치 설치 적정 여부 - 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o압력챔버 용적 적정 여부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o물올림장치 설치 여부(캐비닛형 제외) - 전용탱크,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적정설치 여부 o내연기관 방식 기동장치 또는 원격조작 가능 여부 - 상시 충전 축전지설비 설치 및 내연기관 연료확보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간이스프링클러펌프” 표지 설치 여부 또는 가압송수장치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 표시 부착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3 | [ ]고가수조방식 o자연낙차수두 적정 여부 o부속장치(수위계ㆍ배수관ㆍ급수관ㆍ오버플로우관ㆍ맨홀) 설치 여부 [ ]압력수조방식 o압력수조의 압력 적정 여부 o부속장치(수위계ㆍ배수관ㆍ급수관ㆍ급기관ㆍ맨홀ㆍ압력계ㆍ안전장치ㆍ자동식공기압축기) 설치 여부 [ ]가압수조방식 o방수량 및 방수압 적정(10분 또는 20분 이상 유지) 여부 o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성능인증 적합 여부 [기타] o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성능인증 적합 여부 o특정소방대상물의 종류에 따른 적정 가압송수장치 설치 여부 | | 4 | 방호구역 및 유수검지장치 (제6조) o방호구역의 바닥면적 적정 여부 o방호구역내 유수검지장치 적정 여부 o방호구역 선정 적정(1개 층 1개) 여부 o유수검지장치 설치 적정 여부 - 수량, 설치 위치, ‘유수검지장치실’ 출입문 표지 적정 여부 o간이헤드 공급수 유수검지장치 통과 여부 o자연낙차 압력수가 흐르는 배관상 유수검지장치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주차장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방식 적정(습식 외의 방식) 여부 | | 5 | 제어반 (제7조) [ ]상수도직결방식 이외 [공통사항] o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 구분 설치 여부 o제어반 설치장소(화재ㆍ침수 피해 방지) 적정 여부 o제어반 설비전용 설치 여부(제어에 지장없는 경우 제외) o겸용 감시ㆍ동력 제어반 성능 적정 여부(겸용으로 설치된 경우) [감시제어반] o펌프 작동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 작동 여부 o펌프별 자동ㆍ수동 전환스위치 정상 작동 여부 o펌프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 작동 여부 o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o수조ㆍ물올림탱크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 작동 여부 o각 확인회로별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정상 작동 여부 o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적합여부 시험 가능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5 | o전용실(중앙제어실 내에 감시제어반 설치 시 제외) -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 적정 여부 - 설치 위치(층) 적정 여부 - 비상조명등 및 급ㆍ배기설비 설치 적정 여부 - 무선기기 접속단자 설치 적정 여부 - 바닥면적 적정 확보 여부 o기계ㆍ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 설비외 설치 여부 o유수검지장치ㆍ일제개방밸브 작동 시 표시 및 경보 정상작동 여부 o일제개방밸브 수동조작스위치 설치 여부 o일제개방밸브 사용 설비 화재감지기 회로별 화재표시 적정 여부 o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 기동용수압개폐장치의 압력스위치 회로 작동 여부 - 수조 및 물올림탱크의 저수위감시 회로 작동 여부 -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의 압력스위치 회로 작동 여부 - 일제개방밸브를 사용하는 설비의 화재감지기 회로 작동 여부 - 개폐밸브 폐쇄상태 확인 회로 작동 여부 o감시제어반과 수신기 간 상호 연동 여부(별도로 설치된 경우) [동력제어반] o“간이스프링클러설비용 동력제어반” 표지 설치 여부 o외함의 색상(적색), 재료, 두께, 강도 및 내열성 적정 여부 [자가발전설비 제어반의 제어장치] o비영리 공인기관의 시험 필한 장치 설치 여부 o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 제어장치 설치 적정 여부 [ ]상수도직결방식 o개폐밸브 및 유수검지장치 작동상태 확인 가능 여부 o예비전원 확보 및 적합여부 시험 가능 여부 | | 6 | 배관 및 밸브 (제8조) o배관과 배관이음쇠의 재질, 인증품 사용, 설치방식 등 적정 여부 o소방용합성수지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및 설치 적정 여부 o겸용 급수배관 성능 적정 여부(자동 송수 차단 등) o급수배관 - 전용설치 여부 - 상수도직결형 수도배관 구경 및 급수차단장치 적정 여부 - 상수도직결형 배관연결 부속품 물고임 방지 조치 적정 여부 - 개폐표시형 밸브 설치 적정 여부 - 배관구경 적정 여부 o흡입측 배관의 공기고임 방지 구조 및 여과장치 설치 여부 o연결송수관설비와 겸용시 배관구경 설치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5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6 | o펌프 성능시험배관 설치 및 성능 - 설치 위치(배관,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적정 여부 - 유량측정장치 설치 위치 - 유량측정장치 측정 성능 적정 여부 o순환배관 설치 적정(위치, 구경,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가지배관 배열방식 적정 여부(토너먼트 방식 제외) o가지배관에 설치 헤드 수량의 적정 여부 o신축배관 성능인증 적합 및 설치길이 적정 여부 o하향식 헤드 가지배관 분기 적정 여부 o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 부대설비 - 개폐표시형밸브 설치 여부 - 수직배수배관 연결 및 개폐밸브 설치 적정 여부 - 자동배수장치 및 압력스위치 설치 적정 여부 - 압력스위치 수신부에서 개방여부 확인 가능 여부 o시험장치 - 유수검지장치에서 가장 먼 가지배관에 끝에 설치 여부 - 시험장치 배관구경 적정 여부 - 개방형헤드 설치 적정 여부 - 시험 중 방사된 물이 바닥에 흘러내리지 않는 구조로 설치 여부 o가지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교차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수평주행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급수배관 개폐밸브 작동표시스위치 설치 - 급수개폐밸브 잠금상태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 표시, 경보 가능 여부 - 탬퍼스위치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에서 동작 유무확인 가능 여부 - 탬퍼스위치 배선 동작시험, 도통시험 가능 여부 - 급수개폐밸브 작동표시스위치 전기배선 적정 설치 여부 o배관 수평 설치 여부(간이스프링클러설비) o간이스프링클러설비 배관 및 밸브 등의 순서의 적정 시공 여부 o다른 설비 배관과의 구분방식 적정 여부(보온재 적색&배관구분 설치) o분기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7 | 간이헤드 (제9조) o폐쇄형 간이헤드 사용 여부 o간이헤드 설치장소 공칭작동온도 적정 여부 o간이헤드 부착면 및 수평거리 적정 여부 o간이헤드 디플렉터와 천장 또는 반자까지 거리의 적정 여부 o간이헤드 살수장애 여부 o간이헤드의 반사판 중심과 보의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상향식 헤드 아래에 설치된 하향식 헤드의 차폐판 설치 여부 o간이헤드 설치제외 적정 여부 o주차장에 표준반응형 스프링클러헤드 설치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6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8 |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제10조) o습식유수검지장치 사용 설비 헤드 개방시 음향장치 작동 여부 o음향장치 설치 담당구역 및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음향장치의 종류, 음색, 성능 적정 여부 o주 음향장치 수신기 내부 또는 직근 설치 여부 o경보방식에 따른 경보 적정 여부 o음향장치의 구조 및 성능 적정 여부 [펌프 작동] o습식유수검지장치 사용설비는 동 장치의 발신,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작동 또는 혼용에 의한 작동 접합 여부 o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 사용설비는 화재감지기의 화재감지,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작동 또는 혼용에 의한 작동 적합 여부 o유수검지장치의 배선 성능 적정 여부 | | 9 | 송수구 (제11조) o설치장소 적정 여부(소방차 쉽게 접근, 잘 보이는 곳 장소 설치 등) o개폐밸브 설치 장소 적정 여부 o송수구 구경 및 형태, 송수배관의 안지름의 적정 여부 o지면으로부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자동배수밸브(또는 배수공)ㆍ체크밸브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적정 여부 o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 o소방시설 별 송수구 적정 구분 표시 여부 | | 10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11 | 수압시험 o가압송수장치 및 부속장치(밸브류ㆍ배관ㆍ배관부속류ㆍ압력챔버)의 수압시험(접속상태에서 실시한다. 이하 같다)결과 o옥외연결송수구 연결배관의 수압시험결과 o입상배관 및 가지배관의 수압시험결과 ※ 수압시험은 1.4MPa의 압력으로 2시간 이상 시험하고자 하는 배관의 가장 낮은 부분에서 가압하되, 배관과 배관ㆍ배관부속류ㆍ밸브류ㆍ각종장치 및 기구의 접속부분에서 누수현상이 없어야 한다. 이 경우 상용수압이 1.05MPa이상인 부분에 있어서의 압력은 그 상용수압에 0.35MPa을 더한 값)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7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A) | 12 | ※펌프 성능시험결과표(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주펌프 | 예비펌프 | 적 정 여 부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체절운전 | | | | | 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 정격운전 (100%) | | | | | 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 | | | 정격토출량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이상일 것( ) | ○설정압력: MPa ○주펌프 기동: MPa ○예비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정지: MPa ※ 유량계: [ ]전자식, [ ] 초음파식, [ ]기타( ) ※ 릴리프밸브 작동 압력 : MPa |
| 비고 | o간이헤드 설치제외 장소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6.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6쪽 중 1쪽) | 항 목 | 방식 | [ ] 습식 [ ] 건식 [ ] 준비작동식 [ ] 그 밖의 것 | 설치 장소 | ◦ 층고 : m / ◦ 천장 기울기 : 1,000 분의 ( ) ◦ 선반의 형태 : [ ]하부로 물 침투 | 주된 수원 | 종 류 | [ ]일반수조 [ ]고가수조 [ ]압력수조 [ ]가압수조 [ ]그 밖의 것 : | 설치장소 | [ ]지하 [ ]지상 [ ]옥상 [ ]그 밖의 것 : | 설치위치 | [ ]부압흡입방식의 저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낮은 위치) [ ]정압흡입방식의 저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높은 위치) | 설치방식 | [ ]전용 [ ]겸용 | 수조재질 | [ ]콘크리트 [ ]기타( ) | 수원수량 | ◦ 최대저장수량 ㎥ ◦ 유효수량 ㎥ | 보조 수원(옥상) | 설치여부 | [ ]설치 [ ]제외(제외사유 : ) | 수원수량 | ◦ 최대저장수량 ㎥ ◦ 유효수량 ㎥ | 가압 송수 장치 | 설치위치 | 층 실 | 감압장치 | [ ]유 [ ]무 | 펌프방식 | 종 류 | [ ]전용 [ ]겸용 | [ ]전동기 [ ]내연기관 | [ ]충압펌프 설치 [ ]충압펌프 미설치 | 성 능 | ◦ 전양정 : m ◦ 토출량 : ℓ/min | ◦ 출력 : kw ◦ 토출구경 : ㎜ | 물올림장치 | ◦ 유효수량 : ℓ ◦ 급수배관 구경 : ㎜ | 기타 장치 | ◦ 축전지설비 : [ ]유 [ ]무 ◦ 연료량 : ℓ | 기동장치 | 습식ㆍ건식 | [ ] 기동용수압개폐장치 [ ] 유수검지장치 [ ] 혼용 | 준비작동식ㆍ 일제개방밸브 | [ ] 기동용수압개폐장치 [ ] 화재감지기 [ ] 혼용 | 고가수조방식 | ◦ 유효낙차 : m | 압력수조방식 | ◦ 탱크가압압력 : MPa ◦ 용량 : ℓ ◦ 에어콤푸레샤 용량 : ㎥/min ◦ 동력 : kw | 가압수조방식 | ◦ 수조용량 : ◦ 수조가압압력 : MPa ◦ 압력방식 : ◦ 가압원 : | 방호 구역 | ◦ 방호구역수 : 구역 | ◦ 최대방호구역 : ㎡ ㅇ 헤드개수 : 개 | ◦ 최소방호구역 : ㎡ ㅇ 헤드개수 : 개 | 유수 검지 장치 | 습식 | [ ] 직경 mm ◦ 설치개수 : 개 | 건식 | [ ] 직경 mm ◦ 설치개수 : 개 | 준비작동식 | [ ] 직경 mm ◦ 설치개수 : 개 | 배 관 | 배 관 | 종 류 | [ ]전용 [ ]겸용 | 구 경 | ◦ 주배관(수직배관) : mm ◦ 가지배관 : mm | 재 질 | [ ] KS D 3507 | [ ] KS D 5301 | [ ] KS D 3562 | [ ] 소방용합성수지배관 | [ ] 기타 | | 이 음 | [ ]용접/나사 [ ]그루브 [ ]플랜지 [ ]그 밖의 것 : | 밸 브 | 개폐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체크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그 밖의 것 | | 송수구 | ◦ 설치개수 : 개 ◦ 설치높이 : m ◦ 형태 : [ ]단구형 [ ]쌍구형 | 제어반 | 설치형태 |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구분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미구분 | 설치장소 | [ ]전용실 내부 [ ] 그 밖의 장소 : | 설치위치 | [ ]피난층 또는 지하 1층 [ ] 지상 2층 [ ] 지하 1층 외의 지하층(지하 층) | 배선 | 비상전원회로 | [ ]내화전선 [ ]전선관 등 수납 후 매설 [ ]그 밖의 것 : | 그밖의 회로 | [ ]내열전선 [ ]전선관 등 수납 [ ]케이블 공사방법 [ ]그 밖의 것 :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6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B)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설치장소의 구조 (제4조) o설비 설치장소의 구조(층고, 내화구조, 방화구획, 천장 기울기, 천장 자재 돌출부 길이, 보 간격, 선반 물 침투구조) 적정 여부 | | 2 | 수원 (제5조) o주된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o보조수원(옥상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 o보조수원(옥상) 설치제외 사항 적정 여부 | | 3 | 수조 (제5조) o점검 편의성 확보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수위계 설치 또는 수위확인 가능 여부 o수조외측 고정사다리 설치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o실내설치 시 조명설비 설치 및 적정조도 확보 여부 o수조의 밑 부분 청소용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 설치 여부 o“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용 수조” 표지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o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의 이름 표시한 표지 설치 여부 o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용 배관” 표지 설치 여부 o다른 설비와 겸용의 경우 후드밸브, 흡수구, 급수구의 설치 위치 | | 4 | 가압송수장치 (제6조) [ ]펌프방식 o펌프 설치환경 적정 여부(접근ㆍ점검 편의성, 화재ㆍ침수 등 피해 우려)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헤드선단 압력 적정 여부 o방사량 적정 여부 o펌프 정격토출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o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o펌프 흡입측 연성계ㆍ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설치위치 적정 여부 o주펌프 측에 성능시험 배관 및 순환 배관 설치 여부(충압펌프 제외) o기동용수압개폐장치 설치 적정 여부 - 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 압력챔버 용적 적정 여부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o물올림장치 설치 여부 - 전용탱크,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적정 설치 여부 o내연기관 방식 기동장치 또는 원격조작 가능 여부 - 상시 충전 축전지설비 설치 및 내연기관 연료 확보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펌프” 표지 설치 여부 또는 가압송수장치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 표시 부착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자동정지 불가능 여부(충압펌프 제외) [ ]고가수조방식 o자연낙차수두 적정 여부 o부속장치(수위계ㆍ배수관ㆍ급수관ㆍ오버플로우관ㆍ맨홀) 설치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6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B)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4 | [ ]압력수조방식 o압력수조의 압력 적정 여부 o부속장치(수위계ㆍ배수관ㆍ급수관ㆍ급기관ㆍ맨홀ㆍ압력계ㆍ안전장치ㆍ자동식공기압축기) 설치 여부 [ ]가압수조방식 o방수량 및 방수압 적정(20분 이상 유지) 여부 o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5 | 방호구역ㆍ유수검지장치 (제7조) o방호구역의 바닥면적 적정 여부 o유수검지장치 설치 적정(수량, 접근ㆍ점검 편의성, 높이) 여부 o방호구역 선정 적정(1개 층 1개) 여부 o유수검지장치실 설치 적정(실내 또는 구획, 출입문 크기, 표지) 여부 o헤드 공급수 유수검지장치 통과 여부 o자연낙차 방식 일 때 유수검지장치 설치 높이 적정 여부 | | 6 | 배관 (제8조) o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배관의 습식 여부 o배관의 재질의 적정 여부 o소방용합성수지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및 설치 적정 여부 o겸용 급수배관 성능 적정 여부(자동 송수 차단 등) o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 적정(개폐표시형, 흡입측 버터플라이 제외) 여부 o배관 구경 적정(수리계산방식의 경우 유속 제한기준 포함) 여부 o흡입측 배관의 공기고임 방지 구조 및 여과장치 설치 여부 o각 펌프 흡입측 배관 수조로부터 별도 설치 여부(수조가 펌프보다 낮음) o연결송수관설비와 겸용시 배관구경 설치 적정 여부 o펌프 성능시험배관 설치 및 성능 - 설치 위치(배관,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적정 여부 - 유량측정장치 설치 위치 - 유량측정장치 측정 성능 적정 여부 o순환배관 설치 적정(위치, 구경,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보온재 성능(난연재 이상) 적정 여부 o가지배관 배열방식 적정 여부(토너먼트 방식 제외) o가지배관 상호 간 거리의 적정 여부 o가지배관에 설치 헤드 수량의 적정 여부 o신축배관 성능인증 적합 및 설치길이 적정 여부 o교차배관 설치위치 적정 여부 및 최소구경 충족 여부 o청소구 설치 적정(설치위치, 나사식 개폐밸브 및 나사보호용 캡 설치) 여부 o하향식 헤드 가지배관 분기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6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B)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6 | o유수검지장치 시험장치 - 유수검지장치에서 가장 먼 가지배관 끝에 설치 여부 - 시험장치 배관구경 적정 여부 - 개방형헤드 설치 적정 여부 - 시험 중 방사된 물이 바닥에 흘러내리지 않는 구조로 설치 여부 o가지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교차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수평주행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수직배수배관 최소구경 충족 여부 o급수배관 개폐밸브 작동표시스위치 설치 - 탬퍼스위치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에서 동작 유무확인 가능 여부 - 탬퍼스위치 배선 동작시험, 도통시험 가능 여부 - 급수개폐밸브 작동표시스위치 전기배선 적정설치 여부 o배관 수평 설치 여부, 배수밸브 설치 적정 여부 o다른 설비 배관과의 구분방식 적정 여부(보온재 적색&배관구분 설치) o분기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7 |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제9조) o유수검지장치 사용 설비 헤드 개방시 음향장치 작동 여부 o음향장치 설치 담당구역 및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음향장치의 종류, 음색, 성능 적정 여부 o주 음향장치 수신기 내부 또는 직근 설치 여부 o경보방식에 따른 경보 적정 여부 o펌프작동은 유수검지장치 발신,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작동 또는 혼용에 의한 작동 접합 여부 | | 8 | 헤드 (제10조) o헤드별 방호면적 적정 여부 o헤드 별 이격 거리 적정설치 여부 o헤드 별 반사판 적정설치 여부 o헤드와 벽과 거리의 적정 여부 o헤드 작동온도 적정 여부 o헤드 살수장애 여부 o감열부에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헤드의 차폐판 설치 여부 | | 9 | 저장물의 간격 (제11조) o저장물품 배치 간격 적정 여부 | | 10 | 환기구 (제12조) o환기구 설치 상태 적정 여부 | | 11 | 송수구 (제13조) o설치장소 적정 여부(소화작업에 지장 주지 않는 장소) o개폐밸브 설치 장소 적정 여부 o송수구 구경 및 형태(쌍구형) o송수압력범위 표시 표지 설치 여부 o송수구 설치 개수 적정 여부 o지면으로부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자동배수밸브(또는 배수공)ㆍ체크밸브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적정 여부 o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 o소방시설 별 송수구 적정 구분 표시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6쪽 중 5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B)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2 | 전원 (제14조) o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회로 배선 적정 여부 | | 13 | 제어반 (제15조) [공통사항] o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 구분 설치 여부 o제어반 설치장소(화재ㆍ침수 피해 방지) 적정 여부 o제어반 설비전용 설치 여부(제어에 지장없는 경우 제외) o겸용 감시ㆍ동력 제어반 성능 적정 여부(겸용으로 설치된 경우) [감시제어반] o펌프 작동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 작동 여부 o펌프 별 자동ㆍ수동 전환스위치 정상 작동 여부 o펌프 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 작동 여부 o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o수조ㆍ물올림탱크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 작동 여부 o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적합여부 시험 가능 여부 o전용실(중앙제어실 내에 감시제어반 설치시 제외) -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 적정 여부 - 설치 위치(층) 적정 여부 - 비상조명등 및 급ㆍ배기설비 설치 적정 여부 - 무선기기 접속단자 설치 적정 여부 - 바닥면적 적정 확보 여부 o기계ㆍ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 설비외 설치 여부 o유수검지장치 작동 시 표시 및 경보 정상 작동 여부 o일제개방밸브 수동조작스위치 설치 여부 o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 기동용수압개폐장치의 압력스위치 회로 작동 여부 - 수조 및 물올림탱크의 저수위감시 회로 작동 여부 - 유수검지장치 압력스위치 회로 작동 여부 - 개폐밸브 폐쇄상태 확인 회로 작동 여부 o감시제어반과 수신기 간 상호 연동 여부(별도로 설치된 경우) [동력제어반] o“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용 동력제어반” 표지 설치 여부 o외함의 색상(적색), 재료, 두께, 강도 및 내열성 적정 여부 | | 14 | 배선 (제16조) o비상전원회로 사용전선 및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그 밖의 전기회로의 사용전선 및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과전류차단기 및 개폐기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용” 표지 설치 여부 o전기배선 접속단자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단자” 표지 설치 여부 o전기배선 양단 타 설비와 식별 용이성 확보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6쪽 중 6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3B)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5 | 설치금지 장소 (제17조) o설치가 금지된 장소(제4류 위험물 등이 보관된 장소) 설치 여부 | | 16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17 | 수압시험 o가압송수장치 및 부속장치(밸브류ㆍ배관ㆍ배관부속류ㆍ압력챔버)의 수압시험(접속상태에서 실시한다. 이하 같다)결과 o옥외연결송수구 연결배관의 수압시험결과 o입상배관 및 가지배관의 수압시험결과 ※ 수압시험은 1.4MPa의 압력으로 2시간 이상 시험하고자 하는 배관의 가장 낮은 부분에서 가압하되, 배관과 배관ㆍ배관부속류ㆍ밸브류ㆍ각종장치 및 기구의 접속부분에서 누수현상이 없어야 한다. 이 경우 상용수압이 1.05MPa이상인 부분에 있어서의 압력은 그 상용수압에 0.35MPa을 더한 값) | | 18 | ※펌프 성능시험결과표(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주펌프 | 예비펌프 | 적 정 여 부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체절운전 | | | | | 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 정격운전 (100%) | | | | | 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 | | | 정격토출량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이상일 것( ) | ○설정압력: MPa ○주펌프 기동: MPa ○예비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정지: MPa ※ 유량계: [ ]전자식, [ ] 초음파식, [ ]기타( ) ※ 릴리프밸브 작동 압력 : MPa |
| 비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7. 물분무소화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5쪽 중 1쪽) | 항 목 | 수 원 | 종 류 | [ ]일반수조 [ ]고가수조 [ ]압력수조 [ ]가압수조 [ ]그 밖의 것 : | 설치장소 | [ ]지하 [ ]지상 [ ]옥상 [ ]그 밖의 것 : | 설치위치 | [ ]부압흡입방식의 저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낮은 위치) [ ]정압흡입방식의 저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높은 위치) | 설치방식 | [ ]전용 [ ]겸용 | 수조재질 | [ ]콘크리트 [ ]기타( ) | 수원수량 | ◦ 최대저장수량 ㎥ ◦ 유효수량 ㎥ | 가압 송수 장치 | 설치위치 | 층 실 | |
| 펌프방식 | 종 류 | [ ]전용 [ ]겸용 | [ ]전동기 [ ]내연기관 | [ ]충압펌프 설치 [ ]충압펌프 미설치 | 성 능 | ◦ 전양정 : m ◦ 토출량 : ℓ/min | ◦ 출력 : kw ◦ 토출구경 : ㎜ | 물올림장치 | ◦ 유효수량 : ℓ ◦ 급수배관 구경 : ㎜ | 기타 장치 | ◦ 축전지설비 : [ ]유 [ ]무 ◦ 연료량 : ℓ | 기동장치 | 자 동 | [ ] 화재감지기 [ ] 폐쇄형 스프링클러 | 수 동 | [ ] 가압송수장치 + 수동식 개방밸브 [ ] 가압송수장치 + 자동개방밸브 | 고가수조방식 | ◦ 유효낙차 : m | 압력수조방식 | ◦ 탱크가압압력 : MPa ◦ 용량 : ℓ ◦ 에어콤푸레샤 용량 : ㎥/min ◦ 동력 : kw | 가압수조방식 | ◦ 수조용량 : ◦ 수조가압압력 : MPa ◦ 압력방식 : ◦ 가압원 : | 밸브류 | 자동개방밸브 | ◦ 설치높이 : m ◦ 시험장치 : [ ]유 [ ]무 | 수동식 개방밸브 | ◦ 설치높이 : m ◦ 시험장치 : [ ]유 [ ]무 | 헤드 | ◦ 성능인정번호 : 제 호 ◦ 표준방사량: ℓ/min ◦ 표준방사압력 : MPa ◦ 고압의 전기기기 전압 : kV ◦ 고압의 전기기기와 헤드 간 거리 : cm | 배수 조치 | 바닥기울기 | [ ]유 [ ]무 | 구획경계턱 | [ ]유 [ ]무 | 배수구 | ◦ 폭: m ◦ 깊이: m ◦ 길이: m | ◦ 집수관수 : 개 ◦ 소화피트ㆍ유수분리장치 수 : 개 ◦ 배수저유조용량 : ℓ | 배 관 | 배 관 | 종 류 | [ ]전용 [ ]겸용 | 구 경 | ◦ 주배관(수직배관) : mm ◦ 가지배관 : mm | 재 질 | [ ] KS D 3507 | [ ] KS D 5301 | [ ] KS D 3562 | [ ] 소방용합성수지배관 | [ ] 기타 | | 이 음 | [ ]용접/나사 [ ]그루브 [ ]플랜지 [ ]그 밖의 것 : | 밸 브 | 개폐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체크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그 밖의 것 | | 송수구 | ◦ 설치개수 : 개 ◦ 설치높이 : m ◦ 형태 : [ ]단구형 [ ]쌍구형 | 제어반 | 설치형태 |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구분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미구분 | 설치장소 | [ ]전용실 내부 [ ] 그 밖의 장소 : | 설치위치 | [ ]피난층 또는 지하 1층 [ ] 지상 2층 [ ] 지하 1층 외의 지하층(지하 층) | 배 선 | 비상전원회로 | [ ]내화전선 [ ]전선관 등 수납 후 매설 [ ]그 밖의 것 : | 그 밖의 회로 | [ ]내열전선 [ ]전선관 등 수납 [ ]케이블 공사방법 [ ]그 밖의 것 :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5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4)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수원 (제4조) o방호대상물별 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
| 2 | 수조 (제4조) o점검 편의성 확보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수위계 설치 또는 수위확인 가능 여부 o수조외측 고정사다리 설치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o실내설치 시 조명설비 설치 및 적정조도 확보 여부 o수조의 밑 부분 청소용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 설치 여부 o“물분무소화설비용 수조” 표지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o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의 이름 표시한 표지 설치 여부 o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 “물분무소화설비용 배관” 표지 설치 여부 o다른 설비와 겸용의 경우 후드밸브, 흡수구, 급수구의 설치 위치 | | 3 | 가압송수장치 (제5조) [ ]펌프방식 o펌프 설치환경 적정 여부(접근ㆍ점검 편의성 확보, 화재ㆍ침수 등 피해 우려) o정격토출량 적정 여부 o펌프 토출압력 적정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o펌프 흡입측 연성계ㆍ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설치위치 적정 여부 o펌프 성능시험배관 설치 및 성능 적합여부(충압펌프 제외) o순환배관 설치 적정(위치, 구경,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여부 o기동용수압개폐장치 설치 적정 여부 - 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 압력챔버 용적 적정 여부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o물올림장치 설치 여부 - 전용탱크,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적정 설치 여부 o내연기관 방식 기동장치 또는 원격조작 가능 여부 - 상시 충전 축전지설비 설치 및 내연기관 연료확보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물분무소화설비펌프” 표지 설치 여부 또는 가압송수장치를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표시 부착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자동정지 불가능 여부(충압펌프 제외) [ ]고가수조방식 o자연낙차수두 적정 여부 o부속장치(수위계ㆍ배수관ㆍ급수관ㆍ오버플로우관ㆍ맨홀) 설치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5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4)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3 | [ ]압력수조방식 o압력수조의 압력 적정 여부 o부속장치(수위계ㆍ배수관ㆍ급수관ㆍ급기관ㆍ맨홀ㆍ압력계ㆍ안전장치ㆍ자동식공기압축기) 설치 여부 [ ]가압수조방식 o방수량 및 방수압 적정(20분 이상 유지) 여부 o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4 | 배관 및 밸브류 (제6조) o배관의 재질의 적정 여부 o소방용 합성수지배관 설치 장소 적정 여부 o겸용 급수배관 성능 적정 여부(자동 송수 차단 등) o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 적정(개폐표시형, 흡입측 버터플라이 제외) 여부 o흡입측 배관의 공기고임 방지 구조 및 여과장치 설치 여부 o연결송수관설비와 겸용시 배관구경 설치 적정 여부 o펌프 성능시험배관 설치 및 성능 - 설치 위치(배관,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적정 여부 - 유량측정장치 설치 위치 - 유량측정장치 측정 성능 적정 여부 o순환배관 설치 적정(위치, 구경,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급수배관 개폐밸브 작동표시스위치 설치 - 탬퍼스위치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에서 동작 유무확인 가능 여부 - 탬퍼스위치 배선 동작시험, 도통시험 가능 여부 - 급수개폐밸브 작동표시스위치 전기배선 적정 설치 여부 o다른 설비 배관과의 구분방식 적정 여부(보온재 적색&배관구분 설치) o분기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5 | 송수구 (제7조) o설치장소 적정 여부(소화작업에 지장 주지 않는 장소 등) o개폐밸브 설치 장소 적정 여부 o송수구 구경 및 형태(쌍구형) o송수압력범위 표시 표지 설치 여부 o송수구 설치 개수 적정 여부 o지면으로부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자동배수밸브(또는 배수공)ㆍ체크밸브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적정 여부 o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 o소방시설 별 송수구 적정 구분 표시 여부 | | 6 | 기동장치 (제8조) o수동식 기동장치 조작에 따른 가압송수장치 및 개방밸브 정상 작동 여부 o수동식 기동장치 인근 “기동장치” 표지 설치 여부 o자동식 기동장치 조작에 따른 가압송수장치 및 개방밸브 정상 작동 여부 o자동식 기동장치 조작에 따른 경보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5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4)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7 | 제어밸브 등 (제9조) o제어밸드 지면으로부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자동개방밸브 및 수동식 개방밸브 시험장치 설치 여부 o제어밸브 표시한 표지 설치 적정 여부 | | 8 | 물분무헤드 (제10조) o헤드 수량 및 위치 적정 여부 o전기절연 확보 위한 전기기기와 헤드 간 거리 적정 여부 | | 9 | 배수설비(차고ㆍ주차장의 경우) (제11조) o배수설비(배수구, 기름분리장치등)설치 및 기울기 적정 여부 o배수설비 성능 적정 여부 | | 10 | 전원 (제12조) o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회로 배선 적정 여부 | | 11 | 제어반 (제13조) [공통사항] o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 구분 설치 여부 o제어반 설치장소(화재ㆍ침수 피해 방지) 적정 여부 o제어반 설비전용 설치 여부(제어에 지장없는 경우 제외) o겸용 감시ㆍ동력 제어반 성능 적정 여부(겸용으로 설치된 경우) [감시제어반] o펌프 작동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 작동 여부 o펌프 별 자동ㆍ수동 전환스위치 정상 작동 여부 o펌프 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 작동 여부 o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o수조ㆍ물올림탱크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 작동 여부 o각 확인회로 별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정상 작동 여부 o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적합여부 시험 가능 여부 o전용실(중앙제어실 내에 감시제어반 설치 시 제외) -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 적정 여부 - 설치 위치(층) 적정 여부 - 비상조명등 및 급ㆍ배기설비 설치 적정 여부 - 무선기기 접속단자 설치 적정 여부 - 바닥면적 적정 확보 여부 o기계ㆍ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 설비외 설치 여부 | | 12 | [동력제어반] o“물분무소화설비용 동력제어반” 표지 설치 여부 o외함의 색상(적색), 재료, 두께, 강도 및 내열성 적정 여부 | | 13 | 배선 (제14조) o비상전원회로 사용전선 및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그 밖의 전기회로의 사용전선 및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과전류차단기 및 개폐기 “물분무소화설비용” 표지 설치 여부 o전기배선 접속단자 “물분무소화설비단자” 표지 설치 여부 o전기배선 양단 타 설비와 식별 용이성 확보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5쪽 중 5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4)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4 | 물분무헤드의 제외 (제15조) o헤드 설치 제외 적정 여부(설치 제외된 경우) | | 15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16 | ※펌프 성능시험결과표(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주펌프 | 예비펌프 | 적 정 여 부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체절운전 | | | | | 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 정격운전 (100%) | | | | | 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 | | | 정격토출량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이상일 것( ) | ○설정압력: MPa ○주펌프 기동: MPa ○예비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정지: MPa ※ 유량계: [ ]전자식, [ ] 초음파식, [ ]기타( ) ※ 릴리프밸브 작동 압력 : MPa |
| 비고 | o물분무헤드 설치제외 장소 : | 1. 물분무소화설비 단위별로 작성한다. 2.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8. 미분무소화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6쪽 중 1쪽) | 항 목 | 방식 | [ ]전역방출 [ ]국소방출 [ ]호스릴 | 사용압력 | [ ]저압 [ ]중압 [ ]고압 | 수원 | 종 류 | [ ]일반수조 [ ]고가수조 [ ]압력수조 [ ]가압수조 [ ]그 밖의 것 : | 재 질 | [ ]냉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 ]KS D 3698(STS 304) [ ]그 밖의 것 : | 설치장소 | [ ]지하 [ ]지상 [ ]옥상 [ ]그 밖의 것 : | 설치위치 | [ ]부압흡입방식의 저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낮은 위치) [ ]정압흡입방식의 저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높은 위치) | 설치방식 | [ ]전용 [ ]겸용 | 필터류 | [ ]필터 [ ]스트레이너 | 수원수량 | ◦ 최대저장수량 ㎥ ◦ 유효수량 ㎥ | 첨가제 | [ ] 유(종류 : ) [ ] 무 | 가압 송수 장치 | 설치위치 | 층 실 | 감압장치 | [ ]유 [ ]무 | 펌프방식 | 종 류 | [ ]전용 | [ ]전동기 [ ]내연기관 | [ ]충압펌프 설치 [ ]충압펌프 미설치 | 성 능 | ◦ 전양정 : m ◦ 토출량 : ℓ/min | ◦ 출력 : kw ◦ 토출구경 : ㎜ | 물올림장치 | ◦ 유효수량 : ℓ ◦ 급수배관 구경 : ㎜ | 기타 장치 | ◦ 축전지설비 : [ ]유 [ ]무 ◦ 연료량 : ℓ | 기동장치 | [ ]폐쇄형(스프링클러 헤드) [ ]개방형(화재감지기) | 압력수조방식 | ◦ 탱크가압압력 : MPa ◦ 용량 : ℓ ◦ 에어콤푸레샤 용량 : ㎥/min ◦ 동력 : kw ◦ 재질 : | 가압수조방식 | ◦ 수조용량 : ◦ 수조가압압력 : MPa ◦ 압력방식 : ◦ 가압원 : | 헤드 | ◦ 표준방사량 : ℓ/min ◦ 표준방사압력 : MPa ◦ 표시온도 : ℃ | 일제 개방밸브 | ◦ 직경 ㎜ ◦ 설치개수: 개 | ◦ 직경 ㎜ ◦ 설치개수: 개 | 유수 검지장치 | ◦ 직경 ㎜ ◦ 설치개수: 개 | 방호(수)구역 | ◦ 방호(수)구역 수 : 구역 | ◦ 최대방호(수)구역 : ㎡ ◦ 헤드(노즐)개수: 개 | ◦ 최소방호(수)구역 : ㎡ ◦ 헤드(노즐)개수: 개 | 경보 | [ ]자동화재탐지설비 [ ] 전기식 [ ] 기계식 [ ] 그 밖의 것: | 배 관 | 배 관 | 종 류 | [ ]전용 [ ]겸용 | 구 경 | ◦ 주배관(수직배관) : mm ◦ 가지배관 : mm | 재 질 | [ ]STS 304 [ ]KS D 3576 [ ]그 밖의 것 : | 이 음 | [ ]용접/나사 [ ]그루브 [ ]플랜지 [ ]그 밖의 것 : | 밸 브 | 개폐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체크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그 밖의 것 | | 제어반 | 설치형태 |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구분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미구분 | 설치장소 | [ ]전용실 내부 [ ] 그 밖의 장소 : | 설치위치 | [ ]피난층 또는 지하 1층 [ ] 지상 2층 [ ] 지하 1층 외의 지하층(지하 층) | 배선 | 비상전원회로 | [ ]내화전선 [ ]전선관 등 수납 후 매설 [ ]그 밖의 것 : | 그 밖의 회로 | [ ]내열전선 [ ]전선관 등 수납 [ ]케이블 공사방법 [ ]그 밖의 것 :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6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4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설계도서 작성 (제4조) o설계도서 구분 작성 여부(일반설계도서와 특별설계도서) o설계도서 작성시 고려사항 적정 여부 (점화원 형태, 초기 점화 연료의 유형, 화재 위치, 개구부 초기 상태 및 시간에 따른 변화상태, 공조조화설비 형태, 시공유형 및 내장재 유형) o특별 설계도서 위험도 설정 적정 여부 | | 2 | 설계도서 작성 (제5조) o성능시험기관 검증 여부 | | 3 | 수원 (제6조) o저수조 수원 필터(또는 스트레이너) 통과 여부 o주배관 유입측 필터(또는 스트레이너) 설치 여부 o필터(또는 스트레이너) 메쉬 크기 적정 여부 o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 o첨가제의 양 산정 적정 여부(첨가제를 사용한 경우) | | 4 | 수조 (제7조) o수조의 재료 적정 여부 o수조 용접방식 적정 여부(용접찌꺼기 잔류 여부 포함) o전용 수조 사용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수위계 설치 또는 수위확인 가능 여부 o수조외측 고정사다리 설치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o실내설치 시 조명설비 설치 여부 o수조의 밑 부분 청소용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 설치 여부 o“미분무설비용 수조” 표지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o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 “미분무설비용 배관” 표지 설치 여부 | | 5 | 가압송수장치 (제8조) [ ]펌프방식 o펌프 설치환경 적정 여부(접근ㆍ점검 편의성, 화재ㆍ침수 등 피해 우려)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펌프 전용설치 여부 o펌프 토출측 압력계 설치위치 적정 여부 o펌프측에 성능시험 배관 설치 여부 o방사량 적정 여부 o내연기관 방식 기동장치 또는 원격조작 가능 여부 - 상시 충전 축전지설비 설치 및 내연기관 연료확보 여부 o가압송수장치에 “미분무펌프” 또는 “호스릴방식 미분무펌프”표지 설치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자동정지 불가능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6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4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5 | [ ]압력수조방식 o압력수조 재질 적정 여부 o수조 용접방식 적정 여부(용접찌꺼기 잔류 여부 포함) o펌프 설치환경 적정 여부(접근ㆍ점검 편의성 확보, 화재ㆍ침수 등 피해 우려)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전용 압력수조 사용 여부 o부속장치(수위계ㆍ배수관ㆍ급수관ㆍ급기관ㆍ맨홀ㆍ압력계ㆍ안전장치ㆍ자동식공기압축기) 설치 여부 o압력수조 토출측 압력계 설치 및 적정 범위 여부 o작동장치 구조 및 기능 적정 여부 [ ]가압수조방식 o방수량 및 방수압 적정(설계방수시간 유지) 여부 o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성능인증 적합 여부 o전용 가압수조 사용 여부 | | 6 | 폐쇄형 미분무소화설비 방호구역 (제9조) o방호구역 바닥면적 산정 적정 여부 o방호구역 2개 층 적용 여부 | | 7 | 개방형 미분무소화설비 방수구역 (제10조) o방수구역 2개층 적용 여부 o방수구역 당 헤드 설치 개수 적정 여부 o동시 방수 필요한 방수구역의 방수구역 설정 적정 여부(터널, 지하구, 지하가 등) | | 8 | 배관 등 (제11조) o배관 재질 적정 여부 o배관 용접방식 적정 여부(용접찌꺼기 잔류 여부 포함) o급수배관 전용 및 개폐표시형 밸브(버터플라이밸브외의 밸브) 설치 여부 o펌프 성능시험배관 설치 및 성능 - 설치 위치(배관,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적정 여부 - 유량측정장치 설치 위치 - 유량측정장치 측정 성능 적정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교차배관 설치위치 및 청소구 설치 적정(설치위치, 나사식 개폐밸브 및 나사보호용 캡 설치) 여부 o시험장치 설치 적정(설치위치, 배관구경, 개방형 헤드, 물받이 통 및 배수관) 여부 o가지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교차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수평주행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수직배수배관 최소구경 충족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6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4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8 | o주차장의 미분무 소화설비 습식외의 방식으로 설치 여부 o급수배관 개폐밸브 작동표시스위치 설치 - 탬퍼스위치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에서 동작 유무확인 가능 여부 - 탬퍼스위치 배선 동작시험, 도통시험 가능 여부 - 급수개폐밸브 작동표시스위치 전기배선 적정 설치 여부 o배관 기울기 적정 여부(배수밸브 설치 포함) o다른 설비 배관과의 구분방식 적정 여부(보온재 적색&배관구분 설치) [호스릴 방식] o호스 접결구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소화약제 저장용기 개방밸브 수동 개폐 가능 여부 o표시등 및 표지 설치 여부 o호스릴 함 성능인증품 설치 여부 o함 개방 용이성 및 장애물 설치여부 등 사용 편의성 적정 여부 o위치ㆍ기동 표시등 설치 적정(설치위치, 성능인증 적합여부) 여부 o“호스릴” 표시 및 사용요령(외국어 병기) 기재 표지판 설치 여부 o대형공간(기둥 또는 벽이 없는 구조)의 함 위치표지를 표시등 또는 축광도료 등으로 상시 확인 가능토록 설치 여부 o방수구 설치(각 층, 수평거리 25m이내, 높이 1.5m 이내) 적정 여부 o호스의 접결상태, 구경, 방수거리 적정 여부 o호스릴방식 노즐 개폐장치 사용 용이 여부 | | 9 |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제12조) o폐쇄형 헤드 개방 시 음향장치 작동 여부 o개방형 미분무설비 감지기 작동(교차회로의 경우 1개 회로 작동 시) 음향장치 작동 여부 o음향장치 적정 설치 및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음향장치의 종류, 음색, 성능 적정 여부 o주 음향장치 수신기 내부 또는 직근 설치 여부 o경보방식에 따른 경보 적정 여부 o발신기(설치높이, 설치거리, 표시등) 설치 적정 여부 | | 10 | 헤드 (제13조) o헤드 부착면 적정 여부 및 설계도서 일치(수평거리 등) 여부 o조기반응형 헤드 설치 여부 o폐쇄형 헤드 표시온도 적정 여부 o헤드 살수 장애 여부 o헤드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11 | 전원 (제14조) o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회로 배선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6쪽 중 5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4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1 | 제어반 (제15조) [공통사항] o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 구분 설치 여부 o제어반 설치장소(화재ㆍ침수 피해 방지) 적정 여부 o제어반 설비전용 설치 여부(제어에 지장없는 경우 제외) [감시제어반] o펌프 작동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 작동 여부 o펌프 별 자동ㆍ수동 전환스위치 정상작동 여부 o펌프 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작동 여부 o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o수조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o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적합여부 시험 가능 여부 o전용실(중앙제어실 내에 감시제어반 설치 시 제외) -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 적정 여부 - 설치 위치(층) 적정 여부 - 무선기기 접속단자 설치 적정 여부 - 바닥면적 적정 확보 여부 o기계ㆍ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 설비외 설치 여부 o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 수조의 저수위감시 회로 작동 여부 - 개방식 미분무 소화설비의 화재감지기 회로 작동 여부 - 개폐밸브 폐쇄상태 확인 회로 작동 여부 o감시제어반과 수신기 간 상호 연동 여부(별도로 설치된 경우) [동력제어반] o“미분무 소화설비용 동력제어반” 표지 설치 여부 o외함의 색상(적색), 재료, 두께, 강도 및 내열성 적정 여부 | | 12 | [자가발전설비 제어반의 제어장치] o비영리 공인기관의 시험필 한 장치 설치 여부 o소방전원보존형 발전기 제어장치 설치 적정 여부 | | 13 | 배선 (제16조) o비상전원회로 사용전선 및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그 밖의 전기회로의 사용전선 및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과전류차단기 및 개폐기 “미분무소화설비용” 표지 설치 여부 o전기배선 접속단자 “미분무소화설비단자” 표지 설치 여부 o전기배선 양단 타 설비와 식별 용이성 확보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6쪽 중 6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4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4 | 별도 첨부 o비상전원 설치 및 적정설치 여부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15 | ※펌프 성능시험결과표(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주펌프 | 예비펌프 | 적 정 여 부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체절운전 | | | | | 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 정격운전 (100%) | | | | | 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 | | | 정격토출량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이상일 것( ) | ○설정압력: MPa ○주펌프 기동: MPa ○예비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정지: MPa ※ 유량계: [ ]전자식, [ ] 초음파식, [ ]기타( ) ※ 릴리프밸브 작동 압력 : MPa |
| 비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9. 포소화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7쪽 중 1쪽) | 항 목 | 방 식 | 설비 방식 | [ ]포워터스프링클러설비 [ ]포헤드설비 [ ]고정포방출설비 [ ]호스릴포설비 [ ]포소화전설비 [ ]압축공기포소화설비 | 포 혼합 방식 | [ ]라인 푸로포셔너 [ ]펌프 푸로포셔너 [ ]프레져 푸로포셔너 [ ]프레져 사이드 푸로포셔너 [ ]압축공기포 믹싱챔버 | 수 원 | 종 류 | [ ]일반수조 [ ]고가수조 [ ]압력수조 [ ]가압수조 [ ]그 밖의 것 : | 설치장소 | [ ]지하 [ ]지상 [ ]옥상 [ ]그 밖의 것 : | 설치위치 | [ ]부압흡입방식의 저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낮은 위치) [ ]정압흡입방식의 저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높은 위치) | 설치방식 | [ ]전용 [ ]겸용 | 수조재질 | [ ]콘크리트 [ ]기타( ) | 수원수량 | ◦ 최대저장수량 ㎥ ◦ 유효수량 ㎥ | 가압 송수 장치 | 설치위치 | 층 실 | 펌프방식 | 종 류 | [ ]전용 [ ]겸용 | [ ]주 펌 프-[ ]전동기 [ ]예비펌프-[ ]전동기, [ ]내연기관 | [ ]충압펌프 설치 [ ]충압펌프 미설치 | 성 능 | ◦ 전양정 : m ◦ 토출량 : ℓ/min | ◦ 출력 : kw ◦ 토출구경 : ㎜ | 물올림장치 | ◦ 유효수량 : ℓ ◦ 급수배관 구경 : ㎜ | 기타 장치 | ◦ 축전지설비 : [ ]유 [ ]무 ◦ 연료량 : ℓ | 기동장치 | [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 [ ]화재감지기 | 고가수조방식 | ◦ 유효낙차 : m | 압력수조방식 | ◦ 탱크가압압력 : MPa ◦ 용량 : ℓ ◦ 에어콤푸레샤 용량 : ㎥/min ◦ 동력 : kw | 가압수조방식 | ◦ 수조용량 : ◦ 수조가압압력 : MPa ◦ 압력방식 : ◦ 가압원 : | 개방밸브 | [ ]자동식개방밸브( 개) [ ]수동식개방밸브( 개) | 소화약제 | ◦ 종 류 : [ ]단백포 [ ]합성계면활성제 [ ]수성막포 [ ]내알코올포 | ◦ 저장량: ℓ ◦ 설치층: 층 ◦ 포소화약제 사용 농도 : % | 자동 경보장치 | [ ]발신부 [ ]유수검지장치 [ ]자동화재탐지설비 | 배 관 | 배 관 | 종 류 | [ ]전용 [ ]겸용 / [ ]규약배관(별표1) [ ]수리계산 | 구 경 | ◦ 주배관(수직배관) : mm ◦ 가지배관 : mm | 재 질 | [ ] KS D 3507 | [ ] KS D 5301 | [ ] KS D 3562 | [ ] 소방용합성수지배관 | [ ] 기타 | | 이 음 | [ ]용접/나사 [ ]그루브 [ ]플랜지 [ ]그 밖의 것 : | 밸 브 | 개폐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체크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그 밖의 것 | | 송수구 | ◦ 설치개수 : 개 ◦ 설치높이 : m ◦ 형태 : [ ]단구형 [ ]쌍구형 | 제어반 | 설치형태 |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구분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미구분 | 설치장소 | [ ]전용실 내부 [ ] 그 밖의 장소 : | 설치위치 | [ ]피난층 또는 지하 1층 [ ] 지상 2층 [ ] 지하 1층 외의 지하층(지하 층) | 배 선 | 비상전원회로 | [ ]내화전선 [ ]전선관 등 수납 후 매설 [ ]그 밖의 것 : | 그 밖의 회로 | [ ]내열전선 [ ]전선관 등 수납 [ ]케이블 공사방법 [ ]그 밖의 것 : | 설치개수 | 구 역 명 | | | | | | | | | 계 | 바닥면적 | | | | | | | | | | 헤 드 수 | | | | | | | | |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7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5)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종류 및 적응성 (제4조) o특정소방대상물 별 포소화설비 종류 및 적응성 적정 여부 | | 2 | 수원 (제5조) o특정소방대상물 별 수원 유효수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 | 3 | 수조 (제5조) o점검 편의성 확보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수위계 설치 또는 수위확인 가능 여부 o수조외측 고정사다리 설치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o실내설치 시 조명설비 설치 및 적정조도 확보 여부 o수조의 밑 부분 청소용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 설치 여부 o“포소화설비용 수조” 표지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o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 “포소화설비용 배관” 표지 설치 여부 o다른 설비와 겸용의 경우 후드밸브, 흡수구, 급수구의 설치 위치 | | 4 | 가압송수장치 (제6조) [공통] o가압송수장치에 감압장치 설치 여부 o가압송수장치 표준방사량 충족 여부 [ ]펌프방식 o주펌프를 전동기 방식으로 설치여부 o펌프 설치환경 적정 여부(접근ㆍ점검 편의성, 화재ㆍ침수 등 피해 우려)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보온재 성능(난연재 이상) 적정 여부 o저장 포소화약제 변질 우려 여부 o펌프 정격토출량 적정 여부 o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o펌프 토출압력 적정 여부 o펌프 흡입측 연성계ㆍ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설치위치 적정 여부 o주펌프 측에 성능시험 배관 및 순환 배관 설치 여부(충압펌프 제외) o기동용수압개폐장치 설치 적정 여부 - 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 압력챔버 용적 적정 여부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o물올림장치 설치 여부 - 전용탱크,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적정설치 여부 o내연기관 방식 기동장치 또는 원격조작 가능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포소화설비펌프” 표지 설치 여부 또는 가압송수장치를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표시 부착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자동정지 불가능 여부(충압펌프 제외) o압축공기포소화설비 펌프 양정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5)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4 | [ ]고가수조방식 o자연낙차수두 적정 여부 o부속장치(수위계ㆍ배수관ㆍ급수관ㆍ오버플로우관ㆍ맨홀) 설치 여부 [ ]압력수조방식 o압력수조의 압력 적정 여부 o부속장치(수위계ㆍ배수관ㆍ급수관ㆍ급기관ㆍ맨홀ㆍ압력계ㆍ안전장치ㆍ자동식공기압축기) 설치 여부 [ ]가압수조방식 o방수량 및 방수압 적정(20분 이상 유지) 여부 o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5 | 배관 등 (제7조) o배관의 재질, 인증품 사용, 설치방식 등 적정 여부 o소방용합성수지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및 설치 적정 여부 o송액관 기울기 유지 및 배액밸브 설치 적정 여부 o가지배관 배열 방식 적정 여부 o가지배관 설치 헤드수 적정 여부 o송액관 성능 적정 여부 o흡입측 배관의 공기고임 방지 구조 및 여과장치 설치 여부 o연결송수관설비와 겸용시 배관구경 설치 적정 여부 o펌프 성능시험배관 설치 및 성능 - 설치 위치(배관,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적정 여부 - 유량측정장치 설치 위치 - 유량측정장치 측정 성능 적정 여부 o순환배관 설치 적정(위치, 구경,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급수배관 개폐밸브 개폐표시형 설치 여부 o급수배관 개폐밸브 작동표시스위치 설치 - 급수개폐밸브 잠금상태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 표시, 경보 가능 여부 - 탬퍼스위치 감시제어반에서 동작 유무확인 가능 여부 - 탬퍼스위치 배선 동작시험, 도통시험 가능 여부 - 급수개폐밸브 작동표시스위치 전기배선 적정 설치 여부 o다른 설비 배관과의 구분방식 적정 여부(보온재 적색&배관구분 설치) o압축공기포소화설비 배관 설치 적정 여부 o분기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5)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6 | 송수구 (제7조) o설치장소 적정 여부(소방차 쉽게 접근, 잘 보이는 곳 설치 등) o개폐밸브 설치 장소 적정 여부 o송수구 구경 및 형태(쌍구형) o송수압력범위 표시 표지 설치 여부 o송수구 설치 개수 적정 여부 o지면으로부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자동배수밸브(또는 배수공)ㆍ체크밸브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적정 여부 o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 o송수구 설치 제외 적정 여부(압축공기포소화설비 설치한 경우) o소방시설 별 송수구 적정 구분 표시 여부 | | 7 | 저장탱크 등 (제8조) o설치장소 적정 여부(화재 등 재해피해) o기온 변동에 따른 포발생 장애 여부 o포 소화약제 변질 우려 및 점검에 펀리한 장소 여부 o압력계 설치 여부(상시 가압상태 사용) o액면계 또는 계량봉 설치 여부 o그라스게이지 설치 여부(가압식이 아닌 경우) o소화약제 저장량 적정 여부 | | 8 | 혼합장치 (제9조) o포소화약제 혼합장치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9 | 개방밸브 (제10조) o자동 개방밸브 설치 및 작동 적정 여부 o수동식 개방밸브 설치장소 적정 여부 | | 10 | 기동장치 (제11조) [수동식 기동장치] o직접ㆍ원격조작 가압송수장치ㆍ수동식개방밸브ㆍ소화약제혼합장치 기동 여부 o2 이상의 방사구역이 있는 경우 방사구역 선택 가능 여부 o기동장치 조작부의 접근성 확보, 설치 높이, 보호장치 설치 적정 여부 o기동장치 조작부 및 호스접결구 인근 “기동장치의 조작부” 및 “접결구” 표지 설치 여부 o차고 또는 주차장 수동 기동장치 방수구역 마다 1개 이상 설치 여부 o항공기격납고 기동장치 방사구역 마다 2개 이상 설치 적정 여부 [자동식 기동장치] o감지기 또는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개방과 연동하여 가압송수장치ㆍ일제개방밸브ㆍ포소화약제 혼합장치 기동 여부 o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사용 시 - 헤드 표시온도의 적정 여부 - 헤드 경계면적의 적정 여부 - 부착면 높이, 유효감지 적정 여부 - 감지장치 경계구역 하나의 층에 설치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5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5)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0 | o화재감지기 사용 시 - 자동화재탐지설비 화재안전기준의 감지기 설치기준 준수 여부 - 발신기 설치장소 및 설치높이의 적정 여부 - 층마다 설치 여부 - 발신기 설치거리 적정 여부 - 발신기 표시등 적정 여부 o동결우려 장소 자동식기동장치 자동화재탐지설비 연동 여부 [자동경보장치] o방사구역 마다 발신부(또는 층별 유수검지장치) 설치 여부 o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 수신기 설치 여부 o수신기에 헤드개방, 감지기 작동여부 표시장치 설치 여부 o2 이상 수신기 설치 시 수신기간 상호 동시 통화 가능 여부 | | 11 | 포헤드 및 고정포방출구 (제12조) o팽창비율에 따른 포방출구 종류 적정 여부 [ ]포헤드 o헤드 설치장소 및 설치 수량 적정 여부 o포헤드 방사량 적정 여부 o포헤드와 보의 하단 수직거리 적정 여부 o포헤드와 보의 하단 수평거리 적정 여부 o포헤드 상호간 거리 적정 여부 o포헤드와 벽 방호구역 경계선과 거리 적정 여부 o압축공기포소화설비 분사헤드 설치면, 설치개수, 방출량 적정 여부 [ ]호스릴포소화설비 및 포소화전설비 o포수용액의 방사압력, 방사량 및 방사거리 적정 여부 o저발포 포소화약제 사용 적정 여부 o방수구와 호스릴함 또는 호스함 사이의 거리 적정 여부 o호스릴함 또는 호스함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호스릴함 또는 호스함 표지 및 위치표시등 설치 여부 o방수구 설치 위치 적정 여부 및 호스릴, 호스 길이 적정 여부 o포관창 설치 여부 [ ]고발포용 고정포 방출구-전역방출방식 o개구부 자동폐쇄장치 적정 설치 여부 o방호구역의 관포체적에 대한 포수용액 방출량 적정 여부 o고정포방출구 설치 개수 적정 여부 o고정포방출구 설치 위치(높이) 적정 여부 [ ]고발포용 고정포 방출구-국소방출방식 o방호대상물 범위 설정 적정 여부 o방호대상물별 방호면적에 대한 포수용액 방출량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6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5)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2 | 전원 (제13조) o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회로 배선설치 적정 여부 | | 13 | 제어반 (제14조) [공통사항] o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 구분 설치 여부 o제어반 설치장소(화재ㆍ침수 피해 방지) 적정 여부 o제어반 설비전용 설치 여부(제어에 지장없는 경우 제외) o겸용 감시ㆍ동력 제어반 성능 적정 여부(겸용으로 설치된 경우) [감시제어반] o펌프 작동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 작동 여부 o펌프 별 자동ㆍ수동 전환스위치 정상 작동 여부 o펌프 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 작동 여부 o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o수조ㆍ물올림탱크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작동 여부 o각 확인회로 별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정상 작동 여부 o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적합여부 시험 가능 여부 o전용실(중앙제어실 내에 감시제어반 설치 시 제외) -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 적정 여부 - 설치 위치(층) 적정 여부 - 비상조명등 및 급ㆍ배기설비 설치 적정 여부 - 무선기기 접속단자 설치 적정 여부 - 바닥면적 적정 확보 여부 o기계ㆍ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설비 외 설치 여부 [동력제어반] o“포소화설비용 동력제어반” 표지 설치 여부 o외함의 색상(적색), 재료, 두께, 강도 및 내열성 적정 여부 | | 14 | 배선 (제15조) o비상전원회로 및 상용전원회로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그 밖의 전기회로의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과전류차단기 및 개폐기 “포소화설비용” 표지 설치 여부 o전기배선 접속단자 “포소화설비단자” 표지 설치 여부 o전기배선 양단 타 설비와 식별 용이성 확보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7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5)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5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16 | ※ 펌프 성능시험결과표(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주펌프 | 예비펌프 | 적 정 여 부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체절운전 | | | | | 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 정격운전 (100%) | | | | | 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 | | | 정격토출량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이상일 것( ) | ○설정압력: MPa ○주펌프 기동: MPa ○예비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정지: MPa ※ 유량계: [ ]전자식, [ ] 초음파식, [ ]기타( ) ※ 릴리프밸브 작동 압력 : MPa |
| 비고 | (포소화설비 단위별로 작성한다.) o송수구 설치 제외 장소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10.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6쪽 중 1쪽) | 항 목 | 저 장 방 식 | [ ]고압식 [ ]저압식 | 설 비 방 식 | [ ]전역방출방식 [ ]국소방출방식 [ ]호스릴방식 | 기동장치 | 전 기 식 | ◦ 최다 개방 용기수 : ◦ 전자개방 밸브수 : | 가스압력식 | ◦ 기동용 가스용기수 : ◦ 최다 개방 용기수 : | 기 계 식 | ◦ 저장용기 개방용 장치 : | 저 장 용 기 | ◦ 용량/체적 : ㎏ ℓ ◦ 수량 : 개 ◦ 설치장소 : 층 | 제어반등 | 설치형태 | [ ]제어반 + 화재표시반 [ ]제어반 + 수신기(화재표시반 기능) | 설치장소 | [ ]방재실 [ ]용기저장실 인접실 [ ]그 밖의 장소 : | 기 타 | ◦ 수동잠금밸브 : [ ]유 [ ]무 ◦ 배출설비 : [ ]유 [ ]무 | 방호 구역수 | 구역 | 음 향 경 보 | [ ]방송 [ ]사이렌 [ ]경종 [ ]그 밖의 것 : | 표 지 | [ ]수동기동장치 [ ]선택밸브의 방호구역 [ ]방호구역 | 자동폐쇄장치 | [ ]가스압식 [ ]전기식 | 조 작 시 험 | [자동] ◦ 화재감지 [ ] 음향경보장치기동 [ ] 화재표시경보 [ ] 환기장치정지 [ ] 출입문등 개구부 자동폐쇄장치 기동(전기식의 경우) [ ] 화재경보후 소화약제방출장치 작동지연시간 : 초 | [수동] ◦ 화재 확인 ◦ 수동기동장치 조작 [ ] 음향경보장치기동 [ ] 화재표시경보 [ ] 환기장치 정지 [] 출입문등 개구부 자동폐쇄장치 기동 (전기식의 경우) [ ] 화재경보후 소화약제방출장치 작동지연시간 : 초 [ ] 개구부 등에 대한 자동폐쇄장치 기동 (가스압력식의 경우) [ ] 소화약제방출표시등 점등 | 기 기 등 의 규 격 | 용 기 | [ ]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용기검사 결과 | 배관재질 | [ ] KSD 3562 이음없는 탄소강관 ◦ SCH: | [ ] KSD 5301 이음없는 동ㆍ동합금강관 ◦ 내압력 : MPa | ◦ 배관부속 내압력 : 1차측 MPa 2차측 MPa | ◦ 밸브류 내압력 : MPa | 호 스 릴 | ◦ 개 ◦ 설치위치: ◦ 내압력 : MPa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6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6)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소화약제 저장용기등 (제4조) o설치장소 적정(방호구역 외 또는 내부 피난구 부근, 온도 40도 이하 및 온도변화 적은 곳, 직사광선 및 빗물 침투) 여부 o표지 설치 여부 및 저장용기실 방화문 구획 여부 o저장용기 설치장소 표지 설치 여부 o저장용기 간격 이격(3cm이상) 여부 o저장용기와 집합관 연결배관 상 체크밸브 설치 여부 o저장용기 충전비 적정 여부 o저장용기 내압시험압력 합격 여부 o저장용기 개방밸브 자동ㆍ수동 개방 및 안전장치 부착 여부 o저장용기와 선택밸브 또는 개폐밸브 사이 안전장치 설치 여부 [저압식] o안전밸브 및 봉판 설치 적정(작동 압력) 여부 o액면계ㆍ압력계 설치 여부 및 압력강하경보장치 작동 압력 적정 여부 o자동냉동장치의 설치 여부 | | 2 | 소화약제 (제5조) o방호구역 체적별ㆍ방호대상종류별 소화약제 저장량 적정 여부 (전역방출방식의 경우) o방호공간별ㆍ방호대상종류별 소화약제 저장량 적정 여부 (국소방출방식의 경우) o노즐별 소화약제 저장량 적정 여부(호스릴방식의 경우) o소화약제 최대 저장량 적정 여부 | | 3 | 기동장치 (제6조) o방호구역별 출입구 부근 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작동 여부 [수동식 기동장치] o약제방출 지연 비상스위치 설치 여부 o방호구역별(전역방출) 또는 방호대상별(국소방출) 기동장치 설치 여부 o해당 방호구역 출입구부분 등 조작자 쉽게 피난할 수 있는 장소 설치 여부 o기동장치 조작부 바닥으로부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이산화탄소소화설비 기동장치” 표지 설치 여부 o전기사용 기동장치 전원표시등 설치 여부 o기동장치 방출용스위치 음향경보장치와 연동 여부 [자동식 기동장치] o감지기 작동과의 연동 여부 o수동식으로 전환하여 기동가능 여부 o저장용기 수량에 따른 전자개방밸브 적정 설치 및 작동 여부 o기동용 가스용기의 내압 성능(밸브), 용적, 충전압력 적정 여부 (가스압력식 기동장치) o기동용 가스용기의 안전장치, 압력게이지 설치 여부(가스압력식 기동장치) o저장용기 개방구조 적정 여부(기계식 기동장치) | | 210mm×297mm [백상지(80g/㎡)] |
(6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6)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4 | 제어반등 (제7조) [제어반] o수동기동장치 또는 감지기 신호 수신시 음향경보장치 작동, 소화약제 방출ㆍ지연 및 기타 제어 기능 적정 여부 o전원표시등 설치 여부 o제어반 설치 장소 적정(화재ㆍ진동ㆍ충격 영향 및 부식 우려, 점검 편의성) 여부 o회로도 및 취급설명서 비치 여부 o수동잠금밸브 개폐여부 확인 표시등 설치 여부 [화재표시반] o방호구역별 표시등(음향경보장치 조작, 감지기 작동 표시) 및 경보기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수동식 기동장치 작동표시 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자동식기동장치 자동ㆍ수동 절환 및 절환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화재표시반 설치 장소 적정(화재ㆍ진동ㆍ충격 영향 및 부식 우려, 점검 편의성) 여부 o회로도 및 취급설명서 비치 여부 o수동잠금밸브 개폐여부 확인 표시등 설치 여부 | | 5 | 배관 등 (제8조) o전용배관 사용 여부 o배관 종류, 스케줄 번호 및 방식처리 적정 여부(강관의 경우) o배관 종류 및 내압력 적정 여부(동관의 경우) o배관 부속 내압성능 적정 여부 o설치방식ㆍ방사시간에 따른 배관 구경 적정 여부 o수동잠금밸브 설치 위치 적정 여부 | | 6 | 선택밸브 (제9조) o방호구역, 방호대상물 마다 선택밸브 설치 여부 o선택밸브 담당하는 방호구역, 방호대상물 표시여부 | | 7 | 분사헤드 (제10조), 분사헤드 설치제외 (제11조) [ ]전역방출방식 o헤드 설치위치 적정(신속 균일한 확산가능) 여부 o헤드 방사압력 적정 여부 o헤드 방사시간 적정 여부 o헤드 오리피스 구경 등 적정 여부 [ ]국소방출방식 o헤드의 설치장소 적정(가연물 비산) 여부 o헤드 방사시간 적정 여부 o헤드 방사압력 적정 여부 o헤드 오리피스 구경 등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6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6)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7 | [ ]호스릴방식 o호스릴소화설비 설치장소(차고 또는 주차용도 제외) 적정 여부 o방호대상물 각 부분으로부터 호스접결구까지 수평거리 적정 여부 o노즐별 방사량 적정 여부(kg/min) o호스릴 설치장소별 소화약제저장용기 설치 여부 o소화약제저장용기 개방밸브 수동 개폐 가능 여부 o표시등 및 “호스릴이산화탄소소화설비” 표지 설치 여부 o헤드 오리피스 구경 등 적정 여부 [분사헤드 설치제외] o설치 제외 지역에 분사헤드 설치 여부 | | 8 | 자동식 기동장치의 화재감지기 (제12조) o방호구역별 화재감지기 감지에 의한 기동장치 작동 여부 o교차회로 설치 여부 oNFSC 203 제7조제1항 단서 감지기 설치 여부(교차회로 설치 제외) o화재감지기별 유효 바닥면적 적정 여부 | | 9 | 음향경보장치 (제13조) o기동장치 조작 시(수동식-방출용스위치, 자동식-화재감지기) 경보 여부 o약제 방사 개시 후 1분 이상 경보 여부 o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 구획 안에서 유효한 경보 가능 여부 [방송에 따른 경보장치] o증폭기 설치장소 적정(화재시 연소 우려, 유지관리 용이성) 여부 o방호구역ㆍ방호대상물에서 확성기 간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제어반 복구스위치 조작 시 경보 지속 여부 | | 10 | 자동폐쇄장치 (제14조) o환기장치 자동정지 기능 적정 여부 o개구부 및 통기구 자동폐쇄장치 설치 장소 및 기능 적정 여부 o자동폐쇄장치 복구장치 위치 및 표지 적정 여부 | | 11 | 배출설비 (제16조), 과압배출구 (제17조) o배출설비 설치 적정 여부(지하층, 무창층, 밀폐거실 등) o과압배출구 설치 적정 여부 | | 12 | 설계프로그램 (제18조) o설계프로그램 성능인증 여부 o설계도면(완공), 설계프로그램 제품검사 결과서, 시공설비 각각 일치여부 o제품검사 결과서 첨부(소방산업기술원 발급) | | 13 | 안전시설 등 (제19조) o소화약제 방출알림 시각경보장치 설치 여부 o소화약제 방출 위험경고표지 부착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6쪽 중 5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6)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4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15 | 공기호흡기 설치(NFSC302 제4조제1호 [별표1]) o공기호흡기 설치 장소 및 수량 적정 여부 o공기호흡기 사용가능 여부(공기용기, 면체, 등지게 등) | | 비고 | o헤드 설치 제외 장소 : ※ 제품검사서 첨부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다. 방호구역상세서 (6쪽 중 6쪽) | 층별 | | | | | | | 방호구역명칭 | | | | | | | 높이(m) | | | | | | | 면적(㎡) | | | | | | | 체적(㎥) | | | | | | | 방호구역 구 조 | 압력 배 출구크기 | 벽 | | | | | | | 천장 | | | | | | | 개 구 부 | 창 | | | | | | | 그밖의 것 | | | | | | | 문 | | | | | | | 환기장치 | 방 식 | 강제급배기 | | | | | | | 강제배기 | | | | | | | 자연 | | | | | | | 폐 쇄 방 식 등 | 자동정지 | | | | | | | 자동폐쇄 | | | | | | | 프로그램 방출 시간 (초) | | | | | | | 설비소화 약 제 량 | 산출계수 | | | | | | | 수정계수 | | | | | | | 기본소화약제량 | | | | | | | 개구부증가량 | 개구부면적(㎡) | | | | | | | 개구계수 | | | | | | | 소화약제량 | | | | | | | 합계소화약제량 | | | | | | | 방 출 소 화 약 제 량 | | | | | | | 방 출 용 기 수 | | | | | | | 용기크기(㎏/ℓ) | | | | | | | 배관 등 | 주 배 관 직 경 | | | | | | | 헤 드 설 치 높 이 | | | | | | | 헤 드 형 식 | | | | | | | 헤 드 개 수 | | | | | | | 오리피스구경(면적) | | | | | | | 210mm×297mm [백상지(80g/㎡)] |
11. 할론소화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 개요 (5쪽 중 1쪽) | 항 목 | 저 장 방 식 | [ ]가압식 [ ]축압식 | 설 비 방 식 | [ ]전역방출방식 [ ]국소방출방식 [ ]호스릴방식 | 기동장치 | 전 기 식 | ◦ 최다 개방 용기수 : ◦ 전자개방 밸브수 : | 가스압력식 | ◦ 기동용 가스용기수 : ◦ 최다 개방 용기수 : | 기 계 식 | ◦ 저장용기 개방용 장치 : | 저 장 용 기 | ◦ 용량/체적 : ㎏ ℓ ◦ 수량 : 개 ◦ 설치장소 : 층 | 제어반등 | 설치형태 | [ ]제어반 + 화재표시반 [ ]제어반 + 수신기(화재표시반 기능) | 설치장소 | [ ]방재실 [ ]용기저장실 인접실 [ ]그 밖의 장소 : | 기 타 | ◦ 수동잠금밸브 : [ ]유 [ ]무 ◦ 배출설비 : [ ]유 [ ]무 | 방호 구역수 | 구역 | 음 향 경 보 | [ ]방송 [ ]사이렌 [ ]경종 [ ]그 밖의 것 : | 표 지 | [ ]수동기동장치 [ ]선택밸브의 방호구역 [ ]방호구역 | 자동폐쇄장치 | [ ]가스압식 [ ]전기식 | 조 작 시 험 | [자동] ◦ 화재감지 [ ] 음향경보장치기동 [ ] 화재표시경보 [ ] 환기장치정지 [ ] 출입문등 개구부 자동폐쇄장치 기동(전기식의 경우) [ ] 화재경보후 소화약제방출장치 작동지연시간 : 초 | [수동] ◦ 화재 확인 ◦ 수동기동장치 조작 [ ] 음향경보장치기동 [ ] 화재표시경보 [ ] 환기장치 정지 [ ] 출입문등 개구부 자동폐쇄장치 기동 (전기식의 경우) [ ] 화재경보후 소화약제방출장치 작동지연시간 : 초 [ ] 개구부 등에 대한 자동폐쇄장치 기동 (가스압력식의 경우) [ ] 소화약제방출표시등 점등 | 기 기 등 의 규 격 | 용 기 | [ ]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용기검사 결과 | 배관재질 | [ ] KSD 3562 이음없는 탄소강관 ◦ SCH: | [ ] KSD 5301 이음없는 동ㆍ동합금강관 ◦ 내압력 : MPa | ◦ 배관부속 내압력 : 1차측 MPa 2차측 MPa | ◦ 밸브류 내압력 : MPa | 호 스 릴 | ◦ 개 ◦ 설치위치: ◦ 내압력 : MPa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5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7)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소화약제의 저장용기등 (제4조) o설치장소 적정(방호구역 외, 온도, 직사광선 및 빗물 침투) 여부 o표지 설치 여부 및 저장용기실 방화문 구획 여부 o저장용기 설치장소 표지 설치 여부 o저장용기 간격 이격(3cm이상) 여부 o저장용기와 집합관 연결배관 상 체크밸브 설치 여부 o저장용기 압력 적정 여부(축압방식의 경우) o저장용기 충전비 적정 여부 o동일 집합관 접속 저장용기, 동일 충전비 적용 여부 o가압용 가스용기 내 질소가스 사용 및 압력 적정 여부 o저장용기 개방밸브 자동ㆍ수동 개방 및 안전장치 부착 여부 o가압식 저장용기 압력조정장치 설치 여부 o별도 독립방식 적용 적정 여부 | | 2 | 소화약제 (제5조) o방호구역 체적별ㆍ방호대상종류별 소화약제 저장량 적정 여부 (전역방출방식의 경우) o방호공간별ㆍ방호대상종류별 소화약제 저장량 적정 여부 (국소방출방식의 경우) o노즐별 소화약제 저장량 적정 여부(호스릴방식의 경우) o소화약제 최대 저장량 적정 여부 | | 3 | 기동장치(제6조) o방호구역별 출입구 부근 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작동 여부 [수동식 기동장치] o약제방출 지연 비상스위치 설치 여부 o방호구역별(전역방출) 또는 방호대상별(국소방출) 기동장치 설치 여부 o해당 방호구역 출입구부분 등 조작자 쉽게 피난할 수 있는 장소 설치 여부 o기동장치 조작부 바닥으로부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할론소화설비 기동장치” 표지 설치 여부 o전기사용 기동장치 전원표시등 설치 여부 o기동장치 방출용스위치 음향경보장치와 연동 여부 [자동식 기동장치] o감지기 작동과의 연동 여부 o수동식으로 전환하여 기동가능 여부 o저장용기 수량에 따른 전자개방밸브 적정설치 및 작동 여부 o기동용 가스용기의 내압 성능(밸브), 용적, 충전압력 적정 여부 (가스압력식 기동장치) o기동용 가스용기의 안전장치 설치 여부(가스압력식 기동장치) o저장용기 개방구조 적정 여부(기계식 기동장치) | | 210mm×297mm [백상지(80g/㎡)] |
(5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7)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3 | 제어반 등 (제7조) [제어반] o수동기동장치 또는 감지기 신호 수신시 음향경보장치 작동, 소화약제 방출ㆍ지연 및 기타 제어 기능 적정 여부 o전원표시등 설치 여부 o제어반 설치 장소 적정(화재ㆍ진동ㆍ충격 영향 및 부식 우려, 점검 편의성) 여부 o회로도 및 취급설명서 비치 여부 o수동잠금밸브 개폐여부 확인 표시등 설치 여부 [화재표시반] o방호구역별 표시등(음향경보장치 조작, 감지기 작동 표시) 및 경보기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수동식 기동장치 작동표시 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자동식기동장치 자동ㆍ수동 절환 및 절환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화재표시반 설치 장소 적정(화재ㆍ진동ㆍ충격 영향 및 부식 우려, 점검 편의성) 여부 o회로도 및 취급설명서 비치 여부 o수동잠금밸브 개폐여부 확인 표시등 설치 여부 | | 4 | 배관 (제8조) o전용배관 사용 여부 o배관 종류, 스케줄 번호 및 방식처리 적정 여부(강관의 경우) o배관 종류 및 내압력 적정 여부(동관의 경우) o배관 부속 내압성능 적정 여부 | | 5 | 선택밸브 (제9조) o방호구역, 방호대상물 마다 선택밸브 설치 여부 o선택밸브 담당하는 방호구역, 방호대상물 표시 여부 | | 6 | 분사헤드 (제10조) [ ]전역방출방식 o헤드 설치위치 적정(신속 균일한 확산가능) 여부 o소화약제 무상 분무 여부(할론 2402 약제의 경우) o헤드 방사압력 적정 여부 o헤드 방사시간 적정 여부 o헤드 오리피스 구경 등 적정 여부 [ ]국소방출방식 o헤드의 설치장소 적정(가연물 비산) 여부 o소화약제 무상 분무 여부(할론 2402 약제의 경우) o헤드 방사압력 적정 여부 o헤드 방사시간 적정 여부 o헤드 오리피스 구경 등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5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7)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7 | [ ]호스릴방식 o호스릴소화설비 설치 적정 여부 o방호대상물과 호스접결구 간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소화약제 저장용기 개방밸브 수동 개폐 가능 여부 o호스릴 설치장소별 소화약제 저장용기 설치 여부 o노즐별 방사량 적정 여부 o표시등 및 “호스릴할론소화설비” 표지 설치 여부 o헤드 오리피스 구경 등 적정 여부 | | 8 | 자동식 기동장치의 화재감지기 (제11조) o방호구역별 화재감지기 감지에 의한 기동장치 작동 여부 o교차회로 설치 여부 oNFSC 203 제7조제1항 단서 감지기 설치 여부(교차회로 설치 제외) o화재감지기별 유효 바닥면적 적정 여부 | | 9 | 음향경보장치 (제12조) o기동장치 조작 시(수동식-방출용스위치, 자동식-화재감지기) 경보 여부 o약제 방사 개시 후 1분 이상 경보 여부 o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 구획 안에서 유효한 경보 가능 여부 [방송에 따른 경보장치] o증폭기 설치장소 적정(화재시 연소 우려, 유지관리 용이성) 여부 o방호구역ㆍ방호대상물에서 확성기 간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제어반 복구스위치 조작 시 경보 지속 여부 | | 10 | 자동폐쇄장치 (제13조) o환기장치 자동정지 기능 적정 여부 o개구부 및 통기구 자동폐쇄장치 설치 장소 및 기능 적정 여부 o자동폐쇄장치 복구장치 위치 및 표지 적정 여부 | | 11 | 설계프로그램 (제15조) o설계프로그램 성능인증 여부 o설계도면(완공), 설계프로그램 제품검사 결과서, 시공설비 각각 일치여부 o제품검사 결과서 첨부(소방산업기술원 발급) | | 12 | 별도 첨부 o비상전원 설치 및 적정설치 여부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비고 | o헤드 설치 제외 장소 : ※ 제품검사서 첨부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다. 방호구역상세서 (5쪽 중 5쪽) | 층 별 | | | | | | | 방 호 구 역 명 칭 | | | | | | | 높 이 (m) | | | | | | | 면 적 (㎡) | | | | | | | 체 적 (㎥) | | | | | | | 방호구역 구 조 | 개 구 부 | 창 | | | | | | | 그밖의 것 | | | | | | | 문 | | | | | | | 환기장치 | 방 식 | 강제급배기 | | | | | | | 강제배기 | | | | | | | 자연 | | | | | | | 폐 쇄 방 식 등 | 자동정지 | | | | | | | 자동폐쇄 | | | | | | | 프로그램 방출 시간 (초) | | | | | | | 설비소화 약 제 량 | 산출계수 | | | | | | | 수정계수 | | | | | | | 기본 소화약제량 | | | | | | | 개구부 가산량 | 개구부면적(㎡) | | | | | | | 개구계수 | | | | | | | 소화약제량 | | | | | | | 합계 소화약제량 | | | | | | | 방 출 소 화 약 제 량 | | | | | | | 방 출 용 기 수 | | | | | | | 용 기 크 기 ( ㎏/ ℓ) | | | | | | | 배관관계 | 주 배 관 직 경 | | | | | | | 헤 드 설 치 높 이 | | | | | | | 헤 드 형 식 | | | | | | | 헤 드 개 수 | | | | | | | 오리피스구경(면적) | | | | | | | 210mm×297mm [백상지(80g/㎡)] |
12.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5쪽 중 1쪽) | 항 목 | 설비방식 | [ ]전역방출방식 [ ]국소방출방식 [ ]호스릴방식 | 약제종류 | [ ]FC-3-1-10 [ [ ]HCFC BLEND A [ ]HCFC-124 [ [ ]HFC-125 [ ]HFC-227ea [ ]HFC-23 [ ]IG-541 [ ]IG-100 [ ]그 밖의 것 : | 저장용기 | ◦ 설치위치 : ◦ 용량/체적 : ㎏ ℓ ◦ 수 량 : 개 ◦ 총 약제 저장량 : ㎏ ( ㎥) | 기동장치 | 전 기 식 | ◦ 최다개방 용기 개수 : ◦ 전자개방밸브 개수 : | 가스압력식 | ◦ 기동용기 개수 : ◦ 최다개방 용기 개수 : | 기 계 식 | | 제어반등 | 설치형태 | [ ]제어반 + 화재표시반 [ ]제어반 + 수신기(화재표시반 기능) | 설치장소 | [ ]방재실 [ ]용기저장실 인접실 [ ]그 밖의 장소 : | 기 타 | ◦ 수동잠금밸브 : [ ]유 [ ]무 ◦ 배출설비 : [ ]유 [ ]무 | 방호구역수 | 구역 | 음향경보 | [ ]방송 [ ]사이렌 [ ]경종 [ ]그 밖의 것 : | 표 지 | [ ]수동기동장치 [ ]선택밸브의 방호구역 [ ]방호구역 | 자동폐쇄장치 | [ ]가스압식 [ ]전기식 | 조작시험 | [자동] ◦ 화재감지 [ ] 음향경보장치기동 [ ] 화재표시경보 [ ] 환기장치정지 [ ] 출입문등 개구부 자동폐쇄장치 기동 (전기식의 경우) [ ] 화재경보후 소화약제방출장치 작동지연시간 : 초 | [수동] ◦ 화재 확인 ◦ 수동기동장치 조작 [ ] 음향경보장치기동 [ ] 화재표시경보 [ ] 환기장치 정지 [ ] 출입문등 개구부 자동폐쇄장치 기동 (전기식의 경우) [ ] 화재경보후 소화약제방출장치 작동지연시간 : 초 [ ] 개구부 등에 대한 자동폐쇄장치 기동 (가스압력식의 경우) [ ] 소화약제방출표시등 점등 | 기기등의 규 격 | 용 기 | [ ]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용기검사결과 | 배관재질 | [ ] KSD 3562 이음없는 탄소강관 ◦ SCH: | [ ] KSD 5301 이음없는 동ㆍ동합금강관 ◦ 내압력 : MPa | ◦ 배관부속 내압력 : 1차측 MPa 2차측 MPa | ◦ 밸브류 내압력 : MPa | 호 스 릴 | ◦ 개 ◦ 설치위치: ◦ 내압력 : MPa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5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7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설치제외 (제5조) o설치제외 장소의 적정 여부 | | 2 | 저장용기 (제6조) o설치장소 적정(방호구역 외, 온도, 직사광선 및 빗물 침투) 여부 o표지 설치 여부 및 저장용기실 방화문 구획 여부 o저장용기 설치장소 표지 설치 여부 o저장용기 간격 이격(3cm이상) 여부 o저장용기와 집합관 연결배관 상 체크밸브 설치 여부 o저장용기 충전밀도 적정 여부 o저장용기 충전압력 적정 여부 o저장용기 관련 정보 표시(약제명, 자체중량, 총중량, 충전일시, 충전압력, 약제체적) 여부 o동일 집합관 접속 저장용기, 동일 내용적ㆍ충전량ㆍ충전압력 사용 여부 o저장용기 충전량 및 충전압력 확인 장치 소화약제 적합 여부 o저장용기 손실량 적정 여부 o별도 독립방식 적용 적정 여부(설계기준 값 이상) | | 3 | 소화약제량의 산정 (제7조) o방호구역 체적별ㆍ방호대상종류별 소화약제 저장량 적정 여부 o사람이 상주하는 장소, 최대허용설계농도 초과 여부 o소화약제 최대 저장량 적정 여부 | | 4 | 기동장치 (제8조) o방호구역별 출입구 부근 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작동 여부 [수동식 기동장치] o약제방출 지연 비상스위치 설치 여부 o방호구역별 설치 여부 o해당 방호구역 출입구부분 등 조작자 쉽게 피난할 수 있는 장소 설치 여부 o기동장치 조작부 바닥으로부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 기동장치” 표지 설치 여부 o전기사용 기동장치 전원표시등 설치 여부 o기동장치 방출용스위치 음향경보장치와 연동 여부 o5kg이하 힘으로 기동가능 구조 여부 [자동식 기동장치] o감지기 작동과의 연동 여부 o자동 및 수동기동 가능 여부 | | 5 | 제어반등 (제9조) [제어반] o수동기동장치 또는 감지기 신호 수신 시 음향경보장치 작동, 소화약제 방출ㆍ지연 및 기타 제어 기능 적정 여부 o전원표시등 설치 여부 o제어반 설치 장소 적정(화재ㆍ진동ㆍ충격 영향 및 부식 우려, 점검 편의성) 여부 o회로도 및 취급설명서 비치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5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7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6 | [화재표시반] o방호구역별 표시등(음향경보장치 조작, 감지기 작동 표시) 및 경보기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수동식 기동장치 작동표시 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자동식기동장치 자동ㆍ수동 절환 및 절환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화재표시반 설치 장소 적정(화재ㆍ진동ㆍ충격 영향 및 부식 우려, 점검 편의성) 여부 o회로도 및 취급설명서 비치 여부 | | 7 | 배관 (제10조) o전용배관 사용 여부 o배관, 배관부속 및 밸브류 내압 적정 여부 o배관 종류 및 방식처리 적정 여부(강관의 경우) o배관 종류 적정 여부(동관의 경우) o배관 두께 적정 여부 o배관부속 및 밸브류 강도, 내식성 적정 여부 o배관부속 및 밸브류 접속방식 적정 여부 o배관 구경 적정 여부 | | 8 | 분사헤드 (제11조) o헤드 설치 제외 적정 여부 o헤드 설치높이 적정 여부 o헤드 설치 개수 적정 여부 o헤드 부식방지조치 및 오리피스 크기, 제조일자, 제조업체 표시 여부 o헤드 방출률 및 방출압력 적정 여부 o헤드 오리피스 면적 적정 여부 | | 9 | 선택밸브 (제12조) o방호구역 마다 선택밸브 설치 여부 o선택밸브 담당하는 방호구역 표시여부 | | 10 | 자동식 기동장치의 화재감지기 (제13조) o방호구역별 화재감지기 감지에 의한 기동장치 작동 여부 o교차회로 설치 여부 oNFSC 203 제7조제1항 단서 감지기 설치 여부(교차회로 설치 제외) o화재감지기별 유효 바닥면적 적정 여부 | | 11 | 음향경보장치 (제14조) o기동장치 조작 시(수동식-방출용스위치, 자동식-화재감지기) 경보 여부 o약제 방사 개시 후 1분 이상 경보 여부 o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 구획 안에서 유효한 경보 가능 여부 [방송에 따른 경보장치] o증폭기 설치장소 적정(화재시 연소 우려, 유지관리 용이성) 여부 o방호구역ㆍ방호대상물에서 확성기 간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제어반 복구스위치 조작 시 경보 지속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5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7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2 | 자동폐쇄장치 (제15조) o환기장치 소화약제 방사 전 정지 여부 o개구부 및 통기구 자동폐쇄장치 설치 장소 및 기능 적정 여부 o자동폐쇄장치 복구장치 위치 및 표지 적정 여부 | | 13 | 과압배출구 (제17조) o과압배출구 설치 적정 여부 | | 14 | 설계프로그램 (제18조) o설계프로그램 성능인증 여부 o설계도면(완공), 설계프로그램 제품검사 결과서, 시공설비 각각 일치여부 o제품검사 결과서 첨부(소방산업기술원 발급) | | 15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비고 | o헤드 설치 제외 장소 : ※ 선택변 형식번호는 가장 많이 사용된 구경 1개 기재, 제품검사서 첨부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다. 방호구역상세서 (5쪽 중 5쪽) | 층 별 | | | | | | | 방 호 구 역 명 칭 | | | | | | | 높 이 (m) | | | | | | | 면 적 (㎡) | | | | | | | 체 적 (㎥) | | | | | | | 방호구역 구 조 | 압력 배 출구크기 | 벽 | | | | | | | 천장 | | | | | | | 개 구 부 | 창 | | | | | | | 그밖의 것 | | | | | | | 문 | | | | | | | 환기장치 | 방 식 | 강제급배기 | | | | | | | 강제배기 | | | | | | | 자연 | | | | | | | 폐 쇄 방 식 등 | 자동정지 | | | | | | | 자동폐쇄 | | | | | | | 프로그램 방출 시간(초) | | | | | | | 설비소화 약 제 량 | 소화농도 | | | | | | | 설계농도 | | | | | | | 필요소화약제량 | | | | | | | 방출소화약제량 | | | | | | | 인명 안전 | 사람 상주 여부 | | | | | | | 최대허용설계농도 | | | | | | | 방사후 농도 | | | | | | | 용기 크기 ( ㎏/ ℓ)( ㎥/ ℓ) | | | | | | | 방 출 용 기 수 | | | | | | | 용 기 크 기 ( ㎏/ ℓ) | | | | | | | 배관관계 | 주 배 관 직 경 | | | | | | | 헤 드 설 치 높 이 | | | | | | | 헤 드 형 식 | | | | | | | 헤 드 개 수 | | | | | | | 오리피스구경(면적) | | | | | | | 210mm×297mm [백상지(80g/㎡)] |
13. 분말소화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5쪽 중 1쪽) | 항 목 | 설비방식 | [ ]전역방출방식 [ ]국소방출방식 [ ]호스릴방식 | 약제종류 | [ ]제1종분말 | [ ]제2종분말 | [ ]제3종분말 | [ ]제4종분말 | 저장방식 | [ ]축압식 [ ]가압식 | 저장용기실 | ㅇ 설치위치 : ㅇ 약제량 : ㎏ ㅇ 설치개수 : 형 개/ 형 개 | 기동장치 | 전 기 식 | ◦ 최다개방 용기 개수 : ◦ 전자개방밸브 개수 : | 가스압력식 | ◦ 기동용기 개수 : ◦ 최다개방 용기 개수 : | 기 계 식 | | 제어반 | 설치형태 | [ ]제어반 + 화재표시반 [ ]제어반 + 수신기(화재표시반 기능) | 설치장소 | [ ]방재실 [ ]용기저장실 인접실 [ ]그 밖의 장소 : | 방호구역수 | 구역 | 음 향 경 보 | [ ]방송 [ ]사이렌 [ ]경종 [ ]그 밖의 것 : | 표 시 | [ ]수동기동장치표시 [ ]선택밸브의 방호구역 등 표시 [ ]방호구역표시 | 자동폐쇄장치 | [ ]가스압식 [ ]전기식 | 조작시험 | [자동] | [수동] | ◦ 화재감지 [ ] 음향경보장치기동 [ ] 화재표시경보 [ ] 환기장치정지 [ ] 출입문등 개구부 자동폐쇄장치 기동 (전기식의 경우) [ ] 화재경보후 소화약제방출장치 작동지연시간 : 초 | ◦ 화재 확인 ◦ 수동기동장치 조작 [ ] 음향경보장치기동 [ ] 화재표시경보 [ ] 환기장치 정지 [ ] 출입문등 개구부 자동폐쇄장치 기동 (전기식의 경우) [ ] 화재경보후 소화약제방출장치 작동지연시간 : 초 [ ] 개구부 등에 대한 자동폐쇄장치 기동 (가스압력식의 경우) [ ] 소화약제방출표시등 점등 | 기 기 등 의 규 격 | 용 기 | [ ]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용기검사 결과 | 배관재질 | [ ] KSD 3507 [ ] KSD 3562 ◦ SCH: | [ ] KSD 5301 ◦ 내압력 : MPa | ◦ 배관부속 내압력 : 1차측 MPa 2차측 MPa | ◦ 밸브류 내압력 : MPa | 호 스 릴 | ◦ 개 ◦ 설치위치: ◦ 내압력 : MPa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5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8)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저장용기 (제4조) o설치장소 적정(방호구역 외, 온도, 직사광선 및 빗물 침투) 여부 o저장용기실 방화문 구획 여부 o저장용기 설치장소 표지 설치 여부 o저장용기 간격 이격(3cm이상) 여부 o저장용기와 집합관 연결배관 상 체크밸브 설치 여부 o저장용기 내용적 적정 여부 o저장용기 안전밸브 설치 적정 여부 o저장용기 정압작동장치 설치 적정 여부 o저장용기 충전비 적정 여부 o저장용기 청소장치 설치 여부 o저장용기 지시압력게 설치 여부(축압식) | | 2 | 가압용가스용기 (제5조) o가압용 가스용기 저장용기 접속 여부 o가압용 가스용기 전자개방밸브 부착 적정 여부 o가압용 가스용기 압력조정기 설치 적정 여부 o가압용 또는 축압용 가스 종류 적정 여부 o가압용 또는 축압용 가스량 적정 여부 o배관 청소용 가스 별도 용기 저장 여부 | | 3 | 소화약제 (제6조) o소화약제 종류 적정 여부 o제3종문말 소화약제 사용 여부(차고 또는 주차장) o방호구역 체적별ㆍ방호대상종류별 소화약제 저장량 적정 여부 (전역방출방식의 경우) o방호공간별ㆍ방호대상종류별 소화약제 저장량 적정 여부 (국소방출방식의 경우) o노즐별 소화약제 저장량 적정 여부(호스릴방식의 경우) o소화약제 최대 저장량 적정 여부 | | 4 | 기동장치 (제7조) o방호구역별 출입구 부근 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작동 여부 [수동식 기동장치] o약제방출 지연 비상스위치 설치 여부 o방호구역별(전역방출) 또는 방호대상별(국소방출) 기동장치 설치 여부 o해당 방호구역 출입구부분 등 조작자 쉽게 피난할 수 있는 장소 설치 여부 o기동장치 조작부 바닥으로부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분말소화설비 기동장치” 표지 설치 여부 o전기사용 기동장치 전원표시등 설치 여부 o기동장치 방출용스위치 음향경보장치와 연동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5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8)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4 | [자동식 기동장치] o감지기 작동과의 연동 여부 o수동식으로 전환하여 기동가능 여부 o저장용기 수량에 따른 전자개방밸브 적정설치 및 작동 여부 o기동용 가스용기의 내압 성능(밸브), 용적, 충전압력, 충전비 적정 여부 (가스압력식 기동장치) o기동용 가스용기의 안전장치 설치 여부(가스압력식 기동장치) o저장용기 개방구조 적정 여부(기계식 기동장치) | | 5 | 제어반등 (제8조) [제어반] o수동기동장치 또는 감지기 신호 수신 시 음향경보장치 작동, 소화약제 방출ㆍ지연 및 기타 제어 기능 적정 여부 o전원표시등 설치 여부 o제어반 설치 장소 적정(화재ㆍ진동ㆍ충격 영향 및 부식 우려, 점검 편의성) 여부 o회로도 및 취급설명서 비치 여부 [화재표시반] o방호구역별 표시등(음향경보장치 조작, 감지기 작동 표시) 및 경보기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수동식 기동장치 작동표시 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소화약제 방출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자동식기동장치 자동ㆍ수동 절환 및 절환표시등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화재표시반 설치 장소 적정(화재ㆍ진동ㆍ충격 영향 및 부식 우려, 점검 편의성) 여부 o회로도 및 취급설명서 비치 여부 | | 6 | 배관 (제9조) o배관 청소장치 설치 여부 o전용배관 사용 여부 o배관 종류, 스케줄 번호 및 방식처리 적정 여부(강관의 경우) o배관 종류, 스케줄 번호 및 방식처리 적정 여부(축압식설비 강관의 경우) o배관 종류 및 내압력 적정 여부(동관의 경우) o밸브류 개폐위치 또는 방향 표시형 설치 여부 o배관 부속 및 밸브류 배관과 동등 이상 강도 및 내식성 충족 여부 o분기배관 제품검사 합격 여부 | | 7 | 선택밸브 (제10조) o방호구역, 방호대상물 마다 선택밸브 설치 여부 o선택밸브 담당하는 방호구역, 방호대상물 표시 여부 | | 8 | 분사헤드 (제11조) [ ]전역방출방식 o헤드 설치위치 적정(신속 균일한 확산가능) 여부 o헤드 방사시간 적정 여부 [ ]국소방출방식 o헤드의 설치장소 적정(가연물 비산) 여부 o헤드 방사시간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5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8)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8 | [ ]호스릴방식 o호스릴소화설비 설치 조건 충족 여부 o방호대상물과 호스접결구 간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소화약제저장용기 개방밸브 수동 개폐 가능 여부 o호스릴 설치장소별 소화약제 저장용기 설치 여부 o노즐별 방사량 적정 여부 o표시등 및 “분말소화설비”표지 설치 여부 | | 9 | 자동식 기동장치의 화재감지기 (제12조) o방호구역별 화재감지기 감지에 의한 기동장치 작동 여부 o교차회로 설치 여부 oNFSC 203 제7조제1항 단서 감지기 설치 여부(교차회로 설치 제외) o화재감지기별 유효 바닥면적 적정 여부 | | 10 | 음향경보장치 (제13조) o기동장치 조작 시(수동식-방출용스위치, 자동식-화재감지기) 경보 여부 o약제 방사 개시 후 1분 이상 경보 여부 o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 구획 안에서 유효한 경보 가능 여부 [방송에 따른 경보장치] o증폭기 설치장소 적정(화재시 연소 우려, 유지관리 용이성) 여부 o방호구역ㆍ방호대상물에서 확성기 간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제어반 복구스위치 조작 시 경보 지속 여부 | | 11 | 자동폐쇄장치 (제14조) o환기장치 자동정지 기능 적정 여부 o개구부 및 통기구 자동폐쇄장치 설치 장소 및 기능 적정 여부 o자동폐쇄장치 복구장치 위치 및 표지 적정 여부 | | 12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비고 |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다. 방호구역상세서 (5쪽 중 5쪽) | 층 별 | | | | | | | 방 호 구 역 명 칭 | | | | | | | 층 높 이 (m) | | | | | | | 면 적 (㎡) | | | | | | | 체 적 (㎥) | | | | | | | 방호구역 구 조 | 칸 막 이 | 벽 | | | | | | | 천장 | | | | | | | 개 구 부 | 창 | | | | | | | 그밖의 것 | | | | | | | 문 | | | | | | | 환기장치 | 방 식 | 강제급배기 | | | | | | | 강제배기 | | | | | | | 자연 | | | | | | | 폐 쇄 방 식 등 | 자동정지 | | | | | | | 자동폐쇄 | | | | | | | 방 출 시 간 (초) | | | | | | | 설비소화 약 제 량 | 산출계수 | | | | | | | 수정계수 | | | | | | | 기본소화약제량 | | | | | | | 개구부증가량 | 개구부면적(㎡) | | | | | | | 개구계수 | | | | | | | 소화약제량 | | | | | | | 합계소화약제량 | | | | | | | 방 출 소 화 약 제 량 | | | | | | | 방 출 용 기 수 (㎏/개) | | | | | | | 용 기 크 기 ( ㎏/ ℓ) | | | | | | | 배관관계 | 주 배 관 직 경 | | | | | | | 말 단 부 직 경 | | | | | | | 헤 드 형 식 | | | | | | | 헤 드 개 수 | | | | | | | 오리피스구경(면적) | | | | | | | 210mm×297mm [백상지(80g/㎡)] |
14. 옥외소화전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4쪽 중 1쪽) | 항 목 | 수 원 | 종 류 | [ ]일반수조 [ ]고가수조 [ ]압력수조 [ ]가압수조 [ ]그 밖의 것 : | 설치장소 | [ ]지하 [ ]지상 [ ]옥상 [ ]그 밖의 것 : | 설치위치 | [ ]부압흡입방식의 저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낮은 위치) [ ]정압흡입방식의 저수조(펌프 흡입구보다 높은 위치) | 설치방식 | [ ]전용 [ ]겸용 | 수조재질 | [ ]콘크리트 [ ]기타( ) | 수원수량 | ◦ 최대저장수량 ㎥ ◦ 유효수량 ㎥ | 가압 송수 장치 | 설치위치 | 층 실 | 감압장치 | [ ]유 [ ]무 | 펌프방식 | 종 류 | [ ]전용 [ ]겸용 | [ ]전동기 [ ]내연기관 | [ ]충압펌프 설치 [ ]충압펌프 미설치 | 성 능 | ◦ 전양정 : m ◦ 토출량 : ℓ/min | ◦ 출력 : kw ◦ 토출구경 : ㎜ | 물올림장치 | ◦ 유효수량 : ℓ ◦ 급수배관 구경 : ㎜ | 기타 장치 | ◦ 축전지설비 : [ ]유 [ ]무 ◦ 연료량 : ℓ | 기동장치 | 방식 | [ ]기동스위치(ON/OFF) [ ]압력챔버(용량 : ℓ) [ ]기동용압력S/W ([ ]부르동관식 [ ]전자식) | 기동점 | ◦ 주펌프 : MPa ◦ 충압펌프 : 기동 MPa / 정지 : MPa | 고가수조방식 | ◦ 유효낙차 : m | 압력수조방식 | ◦ 탱크가압압력 : MPa ◦ 용량 : ℓ ◦ 에어콤푸레샤 용량 : ㎥/min ◦ 동력 : kw | 가압수조방식 | ◦ 수조용량 : ◦ 수조가압압력 : MPa ◦ 압력방식 : ◦ 가압원 : | 소화전 | ◦총 설치개수 : 개 | ◦ 소화전함의 설치개수 : 개 | 표시등 | [ ]전용 [ ]겸용(점멸) | 배 관 | 배 관 | 종 류 | [ ]전용 [ ]겸용 | 구 경 | ◦ 주배관(수직배관) : mm ◦ 가지배관 : mm | 재 질 | [ ] KS D 3507 | [ ] KS D 5301 | [ ] KS D 3562 | [ ] 소방용합성수지배관 | [ ] 기타 | | 이 음 | [ ]용접/나사 [ ]그루브 [ ]플랜지 [ ]그 밖의 것 : | 밸 브 | 개폐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체크밸브 | ◦ 규격 : ㎜ / MPa ◦ 종류 : | 그 밖의 것 | | 제어반 | 설치형태 |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구분 [ ]감시제어반ㆍ동력제어반 미구분 | 설치장소 | [ ]전용실 내부 [ ] 그 밖의 장소 : | 설치위치 | [ ]피난층 또는 지하 1층 [ ] 지상 2층 [ ] 지하 1층 외의 지하층(지하 층) | 배선 | 비상전원회로 | [ ]내화전선 [ ]전선관 등 수납 후 매설 [ ]그 밖의 것 : | 그밖의 회로 | [ ]내열전선 [ ]전선관 등 수납 [ ]케이블 공사방법 [ ]그 밖의 것 :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4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9)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수 원 (제4조) o수원의 유효수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 | 2 | 수 조 (제4조) o점검 편의성 확보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수위계 설치 또는 수위확인 가능 여부 o수조외측 고정사다리 설치 여부(바닥보다 낮은 경우 제외) o실내설치 시 조명설비 설치 및 적정조도 확보 여부 o수조의 밑 부분 청소용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 설치 여부 o“옥외소화전설비용 수조” 표지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o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의 이름 표시한 표지 설치 여부 o수조-수직배관 접속부분 “옥외소화전설비용 배관” 표지 설치 여부 o다른 설비와 겸용의 경우 후드밸브, 흡수구, 급수구의 설치 위치 | | 3 | 가압송수장치 (제5조) [ ]펌프방식 o펌프 설치환경 적정 여부(접근ㆍ점검 편의성, 화재ㆍ침수 등 피해 우려)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옥외소화전 방수압력 적정 여부 o감압장치 설치 여부(방수압력 0.7MPa 초과 조건) o옥외소화전 방수량 적정 여부 o펌프 정격토출량 적정 여부(겸용설비 포함) o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o펌프 흡입측 연성계ㆍ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설치위치 적정 여부 o주펌프 측에 성능시험 배관 및 순환 배관 설치 여부(충압펌프 제외) o기동용수압개폐장치 설치 적정 여부 - 압력챔버 용적 적정 여부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 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o기동스위치 설치 적정 여부(ON/OFF 방식) o물올림장치 설치 여부 - 전용탱크,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적정 설치 여부 o내연기관 방식 기동장치 또는 원격조작 가능 여부 - 상시 충전 축전지설비 설치 및 내연기관 연료확보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옥외소화전펌프” 표지 설치 여부 또는 가압송수장치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 표시 부착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자동정지 불가능 여부(충압펌프 제외) [ ]고가수조방식 o자연낙차수두 적정 여부 o부속장치(수위계ㆍ배수관ㆍ급수관ㆍ오버플로우관ㆍ맨홀) 설치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9)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3 | [ ]압력수조방식 o압력수조의 압력 적정 여부 o부속장치(수위계ㆍ배수관ㆍ급수관ㆍ급기관ㆍ맨홀ㆍ압력계ㆍ안전장치ㆍ자동식공기압축기) 설치 여부 [ ]가압수조방식 o방수량 및 방수압 적정(20분 이상 유지) 여부 o가압수조 및 가압원 설치장소의 방화구획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4 | 배관 등 (제6조) o호스접결구 높이 및 각 부분으로부터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 적정 여부 o호스 구경 적정 여부 o배관의 재질 적정 여부 o소방용합성수지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및 설치 적정 여부 o겸용 급수배관 성능 적정 여부(자동 송수 차단 등) o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 적정(개폐표시형, 흡입측 버터플라이 제외) 여부 o흡입측 배관의 공기고임 방지 구조 및 여과장치 설치 여부 o펌프 성능시험배관 설치 및 성능 - 설치 위치(배관, 개폐밸브, 유량조절밸브) 적정 여부 - 유량측정장치 설치 위치 - 유량측정장치 측정 성능 적정 여부 o순환배관 설치 적정(위치, 구경, 릴리프밸브 개방압력) 여부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다른 설비 배관과의 구분방식 적정 여부(보온재 적색&배관구분 설치) o분기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5 | 소화전함 등 (제7조) o소화전함 설치 위치 및 수량 적정 여부 o소화전함 성능인증 적합 여부 o소화전함 개방 용이성 확보 여부 o“옥외소화전” 표지 설치 여부 o옥외소화전함 내 소방호스, 관창, 옥외소화전개방 장치 비치 여부 o호스의 접결상태, 구경, 방수거리 적정 여부 o표시등(위치표시등 및 기동표시등) 설치 적정(설치위치,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6 | 전원 (제8조) o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회로 배선 적정 여부 | | 7 | 제어반 (제9조) [공통사항] o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 구분 설치 여부 o제어반 설치장소(화재ㆍ침수 피해 방지) 적정 여부 o제어반 설비전용 설치 여부(제어에 지장없는 경우 제외) o겸용 감시ㆍ동력 제어반 성능 적정 여부(겸용으로 설치된 경우)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109)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7 | [감시제어반] o펌프 작동여부 확인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 작동 여부 o펌프 별 자동ㆍ수동 전환스위치 정상 작동 여부 o펌프 별 수동기동 및 수동중단 기능 정상 작동 여부 o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공급 확인 가능 여부(비상전원 있는 경우) o수조ㆍ물올림탱크 저수위 표시등 및 음향경보장치 정상 작동 여부 o각 확인회로 별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 정상 작동 여부 o예비전원 확보 유무 및 적합여부 시험 가능 여부 o전용실(중앙제어실 내에 감시제어반 설치 시 제외) - 다른 부분과 방화구획 적정 여부 - 설치 위치(층) 적정 여부 - 비상조명등 및 급ㆍ배기설비 설치 적정 여부 - 무선기기 접속단자 설치 적정 여부 - 바닥면적 적정 확보 여부 o기계ㆍ기구 또는 시설 등 제어 및 감시 설비 외 설치 여부 [동력제어반] o“옥외소화전설비용 동력제어반” 표지 설치 여부 o외함의 색상(적색), 재료, 두께, 강도 및 내열성 적정 여부 | | 8 | 배선 등 (제10조) o비상전원회로 사용전선 및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그 밖의 전기회로의 사용전선 및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과전류차단기 및 개폐기 “옥외소화전설비용” 표지 설치 여부 o전기배선 접속단자 “옥외소화전단자” 표지 설치 여부 o전기배선 양단 타 설비와 식별 용이성 확보 여부 | | 9 | 별도 첨부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10 | ※ 펌프 성능시험결과표(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주펌프 | 예비펌프 | 적 정 여 부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체절운전 | | | | | 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 이하일 것( ) | 정격운전 (100%) | | | | | 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 이상일 것( )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 | | | 정격토출량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이상일 것( ) | ○설정압력: MPa ○주펌프 기동: MPa ○예비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정지: MPa ※릴리프밸브 작동 압력 : MPa |
| 비고 | | 1.옥외소화전설비 단위별로 작성한다. 2.방수압력의 특정은 관창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의 직사형관창을 사용하여 방수시 그 관창 선단에서의 피토게이지압력으로 한다. 3.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15. 비상경보설비ㆍ단독경보형감지기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 항 목 | [ ]비상벨 [ ]자동식 사이렌 | 기기의종류 | [ ]일체형 [ ]복합장치 [ ]단체형 [ ] 그밖의 것 : ㅇ 형식번호 : | 음향장치 | ㅇ 경종(스피커) 직경 : ㎜ 전압 : V 전류 : ㎃ ㅇ 설치개수 : [ ] 옥내형( 개) [ ]옥외형( 개) | 조작장치 | [ ] 유 [ ] 무 ㅇ 회선수 : / 회선 ㅇ 설치장소 : 층 | 신호처리방식 | [ ] 유선식 [ ] 무선식 [ ] 유ㆍ무선식 | 배선 | ㅇ 상용전원회로 | [ ]케이블 | [ ]전선관 노출 | [ ]전선관 매설 | [ ]그 밖의 것 : | ㅇ 비상전원회로 | [ ]내화전선 | [ ]전선관 매설 | [ ]그 밖의 것 : | | ㅇ 경보회로 | [ ]내열전선 | [ ]전선관 노출 | [ ]전선관 매설 | [ ]그 밖의 것 : | ㅇ 약전회로 | [ ]케이블 | [ ]전선관 노출 | [ ]전선관 매설 | [ ]그 밖의 것 : | 단독경보형감지기 | 주 전 원 | [ ]상용전원 [ ]건전지 (타사 건전지 [ ]호환 [ ]미호환) | 감 지 기 | ㅇ설치층(동) ㅇ 설치개수: 개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201)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비상경보설비 및 자동식사이렌설비 (제4조) o설치 환경 적정(부식성 가스 또는 습기로 인한 부식 우려) 여부 o지구음향장치 설치 적정(층마다 설치, 수평거리 등 유효하게 경보) 여부 o겸용설비(비상방송) 성능 적정여부, 음향경보 전압 및 음량의 적합여부 o음향장치 음량 적정 여부 o발신기 설치장소 적정(조작편의성, 스위치 높이, 층마다 설치, 수평거리 및 보행거리) 여부 o위치표시등 설치 적정(함 상부 설치, 식별범위, 적색등 사용) 여부 o상용전원 종류 적정 여부 - 개폐기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 사이렌설비용” 표지 설치 여부 o예비전원 성능 적정(60분 감시, 10분 이상 경보) 여부 o전원회로 및 그 밖의 회로 배선 상태 적정 여부 o전원회로 및 부속회로 절연저항 적정 여부 o다른 전선과 분리 여부(별도의 관ㆍ덕트 등에 설치) | | 2 | 단독경보형감지기 (제5조) o설치 위치(각 실, 바닥면적 기준 추가설치, 최상층 계단실) 적정 여부 o건전지 상태 적정 여부 및 2차 전지 제품검사 합격 여부 o감지기 고정 및 경보기 정상 작동 여부 | | 비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16. 자동화재탐지설비ㆍ시각경보기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 개요 (4쪽 중 1쪽) | 항 목 | 경계구역 | 개 | 감 지 기 | 차 동 식 | 정 온 식 | 복 합 형 | 스포트형 | 분 포 형 | 스포트형 | 감지선형 | 열연복합형 | 열복합형 | 연복합형 | [ ] 종 [ ] 종 | [ ] 종 m [ ] 종 m | [ ] 종 ℃ [ ]방수, [ ]방식, [ ]방폭 [ ] 종 ℃ ]방수, [ ]방식, [ ]방폭 [ ] 종 ℃ [ ]방수, [ ]방식, [ ]방폭 | [ ] 종 m [ ] 종 m | [ ] 차동식스포트 ㆍ이온화식복합 : [ ] 차동식스포트 ㆍ광전식복합 : [ ] 정온식스포트 ㆍ이온화식복합 : [ ] 정온식스포트 ㆍ광전식복합 : | [ ]차동식스포트ㆍ정온식스포트 복합: | [ ]이온화식ㆍ광전식 복합 : | 연 기 감 지 기 | 광 전 식 분 리 형 | 아날로그식감지기 | 불꽃감지기 | 그밖의 것 ( ) | 광 전 식 | 이 온 화 식 | 열감지기 | 연기감지기 | [ ] 종 [ ]축 [ ]비축 [ ] 종 [ ]축 [ ]비축 [ ] 종 [ ]축 [ ]비축 | [ ] 종 [ ]축 [ ]비축 [ ] 종 [ ]축 [ ]비축 [ ] 종 [ ]축 [ ]비축 | [ ] 종 [ ]축 [ ]비축 [ ] 종 [ ]축 [ ]비축 | 작동온도 ℃에서 ℃까지 [ ] 특수 [ ] 종 | 작동온도 ℃에서 ℃까지 [ ] 특수 [ ] 종 [ ] 종 [ ] 종 | [ ]옥내형 [ ]자외선 [ ]적외선 [ ]병용[ ]복합 [ ]옥외형 [ ]자외선 [ ]적외선 [ ]병용[ ]복합 [ ]도로형 [ ]자외선 [ ]적외선 [ ]병용[ ]복합 | [ ] 특종 [ ] 종 [ ] 종 | 중 계 기 | ㅇ 회선 [예비전원([ ] 무 [ ] 유 DC V AH)] | 발 신 기 | P형 급 [ ] 비방수형 [ ] 방수형 | 수 신 기 | ㅇ 형 급 / 회로 [ ] 비축적식 [ ]축적식 [ ] 다신호식 [ ] 아날로그식 [ ] 기록장치 ㅇ 설치장소 : 층 ㅇ 예비전원 : DC V AH | 부수신기 | 형 급 / 회선 ㅇ 설치장소 : 층 실 | 신호처리 | [ ] 유선식 [ ] 무선식 [ ] 유ㆍ무선식 | 음향장치 | 주 음 향 장 치 | 지 구 음 향 장 치 | [ ] 벨 [ ]사이렌 [ ] 그밖의 것 ㅇ 벨(스피커) 직경 : ㎜ / DC V / ㎃ | [ ] 벨 [ ]사이렌 [ ] 그밖의 것 ㅇ 벨(스피커) 직경 : ㎜ / DC V / ㎃ [ ]우선경보방식 [ ]전층경보방식 | 배 선 | ㅇ 상용전원회로 [ ] 노출케이블 [ ] 전선관 노출 [ ] 전선관 매설 [ ] 그밖의 것: ㅇ 비상전원회로 [ ] 내화전선 [ ] 전설관 매설 [ ] 그밖의 것 : ㅇ 조작회로 [ ] 내열전선 [ ] 전선관 노출 [ ] 전선관 매설 [ ] 그밖의 것: ㅇ 약전회로 [ ] 노출케이블 [ ] 전선관 노출 [ ] 전선관 매설 [ ] 그밖의 것: | 관련설비 | [ ]소화설비 ( )연동 [ ]방송설비 연동 [ ]그 밖의 것 :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4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2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경계구역 (제4조) o건축물 별 경계구역 설정 적정 여부 o층별 경계구역 설정 적정 여부 o경계구역 면적 및 한변의 길이의 적정 여부 o지하구 하나의 경계구역 길이의 적정 여부 o계단, 경사로, 엘리베이터승강로, 린넨슈트, 파이프피트 및 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 별도 경계구역 설정 여부 o차고 등 외기와 면하는 부분 경계구역 면적 산입 제외 여부 o스프링클러ㆍ물분무등소화ㆍ제연설비 경계구역 일치 여부 (해당 설비와 감지기를 공유하는 경우) | | 2 | 수신기 (제5조) o개별 경계구역 표시 회선수 확보 여부 o가스누설경보 가능 수신기 설치 여부(가스누설탐지설비가 있는 경우) o축적기능 보유 여부(환기ㆍ면적ㆍ높이 조건 해당할 경우) o상시 사람이 근무 또는 접근 및 관리가 용이한 장소 설치 여부 o경계구역 일람도 비치 여부(부수신식 제외) o다른기기의 소음과 음향장치 음량ㆍ음색 구별 가능 여부 o감지기ㆍ중계기ㆍ발신기 작동 경계구역 표시 여부(종합방재반 연동 포함) o1개 경계구역 1개 표시등 또는 문자 표시 여부 o수신기 조작스위치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수신기 상호 연동, 화재발생 정보 공유 및 개별 수신기 지구음향장치ㆍ시각경보장치 작동 여부(1개 대상물에 2개 이상 수신기를 설치한 경우) o소화설비 감시제어반과 겸용할 경우 설치기준 적합 여부 | | 3 | 중계기 (제6조) o중계기 설치위치 적정 여부(수신기에서 감지기회로 도통시험하지 않는 경우) o설치 장소(조작ㆍ점검 편의성, 화재ㆍ침수 피해 우려) 적정 여부 o전원입력 측 배선 상 과전류차단기 설치 여부 o중계기 전원 정전 시 수신기 표시 여부 o상용시험 및 예비전원 시험 가능 여부 | | 4 | 감지기 (제7조) o부착 높이 별 및 장소 별 감지기 종류 적정 여부 o특정 장소(환기불량, 면적협소, 저층고) 특수감지기 설치 여부 (NFSC 203 제7조 제1항) o연기감지기 설치장소 적정 여부 o감지기(차동식분포형 제외)와 공기유입구 간 거리 적정 여부 o감지기 부착면(천장, 반자 등에 고정) 적정 여부 o보상식감지기 주위 평소 온도보다 20℃이상 높은 곳 감기지 적정설치 여부 o정온식감지기 설치 장소(주방ㆍ보일러실 등)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2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4 | o스포트형 감지기 경사도 적정 여부 o감지기 설치수량 적정 여부 o감지기 별 세부 설치기준 충족 여부 o광전식 분리형ㆍ공기흡입형 감지기 및 불꽃감지기 설치 장소 적합 여부 o감지기 설치제외 장소 적합 여부 o지하구 설치 감지기 종류 및 성능 적정 여부 o비화재보 발생 가능 장소에 설치된 감지기 종류 적정 여부 | | 5 | 음향장치 및 시각경보장치 (제8조) [음향장치] o주음향장치 수신기 내부 또는 직근 설치 여부 o경보방식에 따른 경보 적정 작동 여부 o지구음향장치 설치 적정(층마다 설치, 수평거리, 유효하게 경보) 여부 o음향장치 성능 적정 여부 o감지기 및 발신기 작동과 연동하여 음향장치 작동 여부 o기둥 또는 벽이 없는 대형공간의 경우 지구음향장치 설치 위치(가까운 벽 또는 기둥) 적정 여부 [시각경보장치] o성능인증 적합 여부 o시각경보장치 설치 장소 적정 여부 o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시각경보장치 광원 공급 전원 적정 여부 o감지기 또는 발신기 작동 시 시각경보장치 정상 작동 여부 o2이상 수신기 설치시 어느 수신기에서도 지구음향장치 및 시각경보장치 작동 가능 여부 | | 6 | 발신기 (제9조) o설치장소 적정(조작편의성, 스위치 높이) 여부 o층마다 설치, 수평거리 및 보행거리 적정 여부 o기둥 또는 벽이 없는 대형공간 설치위치 적정 여부 o위치표시등 설치 적정(함 상부 설치, 식별범위, 적색등 사용) 여부 | | 7 | 전원 (제10조) o상용전원 종류 적정 여부 o개폐기 “자동화재탐지설비용” 표지 설치 여부 o예비전원 성능 적정(60분 감시, 10분 이상 경보) 여부 | | 8 | 배선 (제11조) o전원회로 전용배선 사용 여부 o전원회로 배선 상태(전선종류, 공사방법 등) 적정 여부 o감지기회로 배선 상태(전선종류, 공사방법 등) 적정 여부 o종단저항 설치 장소(점검ㆍ관리 편의성) 적정 여부 o종단저항 설치위치(높이, 회로끝 또는 종단감지기)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2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8 | o종단저항 표지 부착 여부(종단감지기에 설치할 경우) o감지기회로 송배선식 적용 여부 o전원회로 및 감지기회로 절연저항 적정 여부 o다른 전선과 분리 여부(별도의 관ㆍ덕트 등에 설치) o1개 공통선 접속 경계구역 수량 적정 여부(P형 또는 GP형의 경우) o감지기회로 전로저항 적정(50Ω이하) 여부 | | 9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비고 | o감지기 설치제외 장소 : | | 1.자동화재탐지설비 단위별로 작성한다. 2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17. 비상방송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 개요 | 항 목 | 방송 설비 | 방 식 | [ ]전용 [ ]겸용 / 회선수 : 회선 | 증 폭 기 | ㅇ형명 : ㅇ 정격출력 : W ㅇ 설치장소 : 층 | 경보방식 | [ ]전층경보 [ ]우선경보 | 스 피 커 | [ ]2선식 [ ]3선식 ㅇ 음량조절기 : [ ]유 [ ]무 ㅇ 설치방식 : [ ]벽걸이 [ ]매입 [ ]그 밖의 것 : ㅇ 스피커형식 : [ ] W [ ] W [ ] W | 배선 | ㅇ 상용전원회로 : [ ]케이블 [ ]전선관 노출 [ ]전선관 매설 [ ]그 밖의 것 : ㅇ 비상전원회로 : [ ]내화전선 [ ]전선관 매설 [ ]그 밖의 것 : ㅇ 경보회로 : [ ]내열전선 [ ]전선관 노출 [ ]전선관 매설 [ ]그 밖의 것 : ㅇ 약전회로 : [ ]케이블 [ ]전선관 노출 [ ]전선관 매설 [ ]그 밖의 것 :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202)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음향장치 (제4조) o확성기 음성출력 적정 여부 o확성기 설치 적정(층마다 설치, 수평거리, 유효하게 경보) 여부 o음량조절기 배선 3선식 구성 여부 o조작부 조작스위치 높이 적정 여부 o조작부 상 설비 작동층 또는 작동구역 표시 여부 o증폭기 및 조작부 설치 장소 적정(사람이 상시 근무,점검 편의성, 방화상 유효) 여부 o경보방식에 따른 작동 적정 여부 o겸용설비 성능 적정(화재 시 비상방송 외의 방송 자동차단) 여부 o다른 전기회로에 의한 유도장애 발생 여부 o2이상 조작부 설치 시 상호 동시통화 및 전 구역 방송 가능 여부 o화재신호 수신 후 방송개시 소요시간(10초 이하) 적정 여부 o음향장치 구조 및 성능 적정 여부 o자동화재탐지설비 작동과 연동 작동 가능 여부 | | 2 | 배선 (제5조) o「전기사업법」제67조에 따른 기술기준 적합 여부 o하나의 층의 확성기 또는 배선이 단락ㆍ단선 시 다른 층으로의 화재통보 가능 여부 o전원회로 배선방식 적정 여부 o그 밖의 회로 배선방식 적정 여부 o전원회로 전로와 대지 간 및 배선 상호간 절연저항 적정 여부 o부속회로 전로와 대지 간 및 배선 상호간 절연저항 적정 여부 o다른 전선과 분리 여부(별도의 관ㆍ덕트 등에 설치) | | 3 | 전원 (제6조) o상용전원 종류 및 배선 적정 여부 o개폐기 “비상방송설비용” 표지 설치 여부 o예비전원 성능 적정(60분 감시, 10분 이상 경보) 여부 | | 비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18. 자동화재속보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 항 목 | 형식 | ◦ 형식번호 : ◦ 설치장소 : ◦ 예비전원 : DC V AH [ ]트리클충전식 [ ]부동충전식 | 속보기 기능 | ◦ 동작시간(초) : ◦ 통보횟수(회) : ◦ 작동시간 및 작동회수 표시기능 [ ]있음, [ ]없음 ◦ 음성속보방식 외 부가기능 [ ]데이터, [ ]코드전송방식 ◦ 문화재에 설치여부 [ ]설치, [ ]해당없음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204)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설치기준 (제4조) o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 여부 o화재신호 자동으로 소방관서 전달 여부 o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화재발생상황 전달 가능 여부 o조작 스위치 설치높이 적정 여부 o속보기 소방관서에 통신망 구성 적정 여부 o주전원 및 예비전원 자동 전환여부 o속보기에 감지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문화재 경우) 여부 o속보중 송수화장치를 이용한 통화 가능 여부 o속보기 성능인증 적합 여부 o수동통화용 송수화장치 설치 여부 o신고 녹음내용 적합여부(상호, 주소, 전화번호, 내용 등) o속보기 회로방식 제한 적합 여부 (접지전극 직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 수신기에 접속되는 외부배선과 다른설비의 외부배선을 공용으로 하는 회로방식 제한) | | 비고 |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19. 통합감시시설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 항 목 | 주수신기 | 형식번호 |
| 설치장소 |
| 경계구역수 |
| 보조수신기 | 설치형태 | [ ]전용(개별 지하구용) [ ]겸용(지하구 전체 통합 운영) | 설치장소 |
| 정보통신망의 종류 | [ ]광케이블 [ ]기타 이와 유사한 성능을 가진 선로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 번호 | 점 검 항 목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주ㆍ보조 수신기 o수신기 설치 장소 적정 여부 o주수신기와 보조수신기 간 정보공유 (화재신호 및 경보, 발화지점 표시 등) 정상 작동 여부 |
| 2 | 정보통신망 등 o정보통신망 적용 방식 적정 여부 o소방상황실 설치 시스템 표준 프로토콜 적용 여부 | | 비 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20. 누전경보기 성능시험조사표 | 가.설치상태개요 | 항 목 | 계약전류 | A | 형식승인 | [ ]1급 [ ]2급 / 제 호 | 수신부 | 설치장소 | 층 실 | 차단기구 | [ ]유 [ ]무 | 차단기구 설치장소 | 층 실 | 정 격 치 | ㅇ 정격전류 : A ㅇ 정격전압 : V | 변류기 형태 | [ ]옥내형 [ ]옥외형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205)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설치방법 등 (제4조) o정격전류에 따른 설치형태 적정 여부 o(60A 초과) 경계전로 분기 시 설치형태 적정 여부 o변류기 설치위치 적정 여부 o변류기 형태 적정(옥외의 전로에 설치한 경우 옥외형) 여부 o인입선의 시설방법 적정 여부 | | 2 | 수신부 (제5조) o설치장소 적정(점검 편의성) 여부 o설치장소의 환경 적정 여부 o전기회로 차단기구 보유 수신기 설치 여부(가연성 증기, 먼지 등 체류 우려 장소의 경우) o수신부 설치 장소 적합 여부 o수신기의 방호조치(방폭, 방식, 방습, 방온, 방진, 정전기 차폐, 기타) 여부 o음향장치 설치장소(상시 사람이 근무) 및 음량ㆍ음색 적정 여부 o누전경보 시험 적정 여부 | | 3 | 전원 (제6조) o전기설비기술기준에 적합하게 설치 여부 o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 구성 여부 o각 극에 개폐기 및 15A이하의 과전류차단기 설치 여부 o다른 차단기에 의한 전원차단 여부(전원을 분기할 경우) o전원 개폐기에 누전경보용 표시한 표지 설치 여부 o(60v 초과 기구의 금속제 외함) 접지단자 설치 여부 | | 비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21. 가스누설경보기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 항 목 | 형식승인 | [ ]단독형 [ ]분리형 (□영업용 □공업용) | 수신부 (분리형) | 설치장소 | 층 실 | 경계구역수 |
| 차단기구 | [ ]유 [ ]무 | 탐지부 (분리형 및 단독형) | 탐지가스 종류 | [ ]LPG | [ ]LNG | [ ]기타( ) | [ ]이소부탄 | [ ]메탄 | | [ ]수소 | [ ]일산화탄소 | | 부착위치 | [ ]천장 부근( cm) [ ]바닥 부근( cm) | 설치수량 | 층별(동별) | 설치수량 | 층별(동별) | 설치수량 | | | |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 번호 | 점 검 항 목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 ]분리형 경보기 수신부 o가스연소기 주위 설치 여부 o설치장소 적정(가스연소기 주위 및 상태확인 및 유지관리 용이성) 여부 o음향장치 음향의 음량ㆍ음색ㆍ음압 적정 여부 o음향장치, 고장표시등 자동작동 및 가스누설표시 소요시간 적정여부 o수신부 조작스위치 높이 적정 여부 o수신부 부근 비상연락번호 기재 표지 비치 여부 탐지부 o가스연소기로부터 탐지부까지의 직선거리 적정 여부 o탐지부 설치 높이 적정 여부 | | 2 | [ ]단독형 경보기 o가스연소기 주위 설치 여부 o설치장소 적정(가스연소기 주위 및 상태확인 및 유지관리 용이성) 여부 o음향장치의 음량ㆍ음색ㆍ음압 적정 여부 o가스연소기로부터 경보기까지의 직선거리 적정 여부 o경보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경보기 부근 비상연락번호 기재 표지 비치 여부 | | 3 | 전원공급 등 o분리형 경보기 탐지부 및 단독형 경보기 설치 불가장소(외부기류, 폐가스 접촉 등) 설치 여부 o경보기 전원공급 적정 여부 | | 비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22. 피난기구 및 인명구조기구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 개요 (3쪽 중 1쪽) | 항 목 | 대상물 개 요 | 층 | 층 | 층 | 층 | 층 | 층 | 층 | 층 | 합계 | 용 도 | | | | | | | | | 무ㆍ유창층 여부 | | | | | | | | | 바닥면적 | | | | | | | | | 기준설치개수 | | | | | | | | | 피난기구 개수 감소 | 대상피난기구 | | | | | | | | | 감소 개수 | | | | | | | | | 감소 사유 | | 피난기구 | 피난사다리 | | | | | | | | | 완강기 | | | | | | | | | 간이완강기 | | | | | | | | | 다수인피난장비 | | | | | | | | | 승강식피난기 | | | | | | | | | 미끄럼대 | | | | | | | | | 피난교 | | | | | | | | | 피난용트랩 | | | | | | | | | 구조대 ([ ]경사식, [ ]수직형) | | | | | | | | | 공기안전매트 | | | | | | | | | 인명구조 기구 | 방화복/방열복 | | | | | | | | | 공기호흡기 | | | | | | | | | 인공소생기 | | | | | | | | | 대상물 용도 | [ ] 5층이상 병원 [ ] 7층이상 관광호텔 [ ]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설치대상 [ ] 지하역사ㆍ백화점ㆍ대형점ㆍ쇼핑센타ㆍ지하상가ㆍ영화상영관 | 피난기구 설치관련 세부사항 | 피난기구 종류 | [ ]완강기, [ ]구조대 | 승강식피난기 | 하향식내림식사다리 | 개구부의 크기 | ◦ 가로 : cm ◦ 세로 : cm ◦ 높이 : cm ↳(바닥 ~ 개구부 하단) | ◦ 가로 : cm ◦ 세로 : cm | ◦ 가로 : cm ◦ 세로 : cm | 조작시필요면적확보 | [ ]유 [ ]무 | 대피실 면적 : m2 | 대피실 면적 : m2 | 고정부재료 | [ ]강재 [ ]와이어로프 [ ]볼트 [ ]그 밖의 것 : | 고정방법 | [ ]용접 [ ]훅걸이 [ ]앵커 [ ]그 밖의 것 : | 다중이용업소 | 설치층 : | 종류 : | [ ]전실 [ ]발코니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3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301)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공통 (제4조 ~ 제6조) o대상물 용도별ㆍ층별 피난기구 종류 적정 여부 o대상물 용도별ㆍ바닥면적별 설치개수 적정 여부 o소화활동상 유효한 개구부 확보(크기, 높이에 따른 발판, 창문 파괴장치) 여부 o개구부 위치 적정(동일직선상이 아닌 위치) 여부 o착지점 장애물 설치 여부 o피난기구 설치위치까지의 통로 확보 여부 o피난기구 부착위치 및 부착방법 적정 여부 o피난기구 위치표시 표지(발광식 똑는 축광식) 설치 적정 여부 o사용방법 표지 부착 적정 여부 o피난기구 설치제외 및 설치감소 적정 여부 | | 2 | [ ]고정식 피난사다리 (제4조) o금속성 고정식사다리 및 노대 설치 적정 여부 (4층 이상의 층에 설치된 피난사다리의 경우) | | 3 | [ ]완강기 및 간이완강기 (제4조) o완강기 및 간이완강기, 지지대 설치 위치, 장소 적정 여부 o로프 손상방지 구조 적정 여부 o로프길이 적정 여부 o지지대 고정(4개이상 앙카볼트 고정) 적정 여부 o숙박시설 - 객실마다 완강기(1개) 또는 간이완강기(2개 이상) 추가설치 여부 - 지지대 고정(4개이상 앙카볼트 고정) 적정 여부 | | 4 | [ ]다수인피난장비 (제4조) o설치장소 적정(피난용이, 안전하게 하강, 충분한 공간) 여부 o구조안전 확인 여부 o보관실 설치 적정(건물외측 돌출, 빗물ㆍ먼지 등으로부터 장비 보호) 여부 o보관실 외측문 개방 및 탑승기 자동 전개 여부 o하강 시 탑승기 건물 외벽 및 돌출물 충돌 여부 o탑승기 하강경로 중첩 여부(상ㆍ하층에 설치할 경우) o보관실 문 오작동 방지조치 및 문 개방 시 경보설비 연동(경보) 여부 | | 5 | [ ]승강식피난기, 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사다리 (제4조) o설치 경로 적정(설치층 ~ 피난층 연계) 여부 o대피실 면적 및 하강구 규격 적정 여부 o하강구 내측 연결금속구 존재 및 피난기구 전개 시 장애발생 여부 o대피실 출입문 갑종방화문 설치 및 표지 부착 여부 o착지점과 하강구 간 수평거리 적정 여부 o대피실 내부 비상조명등 설치 여부 o대피실 표지(층별 위치표시, 피난기구 사용설명서 및 주의사항) 부착 여부 o대피실 출입문 개방 및 피난기구 작동 시 표시등ㆍ경보장치 작동 적정 여부 및 감시제어반 피난기구 작동 확인 가능 여부 o설치 상태 적정(사용 시 기울어짐 또는 흔들림 여부)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301, NFSC 302)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6 | [ ]미끄럼대 (제4조) o안전한 강하속도 유지 적정 구조 여부 o전락방지 안전조치 적정 여부 | | 7 | [ ]구조대 (제4조) o안전한 강하속도 유지 구조(길이) 적정 여부 o하부지지장치 설치 상태 및 조작의 간편성 여부(경사강하식에 한함) | | 8 | [ ]공기안전매트 (제4조) o공기안전매트 설치 여부(공동주택) o공기안전매트 설치 공간 확보 여부 o공기안전매트 보관 장소 적정(화재시 반출 용이성) 여부 | | 9 | [ ]인명구조기구 (제4조) o대상물 용도별ㆍ장소별 설치 인명구조기구 종류 및 설치개수 적정 여부 o설치 장소 적정(화재시 반출 용이성) 여부 o“인명구조기구” 축광식 표지와 그 사용방법을 표시한 표지 부착 여부 o방화복 ‘소방장비 표준규격 및 내용연수에 관한 규정’ 적합 여부 | | 10 | 별도 첨부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비고 | ※ 피난기구 설치제외 층 및 장소 :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23. 유도등 및 유도표지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3쪽 중 1쪽) | 항 목 | 유 도 등 | [ ] 피난구유도등 | [ ] 대형 |
| [ ] 중형 | | [ ] 소형 | | [ ] 거실통로유도등 | [ ] 대형 | | [ ] 중형 | | [ ] 소형 | | [ ] 복도통로유도등 | [ ] 대형 | | [ ] 중형 | | [ ] 소형 | | [ ] 계단통로유도등 | | | [ ] 객석 유도등 | | | [ ] 점등방식 | | [ ] 상시 점등 [ ] 3선식 | [ ] 유도음 발생 장치 부착 | 유도표지 | [ ] 피난구 | | [ ] 통로 | | 피난유도선 | [ ] 축광방식 | | [ ] 광원점등방식 | 설치 층(장소) | ※ 피난유도선은 층별 설치 시, 설치 된 층 표기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3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3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공통 (제4조, 제9조, 제10조) o대상물 용도별ㆍ장소별 유도등 및 유도표지 종류 적정 여부 o대상물 용도별ㆍ장소별 피난구유도등 크기 적정 여부 o상용전원 전용 배선 사용여부 및 종류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종류 및 용량 적정 여부 o인입선과 옥내배선 직접 연결 여부 o점멸기 설치없이 점등상태 유지 여부 o전기설비기술기준에 적합하게 설치 여부 o3선식 배선 적용 대상 및 점등방식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 작동시 점등 여부 - 비상경보설비의 발신기 작동시 점등 여부 - 상용전원이 정전되거나 전원선 단선시 점등 여부 - 방재업무를 통제하는 곳 또는 전기실 배전반에서 수동 점등 여부 - 자동소화설비 작동시 점등 여부 o유도등 및 유도표지 설치 제외 적정 여부 | | 2 | 피난구유도등 (제5조) o설치 장소ㆍ위치ㆍ상태(벽 등에 고정) 적정 여부 o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설치 방식(출입구에 인접 설치) 여부 | | 3 | 통로유도등 설치기준 (제6조) [복도통로유도등] o복도에 설치 여부 o설치 위치 및 설치거리 적정 여부 o바닥으로부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바닥설치 시 파괴되지 않는 강도 유지 여부 o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 여부 o주위에 유사 등화광고물, 게시물 등 설치 여부 [거실통로유도등] o거실의 통로에 설치 여부 o설치 위치 및 설치거리 적정 여부 o바닥으로부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 여부 o주위에 유사 등화광고물, 게시물 등 설치 여부 [계단통로유도등] o각 층의 경사로 참 또는 계단 참마다에 설치 여부 o바닥으로부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 여부 o주위에 유사 등화광고물, 게시물 등 설치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3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4 | 객석유도등 설치기준 (제7조) o객석의 통로, 바닥 또는 벽에 설치 여부 o설치 개수 적정 여부 o유도등 설치 방식 적정 여부(통로가 옥외 또는 이와 유사한 부분제외) | | 5 | 유도표지 설치기준 (제8조) o설치 위치, 보행거리 적정 여부 o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주위에 유사 등화광고물, 게시물 등 설치 여부 o설치 상태 적정 여부 o축광식 유도표지 상시조명 제공 가능 여부 | | 6 | 피난유도선 설치기준 (제8조2) [축광방식] o설치 위치 적정(구획된 각 실 ~ 주출입구 또는 비상구까지) 여부 o설치 높이 적정 여부 o피난유도 표시부 설치간격 적정 여부 o부착대에 견고하게 설치 여부 o유도선 상시조명 제공 가능 여부 [광원점등방식] o설치 위치 적정(구획된 각 실 ~ 주출입구 또는 비상구까지) 여부 o설치 높이 적정 여부 o피난유도 표시부 설치간격 적정 여부 o수신기 화재신호 및 수동조작에 의한 광원점등 여부 o비상전원 상시 충전상태 유지 여부 o바닥에 설치되는 경우 매립방식 설치 여부 o제어부 설치위치 적정 여부 | | 7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비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24. 비상조명등ㆍ휴대용비상조명등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 항 목 | 비상조명등 | 설치 형식 | [ ]일반 조명과 겸용 | [ ] 전용 | 설치 장소 | | | 조명도 [LUX] | | | | | 비상 전원 | [ ]자가발전설비 [ ]축전지설비 [ ]전기저장장치 [ ]내장형 | 휴 대 용 비상조명등 | 전원 공급 | [ ]건전지식 | [ ]충전식 배터리식 | 설치 장소 | |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304)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비상조명등 (제4조) o설치 위치 적정(거실, 지상에 이르는 복도ㆍ계단, 그 밖의 통로) 여부 o설치된 장소 각 부분 바닥 기준의 조도 적정(1lx 이상) 여부 o점검스위치 설치 여부(예비전원 내장형의 경우) o비상조명등 설치제외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설치장소 - 점검 편의성 적정 여부 - 화재ㆍ침수 등 재해방지환경 적정 여부 - 방화구획 적정 여부 - 비상조명등 설치 적정 여부 o비상전원의 종류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유효작동 시간 적정 여부 o상용전원 전원공급 중단 시 비상전원 자동전환 적정 여부 o비상전원설비 외 다른 설비ㆍ물품의 설치 또는 비치 적정 여부 | | 2 | 휴대용비상조명등 (제4조) o설치 대상 및 설치수량 적정 여부 o설치 높이, 부착(고정) 적정 여부 o어둠 속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인지 여부 o자동 점등 여부 o방전방지조치(건전지) 및 상시 충전(충전식 배터리) 여부 o건전지 및 충전식 배터리 용량 적정(20분 이상) 여부 o휴대용비상조명등 설치제외 적정 여부 | | 3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예비전원 비내장형의 경우)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비고 | o비상조명등, 휴대용비상조명등 설치제외 장소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25. 소화용수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2쪽 중 1쪽) | 항 목 | 소화 수조 및 저수조 | 방 식 | [ ]흡수식 [ ]가압식 | 수 원 | 종별 | [ ]일반수조 [ ]고가수조 [ ]압력수조 [ ]가압수조 [ ]그 밖의 것 : | 설치위치 | 층 실 | 수조 | 수조방식 | [ ]전용 [ ]겸용 | 수조재질 | [ ]콘크리트 [ ]기타( ) | 보유량(㎥) | | 유효수량(㎥) | | ㅇ 지면으로부터 저수조 바닥까지의 수직거리(지하수조) : m | 가압 송수 장치 | 설치위치 | 층 실 | 펌프 방식 | [ ]전용 [ ]겸용 | 토출량( ℓ/min) | 전양정(m) | 전압(V) | | | | [ ]전동기 [ ]내연기관 | 전력(㎾) | 내연기관 연료종류 | 연료탱크용량(ℓ) | | | | 물올림장치 | ㅇ유효수량 : ℓ ㅇ급수방식 : ㅇ급수관 : A | 기동스위치 위치 | [ ]채수구 부근 [ ]방재실 [ ]기 타 : | 채수구 | [ ]원형(호칭지름 : ㎜) [ ]각형(호칭 : ㎜) | 흡수관 투입구 | ㅇ 투입구 직경 : 가로 ㎝, 세로 ㎝ ㅇ 표지 : [ ]유 [ ]무 | 상수도소화용수설비 | ㅇ 수도배관 호칭지름 : ㎜ ㅇ 소화전 호칭 지름 : ㎜ ㅇ 설치장소 : | ※ 소화수조의 경우 이미 설치된 것에 대해서는 점검시만 기재할 것.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2쪽 중 2쪽) | 구분 | 점 검 항 목 (NFSC 401, NFSC 402)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소 화 수 조 및 저 수 조 | 수원 | o저수량 적정 여부 o설치제외 적정(0.8m3/min 이상의 유수) 여부 | | 흡수관투입구 | o소방차 접근 용이성 적정(2m 이내까지 접근) 여부 o크기 및 수량 적정 여부 o“흡수관투입구” 표지 설치 여부 | | 채수구 | o소방차 접근 용이성 적정(2m 이내까지 접근) 여부 o결합금속구 구경 적정 여부 o채수구 수량 적정 여부 o채수구 지면으로부터 설치높이 적정 여부 | | 가압 송수 장치 | o가압송수장치 설치조건(지표면으로부터 4.5m 이상 깊이) 및 설치 제외조건 충족 여부 o방수압력 적정(채수구에서 1.5kg/cm2) 여부 o펌프 위치 적정(접근ㆍ점검 편의성, 화재ㆍ침수 등 재해 우려) 여부 o동결방지조치 또는 동결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펌프 전용 설치 여부 o겸용 펌프 설치 시 성능 적정 여부 o펌프 흡입측 연성계ㆍ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설치위치 적정 여부 o성능시험배관 설치 적정 여부 o순환배관 설치 적정 여부 o보호판 부착한 기동스위치 채수구 직근 설치 여부 o물올림장치 설치 적정(전용 여부,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여부 o내연기관 기동은 채수구에서 원격조작 및 기동표시 적색등 설치여부 o내연기관 방식 기동장치 또는 원격조작(적색등 설치) 가능 여부 - 제어반에 내연기관 자동기동 및 수동기동 가능 여부 - 상시 충전 축전지설비 설치 및 내연기관 연료 확보 여부 o“소화용수설비펌프” 표지 설치 여부 또는 가압송수장치를 다른 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표시 부착 여부 | | 상수도 소화용수설비 | o인입 수도배관의 호칭지름(75mm 이상) 적정 여부 o호칭지름 100㎜이상 소화전 접속 여부 o소화전 위치 적정(소방자동차 진입 용이성) 여부 o대상물과 소화전 간 거리(140m 이하) 적정 여부 | | 비고 | ※ 상수도소화용수설비 방수압력(Mpa) 및 방수량(ℓ/min)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26. 거실제연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3쪽 중 1쪽) | 항 목 | 제연구획의 구조 등 | ㅇ제연구역 면적 최대: ㎡ ㅇ제연구획의 구조 [ ]내화 [ ]불연 [ ]그밖의 것: | 제연방식 | [ ]단독 [ ]공동 [ ]상호 [ ]기타 | 배출용 /급기용 송풍기 | 설치위치 | 층 | 용량 | ㅇ풍량: ㎥/min ㅇ정압: Pa | 배기용 /급기용 전동기 | 용량 | ㅇ정격출력: KW | 구동방식 | [ ]직결방식 [ ]벨트구동방식 | 기동장치 | [ ]자동(감지기 연동) [ ]수동 [ ]원격조정 | 배출구 설치위치 | [ ]천장면 [ ]천장 직하 [ ]그밖의 것: | 배출풍도등 | 풍도구조 | [ ]내화 [ ]불연 [ ]기타: | 구획댐퍼 | [ ]무 [ ]FD [ ]SD [ ]SFVD [ ]그밖의 것 | 옥외배출구 | [ ]옥상 [ ]그밖의 것: | 옥외공기유입구 | [ ]옥상 [ ]그밖의 것: | 급기구 | 급기방식 | [ ]강제유입 [ ]자연유입 [ ]인접구역유입(상호제연) | 풍도구조 | [ ]내화 [ ]불연 [ ]그밖의 것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3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501)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제연설비 (제4조) o제연구역 설정 적정(면적, 거실과 통로 상호제연, 통로 보행중심선 길이, 직경, 층 구분) 여부 o제연구역 구획방식(보ㆍ제연경계벽ㆍ벽) - 재질, 변형ㆍ파괴되지 않고 연기누설 없는 기밀성 재료 사용 여부 - 제연경계 폭, 수직거리 적정 설치 여부 - 제연경계벽 배연 시 기류에 의한 흔들림 없는 구조 설치 여부 - 가동식 급속한 하강 없는 구조 설치 여부 | | 2 | 제연방식 (제5조) o예상제연구역 - 화재 시 연기배출과 동시에 공기유입되는 구조 설치 여부 o바닥면적 50m2 미만인 통로와 인접한 거실의 제연방식 적정(통로배출로 갈음) 여부 o예상제연구역 제외 적정(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이고, 불연 또는 난연재료로 마감하고, 가연물이 없는 통로) 여부 | | 3 | 배출량 및 배출방식 (제6조) o예상제연구역 배출량 적정 여부 o공동예상제연구역 배출량 산정 방식 및 배출량 적정 여부 | | 4 | 배출구 (제7조) o배출구 설치 위치 적정 여부 o예상제연구역 각 부분으로부터 배출구까지의 거리 적정 여부 | | 5 | 공기유입방식 및 유입구 (제8조) o공기유입방식 적정 여부 o공기유입구 설치 위치 적정 여부 o공기 유입 속도 적정 여부 o유입공기 분출 각도 적정 여부 o공기유입구 크기 적정 여부 o공기유입량 적정 여부 | | 6 | 배출기 및 배출풍도 (제9조) o배출기 배출능력 적정 여부 o배출기와 배출풍도 사이 캔버스 내열성 보유 여부 o배출기 전동기 부분과 배풍기 부분 분리 여부 o배풍기 내열성 단열재 단열처리 여부 o배출풍도 재질 및 두께 적정 여부 o배출기 흡입측 및 배출측 풍속 적정 여부 | | 7 | 유입풍도 등 (제10조) o유입풍도 풍속 및 두께 적정 여부 o옥외에 면하는 배출구 및 공기유입구 설치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501)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8 | 제연설비의 전원 및 기동 (제11조) o가동식의 벽ㆍ제연경계벽ㆍ댐퍼 및 배출기 정상 작동(화재감지기 연동) 여부 o예상제연구역 및 제어반에서 가동식의 벽ㆍ제연경계벽ㆍ댐퍼 및 배출기 수동 기동 가능 여부 | | 9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비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27.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4쪽 중 1쪽) | ■ 건 축 물 개 요 | 건 물 구 조 | 식 조 가 / 층 동 연면적 ㎡ | 특별피난계단 개소 비상용승강기 대 피난용승강기 대 부속실겸용 개소 | ■ 설 비 개 요(해당 장소명: ) | 구 분 | 점 검 항 목 | 제 연 구 역 (제 연 방 식) | [ ] 부속실단독제연 [ ] 계단실 및 부속실 동시 제연 [ ] 계단실단독제연 [ ] 비상용승강기승강장단독제연 [ ] 기타 | 송 풍 기 | 설 치 위 치 | [ ] 급기용 : [ ] 배출용 : | 전 동 기 | [ ] 급기용 ㎾ [ ] 배출용 ㎾ | 풍 량, 정 압 | [ ] 급기용 ㎥/min, Pa [ ] 배출용 ㎥/min, Pa | 급 기 풍 도 | 수 직 풍 도 | 구 조 | [ ] 내화구조 [ ] 기타 : | 내부마감재료 | [ ] 아연도금강판 [ ] 기타 | 기 타 풍 도 | | 기 동 | 기 동 대 상 | [ ] 전층 [ ] 부분층( 개층) | 기 동 방 식 (급기댐퍼 개방) | [ ] 전용감지기 [ ] 화재감지기 연동 [ ] 자동소화설비(스프링클러설비등) 연동 | 출 입 문 | 제연구역 출입문 | [ ] 평상시 자동폐쇄장치에 의한 닫힘 유지 [ ] 일시 고정장치 설치(화재감지기에 의한 해정) | 유 입 공 기 배 출 | 수 직 풍 도 | 방 식 | [ ] 자연배출 [ ] 기계배출(배출용 송풍기) | 구 조 | [ ] 내화구조 [ ] 기타 : | 내 부 마 감 | [ ] 아연도금강판 [ ] 기타 : | 기 타 | [ ] 배출구(창문, 환기구, 배출기) [ ] 공조겸용제연설비 [ ] 해당없음 | 과 압 방 지 장 치 | [ ] 플랩댐퍼 [ ] 기타 : | 비 고 | ※ 설비개요 작성시 최대 구역 1개소 기입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4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501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제연구역의 선정 (제5조) o제연구역 선정 적정 여부 | | 2 | 차압 등 (제6조) o제연구역과 옥내 사이 최소차압 적정 여부 o제연설비 가동 시 출입문 개방력 적정 여부 o비개방층 최소차압 적정 여부 o부속실과 계단실 차압 적정 여부(계단실과 부속실 동시 제연의 경우) | | 3 | 급기량 등 (제7조, 제8조, 제9조) o급기량 적정 여부 o누설량 및 보충량 산정 적정 여부 | | 4 | 방연풍속 (제10조) o방연풍속의 적정 여부 | | 5 | 과압방지조치 (제11조) o과압방지조치 적정 여부 o과압방지장치 자동압력 조정 성능 확보 여부 o자동차압ㆍ과압조절형 댐퍼 성능 적정 여부(자동차압ㆍ과압조절형 댐퍼를 사용한 경우) | | 6 | 누설틈새의 면적 등 (제12조) o제연구역의 출입문등의 크기 및 개방방식이 설계시와 동일 여부 | | 7 | 유입공기의 배출 (제13조, 제14조, 제15조) [ ]수직풍도에 따른 배출 o수직풍도 내화구조 적합 여부 o수직풍도 내부면 재질 적정 여부 o수직풍도 관통부 배출댐퍼 설치 상태 적정(재질, 개폐여부 확인 기능, 작동상태ㆍ기밀상태 점검, 이ㆍ탈착 구조, 감지기 동작에 따른 개방구조, 내부단면적, 돌출구조) 여부 o배출용송풍기 설치상태 적정(내열성능, 풍량, 감지기 연동) 여부(기계배출식의 경우) o상부 말단 구조 적정(빗물 유입방지, 옥외 풍압 영향 방지 조치) 여부 [ ]배출구에 따른 배출 o개폐기 설치 상태 적정(빗물 유입방지, 옥외 방향 개방 및 옥외 풍압에 의한 자동 폐쇄) 여부 o개폐기 개구면적 산정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501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8 | 급기 (제16조) o동일 수직선상 부속실 동시 급기 여부(부속실 제연방식의 경우) o부속실 수직풍도 또는 전용수직풍도를 통한 급기 여부 (계단실ㆍ부속실 동시 제연방식의 경우) o전용수직풍도 또는 급기풍도ㆍ급기송풍기 연결을 통한 급기 여부 (계단실 단독 제연방식의 경우) o수직풍도별 전용 송풍기로의 급기 여부 o비상용승강기의 승강로 급기풍도 사용 여부(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제연방식의 경우) | | 9 | 급기구 (제17조) o급기송풍기 설치 상태 적정(설치 위치, 출입문과의 이격) 여부 o계단실 설치 개수 적정 여부 o급기댐퍼 재질 적정 여부 o차압범위 수동 설정기능 및 개구율 자동조절 기능 적정 여부 (자동차압ㆍ과압조절형 댐퍼를 설치한 경우) o개구율 수동조절 기능 적정 여부 (자동차압ㆍ과압조절형이 아닌 댐퍼를 설치한 경우) o감지기 연동에 의한 댐퍼 개방 여부 o댐퍼 종류(전기적 방식ㆍ기계적 방식)별 기준 및 배출댐퍼 기준 준용 적정 여부 |
| 10 | 급기풍도 (제18조) o수직풍도 내화구조 적합 여부 o수직풍도 내부면 재질 적정 여부 o수직풍도 외의 풍도 재질, 두께 및 누설량 적정 여부 | | 11 | 급기송풍기 (제19조) o송풍기 급기량 적정 여부 o풍량조절장치 설치 및 정상 작동 여부 o풍량 실측 가능한 유효한 조치 적정 여부 o설치장소 적정(화재영향, 접근ㆍ점검 용이성) 여부 | | 12 | 외기취입구 (제20조) o설치위치 적정(오염공기 유입 방지, 배기구 등으로부터 이격거리) 여부 o빗물ㆍ이물질 유입방지 구조 적정 여부 o옥외의 풍속과 풍향에 영향 받지 않는 구조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4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501A)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3 | 제연구역 및 옥내의 출입문 (제21조) [제연구역의 출입문] o폐쇄상태 유지 또는 화재 시 자동폐쇄 구조 여부 o자동폐쇄장치 폐쇄력 적정 여부 [옥내의 출입문] o폐쇄상태 유지 또는 화재 시 자동폐쇄 구조 여부 o자동폐쇄장치 폐쇄력 적정 여부 | | 14 | 수동기동장치 (제22조) o수동기동장치 설치위치 적정 여부 o수동기동장치 조작시 관련 장치(급기댐퍼, 배출댐퍼 또는 개폐기, 급기송풍기, 유입공기 배출용 송풍기, 출입문 개폐장치) 정상작동 여부 o수동발신기 조작시 관련 장치(급기댐퍼, 배출댐퍼 또는 개폐기, 급기송풍기, 유입공기 배출용 송풍기, 출입문 개폐장치) 정상작동 여부 | | 15 | 제어반 (제23조) o비상용축전지 확보 및 용량 적정 여부 o제어반 감시 및 원격조작 기능 적정(급기송풍기, 유입공기 배출용 송풍기, 출입문 개방 및 해정, 수동기동장치 작동, 선로 단선, 예비전원의 감시 및 원격조작) 여부 | | 16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비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붙임1]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성능시험 세부조사표 <갑 지> 가. 제연구역과옥내사이차압, 방화문개방력, 비개방층차압, 평균방연풍속, 유입공기배출량 제연구역 | 차압/개방력 | 비개방층 차압 Pa -방화문 1개층 개방 | 비개방층 차압 Pa -방화문 2개층 개방 | 평균방연풍속 m/s | 유입공기 배출구배출량 ㎥/h (기계배출식 등) | 비 고 | 차압 Pa | 개방력 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측정값은 최저값과 최고값, 평균값 등을 기록한다. * 계측기 및 측정오차의 최대허용범위는 측정값의 ±10%로 한다. 나. 송풍기 검사 송풍기번호 또는 제연구역 | 송풍기 규격 | 송풍기 검사 | 비 고 (송풍기 설치층) | 풍량 ㎥/h | 전류 A | 전압 V | | ㎥/h × Pa× kW | | | | | | ㎥/h × Pa× kW | | | | | | ㎥/h × Pa× kW | | | | | | ㎥/h × Pa× kW | | | | |
다. 계측기 계측기명 | 형식(MODEL) 및 기기 번호 | 교정일과 성적서 유효기간 | 기기편차 또는 평균측정편차 % 등 | 비 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첨부 : 국가 공인기관의 계측기 교정성적서 사본 * 계측기명 : 측정 계측기명 기록 * 형식(MODEL) 및 기기 번호 : 교정성적서에 있는 형식(MODEL) 및 기기번호 기록한다. * 교정일과 성적서 유효기간 : 교정성적서에 있는 교정날짜와 유효기간을 기록한다. * 교정성적서 2면 기기편차 또는 평균측정편차의 최소 및 최대값, 평균값 등은 필요시 백분율로 환산하여 기록할 수 있다. * 국내 교정기관에서 교정검사가 불가능한 경우 제조사의 교정성적서를 첨부할 수 있다. * 사용 계측기의 최대허용오차는 교정성적서의 측정범위 내 표준 입력값의 ±5%범위 이내여야 한다. 성능시험실시자 | 업체명: 책임기술자: | * 제연설비의 성능시험을 별도의 업체에서 실시한 경우 성능시험 실시자를 기록한다. |
| <을 지> 제연구역 | 시험일시 | 외부 대기온도 | 실내평균온도 | | 20 . . | ℃ | ℃ |
가. 제연구역과옥내사이차압, 방화문개방력, 비개방층차압, 방연풍속, 유입공기배출구배출량 □ 최종검사 층 | 차압/개방력 | 비개방층차압 Pa -방화문 1개층 개방 | 비개방층차압 Pa -방화문 2개층 개방 | 비 고 (송풍기설치 위치표시) | 방연풍속 m/s 배출(+),유입(-) | 차압 Pa | 개방력 N | | | | | | | 측정층 : 평균 : m/s | | | | | | | | 1 | 2 | 3 | 4 | | | | | | | 1 | | | | | | | | | | | 2 | | | | | | | | | | | 3 | | | | | | | | | | | 4 | | | | | | | | | | | 5 | | | | | | | | | | | 6 | | | | | | | | | | | 7 | | | | | | | | | | | 8 | | | | | | | | | | | 측정층 : 평균 : m/s | | | | | | | | 1 | 2 | 3 | 4 | | | | | | | 1 | | | | | | | | | | | 2 | | | | | | | | | | | 3 | | | | | | | | | | | 4 | | | | | | | | | | | 5 | | | | | | | | | | | 6 | | | | | | | | | | | 7 | | | | | | | | | | | 8 | | | | | | | | | | | 측정층 : 평균 : m/s | | | | | | | | 1 | 2 | 3 | 4 | | | | | | | 1 | | | | | | | | | | | 2 | | | | | | | | | | | 3 | | | | | | | | | | | 4 | | | | | | | | | | | 5 | | | | | | | | | | | 6 | | | | | | | | | | | 7 | | | | | | | | | | | 8 | | | | | | | | | | | 측정층 : 평균 : m/s | | | | | | | | 1 | 2 | 3 | 4 | | | | | | | 1 | | | | | | | | | | | 2 | | | | | | | | | | | 3 | | | | | | | | | | | 4 | | | | | | | | | | | 5 | | | | | | | | | | | 6 | | | | | | | | | | | 7 | | | | | | | | | | | 8 | | | | | | | | | | | 유입공기배출 풍량 | | | | | | | 층 : ㎥/h 층 : ㎥/h 층 : ㎥/h 층 : ㎥/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지> 나. 송풍기 검사 송풍기 번호 또는 제연구역 | 측정풍량 (㎥/h) | 전류(A) | 전압(V) | 비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첨부 : 송풍기 풍량 측정 기록지 ※ 도면 또는 측정기록지에는 측정위치를 표기한다. (비고) 1. 제연구역과 옥내 간의 차압은 전 층 측정을 원칙으로 한다. 2. 제연구역의 방화문이 모두 닫힌 상태에서 전 층 제연구역의 옥내 방화문 개방력 측정을 원칙으로 한다. 단, NFSC501A 제5조 1호 및 3호에 해당하는 경우 옥내 및 계단 방화문의 개방력을 모두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방연풍속 - 송풍기에서 가장 먼 층을 기준으로 제연구역 1개층 (20층 초과시 연속되는 2개층) 제연구역과 옥내간의 측정을 원칙으로 하며 필요시 그 이상으로 할 수 있다. - 방연풍속은 최소 10점 이상 균등 분할하여 측정하며, 측정시 각 측정점에 대해 제연구역을 기준으로 기류가 유입(-) 또는 배출(+) 상태를 측정지에 기록한다. - 유입공기배출장치(있는 경우)는 방연풍속을 측정하는 층만 개방한다. - 직통계단식 공동주택은 방화문 개방층의 제연구역과 연결된 세대와 면하는 외기문을 개방할 수 있다. 4. 비개방층 차압 - 비개방층 차압은 “3호 방연풍속”의 시험 조건에서 방화문이 열린층의 직상 및 직하층을 기준층으로 하여 5개층마다 1개소 측정을 원칙으로 하며 필요시 그 이상으로 할 수 있다. - 20개층까지는 1개층만 개방하여 측정한다. - 21개층부터는 2개층을 개방하여 측정하고, 1개층만 개방하여 추가로 측정한다. ※ 부식실과 면하는 옥내의 출입문이 2개소 이상인 경우 그 중 크기가 최대인 출입문 1개소를 개방하여 측정할 것 5. 유입공기 배출량 - 기계배출식은 송풍기에서 가장 먼 층의 유입공기배출댐퍼를 개방하여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기타 방식은 설계조건에 따라 적정한 위치의 유입공기배출구를 개방하여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6. 송풍기 풍량 측정 - “3호 방연풍속”의 시험 조건에서 송풍기 풍량은 피토관 또는 기타 풍량측정 장치를 사용하고, 송풍기 전동기의 전류, 전압을 측정한다. - 이 때 전류 및 전압 측정값은 동력제어반에 표시되는 수치를 기록할 수 있다. | <을 지> 송풍기 풍량 측정 기록지 | 제연구역 및 송풍기 : | 회 측정의 평균풍속 : m/s | 풍량(㎥/h)=속도(m/s)×단면적(㎡)×3,600 : ㎥/h | 풍도크기 : | 가로 세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 | | | | | | | | | | | 2 | | | | | | | | | | | 3 | | | | | | | | | | | 4 | | | | | | | | | | | 5 | | | | | | | | | | | 6 | | | | | | | | | | | 7 | | | | | | | | | | | 8 | | | | | | | | | | | 9 | | | | | | | | | | | 10 | | | | | | | | | | |
(비고) 1. 일반사항 - 풍량 측정점은 덕트 내의 풍속, 시공상태, 현장 여건 등을 고려하여 송풍기의 흡입측 또는 토출측 덕트에서 정상류가 형성되는 위치를 선정한다. 일반적으로 엘보 등 방향전환 지점 기준 하류쪽은 덕트직경(장방형 덕트의 경우 상당지름)의 7.5배 이상 상류쪽은 2.5배이상 지점에서 측정하여야 하며, 직관길이가 미달하는 경우 최적위치를 선정하여 측정하고 측정기록지에 기록한다. - 피토관 측정시 풍속은 아래공식으로 계산한다. ( V : 풍속 m/s, : 동압 Pa ) - 풍량 계산은 아래공식으로 계산한다. ( Q : 풍량 ㎥/h, V : 평균풍속 m/s, A : 덕트의 단면적 2. 송풍기 풍량 측정위치는 측정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안전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3 동일면적 분할법 사례 원형덕트 또는 송풍기 흡입구 피토관 이송 측정점(동일면적 분할법) | 장방형 덕트 피토관 이송 측정점(동일면적 분할법) | | | ㆍ 300mm이상인 경우 총 20개 지점 측정 ㆍ 측정점 위치) 측정점1 | 측정점2 | 측정점3 | 측정점4 | 측정점5 | 0.0257D | 0.0817D | 0.1465D | 0.2262D | 0.3419D |
주) D : 원형 덕트의 직경 | ㆍ 최소 16점이며 64점 이상을 넘지 않도록 한다. ㆍ 64점 이하 측정시 a, b의 간격은 150mm 이하 일 것 ㆍ L=1,100일 경우 1,100/150=7.33, 측정점은 8개소 a=1,100/8=137.5mm |
|
28. 연결송수관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3쪽 중 1쪽) | 항 목 | 방 식 | [ ] 건 식 [ ] 습 식 | [ ] 전 용 [ ] 겸 용 | 겸용설비 | [ ] 옥내소화전설비 | [ ] 스프링클러설비 | [ ] 그 밖의 것 | [ ] 전층 설치 [ ] 일부층 설치 | [ ] 전층 설치 [ ] 일부층 설치 | [ ] 전층 설치 [ ] 일부층 설치 | 송수구수 | ㅇ 쌍구형 : 개 ㅇ 단구형 : 개 | 개폐밸브 | [ ] 유 [ ] 무 | 입상관수 |
| 방수구위치 | [ ] 복도ㆍ통로 [ ] 계단실 [ ] 계단등의 부근 | 방수구등 설치 수량 | 층 별 | 층 | 층 | 층 | 층 | 층 | 층 | 층 | 층 | 층 | 층 | 층 | 층 | 층 | 층 | 층 | 층 | 방수구 | | | | | | | | | | | | | | | | | 방수용 기구함 | | | | | | | | | | | | | | | | | 배관 등 | 배 관 | [ ]KSD 3562 [ ]KSD 3507 [ ]KSD 5301(동관) [ ]KSD 3576(스테인레스관) [ ]KSD 3595(스테인레스관) [ ]KSD 3583(아크용접강강관)[ ]소방용합성수지배관 [ ]그 밖의 것 : | 이 음 | [ ] 용접/나사 [ ] 그루브 [ ] 플랜지 [ ] 그 밖의 것 : | 방식조치 | [ ] 방식테이프감기 [ ] 테프론테이프감기 [ ] 라이닝관 [ ] 그밖의 것: | 가압 송수 장치 | 설치위치 | 층 실 | 압력조절장치 | [ ] 유 [ ] 무 | 펌프 전동기 | ㅇ 토출량 : ℓ/min ㅇ 토출구경 : ㎜ ㅇ 전양정 : m ㅇ 출력 : ㎾ | 기동장치위치 | [ ] 송수구 [ ] 방재실 [ ] 그 밖의 것 : | 배 선 | ㅇ 비상전원회로 : [ ]내화전선 [ ]전선관 매설 [ ]그 밖의 것 : ㅇ 그 밖의 회로 : [ ]내열전선 [ ]전선관 노출 [ ]전선관매설 [ ]그 밖의 것 : | 중간수조용량 | ㎥ | 비 고 | ※ 방수구, 방수용기구함은 설치 수를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3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502)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송수구 (제4조) o설치장소 적정 여부(소방차 쉽게 접근, 잘보이는 곳, 소방차부서공간) o개폐밸브 설치 장소 적정 여부 o송수구 구경 및 형태(쌍구형) 적정 여부 o송수압력범위 표시 표지 적정설치 여부 o송수구 설치 개수 적정 여부 o지면으로부터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자동배수밸브ㆍ체크밸브 설치 여부 및 설치 상태 적정 여부 o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 o연결송수관설비송수구 표시 설치 적합 여부 o소방시설 별 송수구 적정 구분 표시 여부 | | 2 | 배관 등 (제5조) o주배관 구경 적정 여부(100mm 이상) o건물 높이에 따른 설비방식 적정 여부(31m 또는 11층 이상은 습식) o배관의 재질 적정 여부 o소방용합성수지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및 설치 적정 여부 o겸용 급수배관 구경 적정 여부 o수직배관 설치 적정(내화구조로 구획된 계단실ㆍ파이프덕트 등에 설치) 여부 o다른 설비 배관과의 구분방식 적정 여부(보온재 적색&배관구분 설치) o분기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3 | 방수구 (제6조) o설치층, 설치개수, 설치위치 적정 여부 o방수구 형태 및 구경 적정 여부 o방수구 호스접결구 높이 적정 여부 o위치표시(표시등, 축광식표지) 적정 여부 o개폐기능 설치 여부 및 상태 적정(닫힌 상태) 여부 o방수구 설치제외 층의 적정 여부 | | 4 | 방수기구함 (제7조) o설치층, 설치위치 적정 여부 o호스 및 관창 비치 적정 여부 o????방수기구함????축광식 표지 설치 여부 | | 5 | 가압송수장치 (제8조) o펌프 설치환경 적정 여부(접근ㆍ점검 편의성 확보, 화재ㆍ침수 등 피해 우려) o동결방지조치 여부 또는 동결 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겸용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겸용인 경우) o펌프 흡입측 연성계ㆍ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설치위치 적정 여부 o성능시험배관 설치 적정 여부 o순환배관 설치 적정 여부 o펌프 정격토출량 적정 여부 o펌프 토출압력(양정) 적정 여부 o방수구 개방시 자동기동, 수동스위치 조작에 기동 여부 o수동기동스위치 설치 상태 적정(2개 이상 설치, 송수구 부근 1개 설치, 높이, 수납상태, 표지 부착, 접지 등)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502)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5 | o압력챔버 용적 적정 여부(기동용 수압개폐장치로 압력챔버 사용할 경우) o물올림장치 설치 적정(전용 여부,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여부 o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o가압송수장치 “연결송수관펌프” 표지 설치 여부 o내연기관 방식 기동장치 설치여부 또는 원격조작(적색등 설치) 가능 여부 - 제어반에 내연기관 자동기동 및 수동기동 가능 여부 - 상시 충전 축전지설비 설치 여부 - 연료량 펌프 20분이상 운전 가능 여부(다만 층수 30층 이상~49층 이하는 40분, 50층 이상은 60분) o가압송수장치의 자동정지 불가능 여부(충압펌프 제외) | | 6 | 전원 등 (제9조) o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회로 배선 방식 적정 여부 | | 7 | 배선 등 (제10조) o비상전원회로 사용전선 및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그 밖의 전기회로의 사용전선 및 배선공사 방법 적정 여부 o과전류차단기 및 개폐기 “연결송수관설비용” 표지 설치 여부 o전기배선 접속단자 “연결송수관설비단자” 표지 설치 여부 o전기배선 양단 타 설비와 식별 용이성 확보 여부 | | 8 | 송수구 겸용 (제11조) o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 설치기준 적용 여부(연결송수관 설비와 타 설비를 겸용한 경우) | | 9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10 | ※펌프 성능시험결과표(펌프 명판 및설계치 참조) 구분 | 주펌프 | 예비펌프 | 적 정 여 부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토출량 (ℓ/min) | 토출압 (MPa) | 체절운전 | | | | | 체절운전 시 토출압은 정격토출압의 140%이하일 것( ) | 정격운전 (100%) | | | | | 정격운전 시 토출량과 토출압이 규정치이상일 것( ) | 정격유량의 150% 운전 | | | | | 정격토출량 150%에서 토출압이 정격토출압의 65%이상일 것( ) | ○설정압력: MPa ○주펌프 기동: MPa ○예비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기동: MPa ○충압펌프 정지: MPa ※ 유량계: [ ]전자식, [ ] 초음파식, [ ]기타( ) ※ 릴리프밸브 작동 압력 : MPa |
| 비고 | o방수구 설치제외 층의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29. 연결살수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3쪽 중 1쪽) | 항 목 | 설 비 방 식 | [ ] 습식 [ ] 건식 | 방호대상종류 | [ ] 판매시설 [ ] 운수시설 [ ] 창고시설 중 물류터미널 [ ] 지하층 [ ] 가스시설 [ ] 지하층, 판매시설에 부속된 연결통로 | 송수구역수 | ㅇ 구역수 : 구역 ( 층 구역 / 층 구역) ㅇ 송수구역안내표지 [ ] 유 [ ] 무 | 송 수 구 수 | [ ] 쌍구형 : 개 [ ] 단구형 : 개 ㅇ 위 치 : | 선 택 밸 브 | ㅇ 설치장소 : ㅇ 설치개수 : 개 | 헤 드 | [ ] 개방형 헤드 [ ] 폐쇄형 헤드 ㅇ 최대설치개수 : 개 ㅇ 최소설치개수 : 개 | 살수구역간의 구 획 | [ ]유 [ ]일부 [ ]무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5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송수구 등 (제4조) [송수구] o설치 장소 적정(소방차 접근 용이성, 노출된 장소) 여부 - 이격거리 확보 및 철근콘크리트벽 설치 적정 여부(가연성가스 저장ㆍ취급) o송수구 구경(65mm) 및 형태(쌍구형) 적정 여부 o송수구역별 호스접결구 설치 여부(개방형 헤드) o설치 높이 적정 여부 o개폐밸브 설치 여부(송수구 ~ 주배관 연결배관) o“연결살수설비 송수구” 표지 설치 여부 o마개 설치 여부 o소방시설 별 송수구 적정 구분 표시 여부 [선택밸브 등] o선택밸브 설치 위치 적정(화재 시 연소 우려, 조작ㆍ점검 용이성) 여부 o송수구역 방수없이 작동시험 가능 여부 (자동개방밸브를 선택밸브로 사용하는 경우) o선택밸브 부근 송수구역 일람표 설치 여부 o설비방식에 따른 자동배수밸브 및 체크밸브 설치 순서 적정 여부 o자동배수밸브 설치 상태 적정 여부 o송수구역별 개방형 살수헤드 개수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 (3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NFSC 5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2 | 배관 등 (제5조) o배관 재질 적정 여부 o소방용합성수지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및 설치 적정 여부 o가지배관 또는 교차배관의 배열방식 적정 여부 o가지배관 설치 헤드수량 적정 여부 o습식 연결살수설비 동결방지조치 또는 동결우려 없는 장소 설치 여부 o보온재 성능(난연재 이상) 적정 여부 o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 적정(개폐표시형, 흡입측 버터플라이 제외) 여부 o교차배관 설치위치 적정 여부 및 최소구경 충족 여부 o가지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교차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수평주행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다른 설비 배관과의 구분방식 적정 여부(보온재 적색& 배관구분 설치) o분기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o배관 구경 적정 여부 o연결살수설비의 주배관 접속 적정 여부 (옥내소화전설비 주배관ㆍ수도배관ㆍ옥상수조 ↔ 접속부분 체크밸브) o연결살수설비 시험배관 적정설치(위치, 구경) 여부 o연결살수설비 청소구 설치 적정 여부 o연결살수설비 하향식 헤드 가지배관 분기 적정 여부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 o배관 구경 적정 여부 o개방형 헤드 사용 수평주행배관 기울기 및 자동배수밸브 설치 적정 여부 | | 3 |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제6조) [연결살수설비 헤드] o헤드 종류 적정 여부 o헤드 부착면 적정 여부 o헤드 수평거리 적정 여부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o폐쇄형 헤드 표시온도 적정 여부 o헤드 살수 반경 확보 및 벽과 헤드간 적정공간 확보 여부 o헤드와 부착면과의 거리 적정(30cm 이하) 여부 o헤드 반사판 부착면과 평행 여부 o천장 기울기 10분의 1을 초과 시 가지배관, 헤드, 반사판 설치 적정 여부 o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 헤드 설치 적정 여부 o상향식스프링클러헤드 사용시 적정 설비 설치 여부 o측벽형 헤드 설치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화재안전기준 조문)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3 | [가연성 가스 저장ㆍ취급시설] o연결살수설비 전용 개방형 해드 설치 여부 o헤드 상호간 거리 적정(3.7m 이하) 여부 o헤드 살수범위 적정 여부 | | 4 | 헤드 설치제외 (제7조) o 헤드설치 제외 적정 여부 | | 5 | 송수구 겸용 (제8조) o스프링클러설비의 송수구 설치기준 적용 및 각각의 설비 정상작동 여부(스프링클러설비 등의 송수구와 연결살수설비의 송수구를 겸용한 경우) o옥내소화전설비의 송수구 설치기준 적용 및 각각의 설비 정상작동 여부(옥내소화전설비의 송수구와 연결살수설비의 송수구를 겸용한 경우) | | 6 | 별도 첨부 o비상전원 설치 및 적정설치 여부 o형식승인용품 및 성능인증용품 사용내역 | | 비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30. 비상콘센트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2쪽 중 1쪽) | 항 목 | 전원회로 | o방식 : [ ]단상 [ ]3상 o종류 : [ ]직류 [ ]교류 o전압 : V | 공급용량 | KVA | 플러그접속기 | [ ]접지형 2극 플러그접속기 [ ]그 밖의 것 : | 설치 개수 | 층 | 계 | | | | | | | | | | | | | | | | 콘센트 | | | | | | | | | | | | | | | |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504)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전원 및 콘센트 등 (제4조) o상용전원회로 배선 방식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설치 여부 및 종류 적정 여부(비상전원 설치 대상) o전원회로 방식 적정(단상교류 220V) 여부 o공급용량 적정(1.5kVA 이상) 여부 o전원회로 층별 설치개수 적정 여부 o전원회로 주배전반에서 전용회로 사용 여부 o각 층 분기배선용 차단기 설치 및 보호함 내부 설치 여부 o콘센트별 배선용 차단기 설치 및 충전부 노출 방지 여부 o개폐기 “비상콘센트“ 표지 설치 여부 o1개 전용회로에 설치되는 비상콘센트 수량 적정(10개 이하) 여부 o비상콘센트 공급 용량 적정 여부 o플러그접속기 종류(접지형 2극) 및 칼받이 접지공사 적정 여부 o비상콘센트 설치높이 적정 여부 o바닥면적에 따른 비상콘센트 설치 배치 적정 여부 o전원부와 외함 간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적정 여부 o정격전압에 따른 실효전압 적정 여부 [비상전원-자가발전설비 설치시] o비상전원 설치장소 - 점검 편의성 적정 여부 - 화재ㆍ침수 등 재해방지환경 적정 여부 - 방화구획 적정 여부 - 비상조명등 설치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2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504)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o비상전원의 종류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유효작동 시간 적정 여부 o상용전원 전원공급 중단 시 비상전원 자동전환 적정 여부 o비상전원설비 외 다른 설비ㆍ물품의 설치 또는 비치 적정 여부 | | 2 | 보호함 (제5조) o개폐용이한 문 설치 여부 o“비상콘센트” 표지 설치 여부 o위치표시등 설치 및 점등 적정 여부 | | 3 | 배선 (제6조) o배선 방식 적정(전원회로는 내화, 그 밖의 회로는 내화 또는 내열) 여부 | | 4 | 별도 첨부 o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 비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31. 무선통신보조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 개요 (2쪽 중 1쪽) | 항 목 | 방 식 | [ ] 전용 [ ] 공용 [ 종류: ] | 주파수 대 역 | MHZ | 설치방식 | [ ]누설동축케이블방식 [ ]누설동축케이블과 안테나방식 [ ]안테나방식 | 무선기기 접속단자 및 ANT | ㅇ무선기기접속단자[ ] ㅇ ANT [ ] ㅇ무선기기접속단자 보호함 [ [ ]유 [ ]무 ] | 소방용 | 설치장소 | 설치개수 | 그밖의 것 | 설치장소 | 설치개수 | 지상 | | | 지상 | | | 지하 | | | 지하 | | | 무선 중계기 | [ ]유 [ ]무 형명 : ㅇ설치장소 : | 증폭기 | [ ]유 [ ]무 형명 : ㅇ설치장소 : | 혼합기 공용기 | [ ]유 [ ]무 형명 : ㅇ설치장소 : 입력단자 : 개 | 분배기 | [ ]유 [ ]무 형명 : ㅇ설치장소 : 입력단자 : 개 | 동축 케이블 | ㅇ사용길이 : m ㅇ부설장소 : 형명: 시공방법 [ [ ]전선관공사 [ ]노출공법 ] 내열설치의 방법: | 안테나 | 형명: ㅇ설치개수 : 개 | 누설 동축 케이블 | ㅇ사용길이 : m ㅇ부설장소 : 형명 : ㅇ내열조치방법 :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점검항목 (2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505)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설치제외 (제4조) o 무선통신보조설비 설치제외 적정 여부 | | 2 | 누설동축케이블 등 (제5조) o소방전용주파수대에서 성능 적정 여부 - 겸용 시 누설동축케이블 성능 적정 여부 o케이블 구성 적정(누설동축케이블 + 안테나 또는 동축케이블 + 안테나) 여부 o케이블 재질 적정(불연 또는 난연, 습기에 따라 전기특성 변질) 여부 o피난 및 통행 지장 여부(노출하여 설치한 경우) o지지금구 설치 적정(간격, 재질, 설치면, 견고하게 고정) 여부 o누설동축케이블 및 안테나 설치 위치 적정(전파의 복사・특성이 저하되지 않는 위치, 고압전로에서 1.5m 이상 이격) 여부 o누설동축케이블 말단 ‘무반사 종단저항’ 설치 여부 o(누설)동축케이블 및 접속장치 임피던스 적정 여부 o음영지역 없이 모든 부분(계단실, 승강기 등) 유효하게 통신 적정 여부 o상호통신(내부간 무전, 옥외와 내부간 무전 등) 적정 여부 | | 3 | 옥외안테나 (제6조) o설치장소(소방활동 용이성 등) 적정 여부 o통신장애 발생 여부 o안테나 설치 적정(견고함, 파손우려) 여부 o옥외안테나에 “무선통신보조설비 안테나” 표지 설치 여부 o옥외안테나 통신 가능거리 표지 설치 여부 o수신기 설치장소 등에 옥외안테나 위치표시도 비치 여부 o디지털 방식의 무전기와 호환 가능 여부 | | 4 | 분배기, 분파기, 혼합기 (제7조) o먼지, 습기, 부식 등에 의한 기능 이상 여부 o임피던스 적정 여부 o설치장소 적정(점검 편의성, 화재 등 재해 우려) 적정 여부 | | 5 | 증폭기 등 (제8조) o상용전원 종류 적정 여부 o상용전원 전용 배선 설치 여부 o증폭기 전면 주회로 전원 정상 여부 확인 가능한 표시등 및 전압계 설치 여부 o증폭기 비상전원 부착 및 용량 적정 여부 o전원까지의 배선 전용 여부 o전원표시등 및 전압계설치 여부 o증폭기 및 무선중계기 전파법에 의한 적합성평가 제품 설치 및 임의변경 여부 | | 6 | 성능점검 o무선통신 가능 여부 | | 비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구조・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32. 연소방지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2쪽 중 1쪽) | 항 목 | 설 비 방 식 | [ ]건식 [ ]그 밖의 것 : | 방호대상종류 | [ ]전력사업용 [ ]통신사업용 [ ]공동구용 [ ]그 밖의 것 : | 지하시설 규모 | 길이(km) | 높이(m) | 폭(m) | | | | 송수구역수 | 구역수(개소) | | 송수구역안내표지 | [ ] 유 [ ] 무 | 송 수 구 수 | 수량(개) | | 설치위치 | | 유수검지장치 | 수량(개) | | 구경(mm) | | 일제개방밸브 | 수량(개) | | 구경(mm) | | 헤 드 | [ ] 연소방지설비전용헤드 [ ] 스프링클러헤드 [ ] 개방형 헤드 [ ] 폐쇄형 헤드 | 최대설치개수(개) | 최소설치개수(개) | | | 송수 구역 간 구 획 | [ ]유 [ ]일부 [ ]무 | 케이블,전선등 연소방지도료 | [ ]연소방지도료 도포 | [ ]연소방지도료, [ ]난연테이프 | [ ]연소방지도료 도포하지 않음 | | 비 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2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506)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배관 (제4조) o배관 재질 적정 여부 o소방용합성수지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및 설치 적정 여부 o급수배관 전용으로 설치 여부 o급수배관 개폐밸브 설치 적정(개폐표시형) 여부 o배관 구경 적정(전용헤드 및 스프링클러헤드) 여부 o수평주행배관 구경 및 기울기 적정 여부 o교차배관 설치위치 적정 여부 및 최소구경 충족 여부 o청소구 설치 적정 여부 (설치위치, 설치 방식, 나사식 개폐밸브 및 나사보호용 캡 설치) o하향식 헤드 가지배관 분기 적정 여부 o가지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교차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수평주행배관 행가 설치 간격 적정 여부 o연소방지설비 적정설치 여부(습식 외의 방식 설치) o다른 설비 배관과의 구분방식 적정 여부(보온재 적색 또는 배관구분 설치) o분기배관 성능인증 적합 여부 | | 2 | 방수헤드 (제5조) o설치장소 적정(천장 또는 벽면) 여부 o헤드상호 간 거리 적정 여부 o살수구역 설정 적정 여부 | | 3 | 송수구 (제6조) o설치장소 적정(소방차 접근 용이성, 노출된 장소, 보도ㆍ차도) 여부 o송수구 구경(65mm) 및 형태(쌍구형) 적정 여부 o송수구 1m 이내 살수구역 안내표지 설치 여부 o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자동배수밸브 설치 적정 여부 o송수구에서 주배관 상 연결배관 개폐밸브 설치 여부 o마개 설치 여부 | | 4 | 연소방지도료의 도포 (제7조) oNFSC 102 제10조제2항에 적합한 내화배선 방법으로 설치 여부 o케이블, 전선등에 연소방지도료 도포 여부 o도포방법의 적정 여부 o도포위치의 적정 여부 o연소방지도료등 성능 적정 여부 o연소방지도료 및 난연테이프의 성능기준 적합 여부 | | 5 | 방화벽의 설치기준 (제8조) o내화구조ㆍ자립 가능 여부 o출입문에 방화문 설치 여부 o관통부위 내화성 화재차단재 마감 여부 o방화벽 위치 적정 여부 | | 6 | 지하구의 통합감시시설 구축 등 (제9조) o정보통신망 구성 적정 여부 o정보통신망 선로 성능 및 원격제어 가능 여부 o주수신기 지하구 통제실, 보조수신기 소방서 설치 및 원격제어 가능 여부 o예비선로 구축 여부 o주수신기 정보, 보조수신기 전송 여부 | | 비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33. 내진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5쪽 중 1쪽) | 항 목 | 적용설비 | [ ] 옥내소화전설비 | [ ] 스프링클러설비 | [ ] 물분무등소화설비( ) | 수조 | 수조의 구분 | [ ] 전용수조 [ ] 겸용수조 [ ] 건축물 일체형 수조(콘크리트조 수조) | 수조 본체 | 설치 위치 | [ ] 지하층 [ ] 중간층 [ ] 최고층 [ ] 기타( m/ m) | 재 질 | [ ] 철판(두께 ㎜) [ ] 기타( ) | 성능확인 | [ ]계산서 [ ] 성적서 | 부재간 연결부 | [ ] 용접 [ ] 고정볼트 [ ] 리벳 [ ] 기타 | 수조의 고정방법 | [ ] 앵커볼트 [ ] 상단지지 [ ] 배면지지 [ ] 받침대 [ ] 기타 | 가요성 이음장치 | ㅇ 종류 : ㅇ 변위량 : ㎜ ㅇ 변위각도 : ° | 가압송수 장 치 | 설 치 위 치 | [ ] 지하층 [ ] 중간층 [ ] 최고층 [ ] 기타( m/ m) | 고정 방식 | [ ] 기초(앵커) [ ] 방진방치 [ ] 기타( ) | [ ]내진스토퍼 | 성능확인 | [ ] 계산서 [ ] 인증서 [ ] 성적서 [ ] 기타 : | 가요성 이음장치 | ㅇ 종류 : ㅇ 변위량 : ㎜ ㅇ 변위각도 : ° | 배관 | 관통부 | [ ] 관구경 50㎜ 이하 [ ] 관구경 100㎜ 미만 [ ] 관구경 100㎜ 이상 | [ ] 충진재의 종류 : | 지진분리 이음 | ㅇ 종류 : ㅇ 최소변위각도 : ° | 지진분리 장 치 | [ ] 변위량(최소값) : 전( ㎜), 후( ㎜), 좌( ㎜), 우( ㎜) | 흔들림 방지버팀대 | 횡방향 | [ ] 성능인증서 [ ] 계산서 | [ ] 천정면과의 설치제외 조건 해당 여부 | 종방향 | [ ] 성능인증서 [ ] 계산서 | 4방향 | [ ] 성능인증서 [ ] 계산서 | 기타 | [ ] 현장제작품 [ ] 성적서 | 가지배관 고정장치 | 설치방식 | [ ] 와이어타입 [ ] 환봉타입 [ ] 흔들림 방지 버팀대 타입 | [ ] 천정면과의 설치제외 조건 해당 여부 [ ] 성적서 | 제어반 등 | 성능확인 | [ ] 계산서 [ ] 인증서 [ ] 성적서 [ ] 기능유지 확인 | [ ] 제품 중량 450N 이하의 고정용 볼트 사용 여부 | 공통사항 | 앵커볼트 | ㅇ 성능확인 : [ ] 계산서 [ ] 인증서 [ ] 성적서(지진모의시험) 첨부 | ㅇ 앵커볼트 직경 : ㎜, ㅇ 앵커유효깊이 : ㎜ | 비 고 | * 위 항목에서 내진설계가 적용된 소화설비는 사용된 내진제품의 구조안전성을 근거로 한 구조계산서 등 설계근거 서류와 내진설계기준과 내진시험방법에 의한 비영리 공인기관의 성적서 등의 성능확인서류 첨부할 것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5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수원 [수조] o수조의 기초, 본체, 연결부분의 구조안전성 검토 여부 o건축물의 구조부재에 고정 여부 o수조와 연결 소화배관에 가요성 이음장치 설치 여부 | | 2 | 가압송수장치 [앵커볼트] o수평지진하중과 수직작용하중 산정의 적합 여부 o앵커볼트 허용저항값 산정의 적합 여부 o앵커볼트의 내진설계 적정 여부 [가압송수장치의 흡입측 및 토출측] o가요성이음장치 설치 여부 [내진스토퍼] o내진스토퍼와 본체(방진가대의 측면) 사이 이격거리 o내진스토퍼의 허용하중 적정여부 o방진장치와 겸용인 경우 내진스토퍼의 적합 여부 | | 3 | 배관 [배관의 내진설계] o배관 지진분리이음 또는 지진분리장치 사용여부 및 이격거리 유지 여부 o지진분리장치 설치위치 적합 여부 o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치 여부 o버팀대와 고정장치의 소화설비 동작 및 살수 방해 여부 o배관의 수평지진하중 산정의 적합 여부 [관통부의 배관 이격거리 유지여부] o배관의 적정 이격거리 확보 여부 o배관 이격거리 미확보시 배관 관통부재 재질과 지진분리이음 설치확인 [배관의 정착] o소방배관과 연결된 타 설비배관을 포함한 수평지진하중 산정의 적합 여부 o소방시설 배관의 정착물에 따른 취약부분의 수평지진하중 1.5배 산정의 적합 여부 | | 4 | 지진분리이음 o지진분리이음 설치 위치 적정 여부 o65㎜이상의 수직직선배관에서 지진분리이음 설치 위치 o티분기 수평직선배관으로부터 수직직선배관의 지진분리이음 설치의 적합 여부 o수직직선배관에 중간지지부(건축물에 지지부분)가 있는 경우 지진분리이음 설치위치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5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5 | 지진분리장치 o지진분리장치 설치위치 적정 여부 o건축물 지진분리이음구간 변위량 흡수 여부 o지진분리장치의 전후단 1.8m 이내에 4방향 흔들림 방지버팀대 설치 여부 o흔들림방지 버팀대의 지진분리장치 자체에 설치되지 않았는지 여부 | | 6 | 흔들림 방지 버팀대 o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치 상태 및 횡방향 및 종방향의 수평지진하중에 견디는지 여부 o흔들림 방지 버팀대가 부착된 건축 구조부재가 소화배관에 의해 추가된 지진하중을 견딜수 있는지 여부 o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지지대 세장비가 300 초과 여부 o4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종방향, 횡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할 가능여부 o하나의 수평직선배관에 최소 2개의 횡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와 1개의 종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치 여부 o옵셋 외의 길이 3.7m 미만 배관에 횡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1개 설치여부와 종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인접 배관 횡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로 지지 여부 o소화펌프 흡입측의 경우, 흡입측 수평직선배관 및 수직직선배관의 수평지진하중을 계산하여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치 여부 o소화펌프 토출측의 경우, 토출측 수평직선배관 및 수직직선배관의 수평지진하중을 계산하여 각각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치 여부 | | 7 | 수평직선배관 흔들림 방지 버팀대 [횡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o수평주행배관, 교차배관, 옥내소화전 설비의 수평배관 및 65㎜이상의 가지배관 및 기타배관에 설치 여부 o횡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계하중 산정의 적합 여부 o횡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간격 12m 초과 여부 o마지막 흔들림 방지 버팀대와 배관 단부사이의 거리가 1.8m 초과 여부 o옵셋길이를 합산하여 배관길이 산정 여부 o인접배관의 횡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로 역할을 하는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경우, 설치된 종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가 배관이 방향 전환된 지점으로부터 600㎜ 이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o65㎜ 이상인 가지배관의 길이가 3.7m 이상인 경우 횡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적정 설치 여부 o65㎜ 이상인 가지배관의 길이가 3.7m 미만인 경우 횡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미설치여부 및 가지배관 수평지진하중 산정의 적합 여부 o횡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미설치에 해당되는 행가의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5쪽 중 4쪽) | 번호 | 점 검 항 목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7 | [종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o수평주행배관, 교차배관, 옥내소화전 설비의 수평배관에 설치 여부 o종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계하중 산정의 적합 여부 o종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간격 24m 초과 여부 o마지막 흔들림 방지 버팀대와 배관 단부사이의 거리가 12m 초과 여부 o옵셋길이를 합산하여 배관길이 산정 여부 o횡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치지점으로부터 600㎜ 이내 배관이 방향 전환된 경우, 횡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종방향 흔들림 방 지 버팀대로 사용 적합 여부 | | 8 | 수직직선배관 흔들림 방지 버팀대 o길이 1m를 초과하는 수직직선배관의 최상부에 4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치 여부 o수직직선배관 최상부의 4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가 수평배관에 부착된 경우 수직직선배관의 중심선으로부터 0.6 m 이내 설치 및 흔들림 방지 버팀대의 하중이 수직 및 수평방향의 배관을 모두 포함하는지 여부 o4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간격 8m 초과 여부 o소화전함에 위아래 설치되는 65㎜ 이상의 수직직선배관 길이에 따른 4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치 및 말단 고정장치 설치 여부 o수직직선배관에 4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치시 수평방향으로 분기된 수평직선배관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치 적정 여부 o수직직선배관이 다층건물의 중간층 관통시 4방향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치 적정 여부 | | 9 | 흔들림 방지 버팀대 고정장치 o흔들림 방지 버팀대 고정장치에 작용하는 수평지진하중이 허용하중을 초과하는지 여부 | | 10 | 헤드 [가지배관 고정장치] o가지배관 간격에 따른 가지배관 고정장치 설치 적합 여부 o와이어 타입 고정장치가 행거로부터 600㎜ 이내에 위치여부 및 와이어 고정점에 가장 가까운 행거는 가지배관의 상방향 움직임을 지지할 수 있는 유형인지 여부 o수직 및 수평으로 과도한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 여부 o환봉 타입 가지배관 고정장치가 행거로부터 150㎜ 이내에 설치 여부 o환봉 타입 가지배관 고정장치의 지지대가 세장비 400 초과 여부 및 지지대가 세장비 400을 초과하는 경우 양쪽 방향으로 두 개의 지지대를 설치했는지 여부 o가지배관 고정장치의 지지대가 수직으로부터 45°이상의 각도로 설치 여부 및 최소정격하중이 1960N 이상 여부 o가지배관 고정장치 설치 제외에 해당되는 행가의 설치조건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5쪽 중 5쪽) | 번호 | 점 검 항 목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1 | 제어반 등 o제어반 수평지진하중 계산의 적합여부 및 앵커볼트 설치의 적합 여부 o제어반 제품의 하중이 450N 이하이고 내력벽 또는 기둥에 설치하는 경우, 직경 8㎜ 이상의 고정용 볼트로 4개소 이상 고정 여부 o건축물의 구조부재인 내력벽.바닥 또는 기둥 등에 고정 여부 및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 지진하중에 의한 전도방지 여부 o제어반 등이 지진발생 시 기능유지 여부 | | 12 | 유수검지장치 o유수검지장치가 설치된 경우 지진발생시 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연 결부위가 파손되지 않도록 조치 여부 | | 13 | 소화전함 o지진시 파손 및 변형 발생 및 개폐에 장애 발생 여부 o건축물의 구조부재인 내력벽.바닥 또는 기둥 등에 고정여부 및 바닥 에 설치하는 경우 지진하중에 의한 전도방지 여부 o소화전함 수평지진하중 계산의 적합성, 앵커볼트 설치의 적합 여부 o소화전함이 제품의 하중이 450N 이하이고 내력벽 또는 기둥에 설치하는 경우, 직경 8㎜ 이상의 고정용 볼트로 4개소 이상 고정 여부 | | 14 | 비상전원 o비상전원 수평지진하중 계산의 적합성, 앵커볼트 설치의 적합 여부 o비상전원 지진발생시 전도되지 않도록 설치 여부 | | 15 | 가스계 및 분말설비 o소화설비의 제어반은 제14조의 기준에 따라 설치 여부 | | 비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34. 비상전원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3쪽 중 1쪽) | 항 목 | 비상전원 종 류 | [ ]비상전원수전설비([ ]전용,[ ]겸용) [ ]자가발전설비([ ]전용 [ ]겸용) [ ]축전지설비([ ]전용 [ ]겸용) [ ]전기저장장치([ ]전용,[ ]겸용) | 수전전압 | ◦수전전압 [ ]22,900V [ ]154,000V [ ]기타: V | 수전용량 | ◦주변압기 용량 3φ kVA, 1φ kVA | 비상전원 출력전압 | ◦전압 구분: [ ]AC [ ]DC ([ ]12V [ ]24V [ ]220V [ ]380V [ ]그 밖의 것: V) | 설 치 실 구 획 | ◦개구부 방화문([ ]적 [ ]부) ◦케이블ㆍ배관 등 관통부([ ]내화충전구조 [ ]그 밖의 것: ) | ◦환기방식([ ]강제 [ ]자연) ◦덕트([ ]방화댐퍼 부착 [ ]내화피복) ◦급ㆍ배기구 구조([ ]적 [ ]부) | 설 치 층 바닥면적등 | ◦설치장소: [ ]옥내 층 [ ]옥상 [ ]옥외 ◦구획실 면적: ㎡ | 설비개요 | ◦비상전원 적용대상 부하용량: kW ◦제조회사명: ◦형식번호: ◦정전검출기(UVR 등) 설치위치: | 자가 발전 설비 | ◦정격출력용량: kVA×역율(0.8) = kW(대상부하용량 대비 %) ◦연료탱크 용량: ℓ(메인탱크 ℓ +서비스탱크 ℓ) ◦연료소비량: ℓ/h ◦운전가능시간: 분 ◦연료종류([ ]경유 [ ]등유 [ ]가스 [ ]그 밖의 것: ) ◦내연기관 냉각방식([ ]공냉 [ ]수냉) | 전기저장 장 치 | ◦정격출력용량: kWh (정격출력 AH ) [기준용량 kWh] | 축전지 설 비 | ◦정격출력용량: AH/셀 × 셀 = AH ◦충전방식([ ]트리클 [ ]부동충전 [ ]그 밖의 것: ) ◦충전장치 용량: VA | 발전기 제어장치 | ◦제어장치의 종류: [ ]일반 [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제어장치 제조자: ◦제어장치 형식번호: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제어장치의 성능 [ ]소방전원보존형 식별 표시 여부 [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동시 공급 및 그 상태의 표시 여부 [ ]발전기 정격용량 초과 시 비상부하 자동차단 및 소방부하 공급 상태 표시 여부 | 소화설비 | [ ]소화기(적응) [ ]이산화탄소소화설비 [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 [ ]그 밖의 것 | 성능시험 결과 | ◦출력전압([ ]적 [ ]부) ◦비상발전기 연료 상태([ ]적 [ ]부) | ◦방화구획([ ]적 [ ]부) ◦소화설비([ ]적 [ ]부) ◦제어장치 성능상태([ ]적 [ ]부) | 비 고 | [ ]내연기관에 따른 펌프를 설치한 경우 내연기관의 기동 및 제어용축전지 ◦출력전압: V ◦정격출력용량: AH/셀 × 셀 = AH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3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비상전원 공통사항 o비상전원 설치장소 - 점검 편의성 적정 여부 - 화재ㆍ침수 등 재해방지환경 적정 여부 - 방화구획 적정 여부 - 비상조명등 설치 적정 여부 o비상전원의 종류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유효작동 시간 적정 여부 o상용전원 전원공급 중단 시 비상전원 자동전환 적정 여부 o비상전원설비 외 다른 설비ㆍ물품의 설치 또는 비치 적정 여부 [ ] 스프링클러설비 o옥내설치 시 급배기설비 설치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출력용량의 적정 여부 o자가발전설비 부하용도, 조건, 표지부착 적정 여부 o비상전원실 출입구 외부 표지판 부착 적정 여부 o비상전원수전설비 설치 시 작동 및 적정 설치 여부 [ ] 비상전원 수전설비 o설치 및 작동 적정 여부 [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o설치 및 작동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용량의 적정 여부 o상용전원 중단시 비상전원 자동전환 적정 여부 [ ] 미분무소화설비 o옥내설치 시 급배기설비 설치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출력용량의 적정 여부 o자가발전설비 부하용도, 조건, 표지부착 적정 여부 o비상전원실 출입구 외부 표지판 부착 적정 여부 [ ] 포소화설 o비상전원수전설비 설치 시 작동 및 적정 설치 여부 | | 비고 | ※ 적용설비의 비상전원에 대하여 해당 항목만 기재한다 | | 210mm×297mm [백상지(80g/㎡)] |
다. 소방설비별 적용 비상전원 (3쪽 중 3쪽) | (비상전원 종류 표기 : ○) 구분 | 유효 작동 시간 (분) | 자가발전설비 | 축전지 설비 | 전기 저장 장치 | 비상 전원 수전 설비 | 소방 전용 | 소방부하겸용 | 소방 전원 보존형 | 기타 | 외장형 | 내장형 (예비 전원) | 옥내소화전설비 | | | | | | | | | | 스프링클러설비 | | | | | | | | |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 | | | | | | | |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 | | | | | | | | | 물분무소화설비 | | | | | | | | | | 미분무소화설비 | | | | | | | | | | 포소화설비 | | | | | | | | | | 이산화탄소소화설비 | | | | | | | | | | 할론소화설비 | | | | | | | | | |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 | | | | | | | | | | 분말소화설비 | | | | | | | | | | 자동화재탐지설비, 시각경보기 | | | | | | | | | | 비상방송설비 | | | | | | | | | | 유도등설비 | | | | | | | | | | 비상조명등 | | | | | | | | | | 거실제연설비 | | | | | | | | | |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의 제연설비 | | | | | | | | | | 연결송수관설비 | | | | | | | | | | 비상콘센트설비 | | | | | | | | | | 기타 | | | | | | | | | |
| 비고 | | ※ 비고란은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하고, [ ]란에는 해당 시설에 √ 표를 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35. 비상전원 부하설비 성능시험조사표 | | 항 목 | 부하선정 기 준 | [ ]소방부하 전용 [ ]소방,비상부하 겸용([ ]소방ㆍ비상 합산부하적용, [ ]소방ㆍ비상 부하 중큰부하적용) | 정격출력 | [ ]자가발전설비 ㎾ [ ]전기저장장치 kWh [ ]그 밖의 것 : ㎾/㎾h | 설비개요 | (1)비상전원의 부하별 명칭, 부하용량 집계표 |
| 소방부하 | 용량(㎾) | 수량(EA) | 합계용량(㎾) | | 옥내소화전펌프 | | | | 스프링클러펌프 | | | | 물분무등소화펌프 | | | | 포소화전펌프 | | | | 옥외소화전펌프 | | | | 연결송수관펌프 | | | | 소화용수펌프 | | | | 거실제연팬 | | | | 부속실등제연팬 | | | | 비상콘센트설비 | | | | 비상조명등 | | | | 그 밖의 것 | | | | 계 | | | | 비상부하1) | 용량(㎾) | 수량(EA) | 합계용량(㎾) |
| | | | | | | | 그 밖의 중요부하2) | 용량(㎾) | 수량(EA) | 합계용량(㎾) | | | | | 적용 부하용량 : ㎾ | 1) 비상부하 : 소방관련 법령(고시) 외 타 법령(고시)에서 비상전원 공급이 의무화된 설비의 부하 2) 그 밖의 중요부하 : 건축물 관계인(또는 설계자)의 필요에 의해 비상전원 공급을 반영한 설비의 부하 | 전원배선 | [ ]내화배선 [ ]그밖의것 : | 별첨서류 | ◦비상전원의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일람표 ◦부하선정 기준에 따른 정격출력용량 계산서 ◦자가발전설비의 전원단선결선도 | 비고 | | ※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36. 도로터널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3쪽 중 1쪽) | ■ 터널개요 | 도로터널 구조 | 주소 | 시점 | | 길이(m) | | 종점 | | | ㅇ통행방식 : [ ]일방향 [ ]양방향 ㅇ차로형태 : 차로 | ■ 소방시설 | 소방시설 | 소화 설비 | [ ]소화기구 [ ]옥내소화전설비 [ ]물분무설비 | 경보 설비 | [ ]비상경보설비 [ ]자동화재탐지설비 [ ]비상방송설비 | 소화 활동 설비 | [ ]제연설비 [ ]무선통신보조설비 [ ]연결송수관설비 [ ]비상콘센트설비 | 비상 전원 설비 | [ ]무정전 전원설비 [ ]비상발전설비 | 피난시설 | [ ]비상조명등 [ ]유도등 | ■ 제연설비 | 설계화재강도 | [ ]20 MW (연기발생률 80m/s2) [ ]기타 | 제연방식 | [ ]종류환기방식 [ ]횡류환기방식 [ ]반횡류환기방식 [ ]그 밖의 것 : | 송풍기 | 전 동 기 | [ ] 제트팬용 ㎾ [ ] 배출기용 ㎾ | 풍량, 정압 | [ ] 제트팬용 ㎥/min, ㎜Aq [ ] 배출기용 ㎥/min, ㎜Aq | 기동장치 | [ ]자동(감지기 연동) [ ]수동 [ ]원격조정 | 비 고 | *화재강도 20MW 초과시 위험도분석프로그램 제출 | | ※ (참고) 국토교통부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 터널등급 | [ ]1등급 [ ]2등급 [ ]3등급 [ ]4등급 | 방재시설 | 경보 설비 | [ ]긴급전화 [ ]CCTV [ ]유고감지설비 [ ]재방송설비 [ ]정보표시판 [ ]진입차단설비 | 피난대피시설 | [ ]피난연결통로방식 [ ]피난대피 터널방식 [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 [ ]비상주차대 피난대피시설 설치 간격 및 개수 : / 비상주차대 간격 및 개수 :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3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6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소화기 (제4조) o설치수량(능력단위), 설치 위치 및 적응성 적정 여부 o개별 소화기 총중량 적정(7kg 이하) 여부 o설치 높이 적정 여부 o표시판 부착 적정 여부 o수동식 분말소화기 내용연수 적정 여부 | | 2 | 옥내소화전설비 (제5조) o소화전함과 방수구 설치간격 및 방법 적정 여부 o수원의 저수량 적정 여부 o가압송수장치의 방수압 및 방수량 적정 여부 o예비펌프 설치 여부 및 용량 적정 여부(펌프방식의 경우) o방수구 구경, 형태 및 설치 높이 적정 여부 o소화전함 내 설치 및 비치 품목 적정(방수구 1개, 15m 이상 호스 3본 이상, 방수노즐) 여부 o비상전원 용량 적정 여부 | | 3 | 물분무소화설비 (제5조의2) o물분무 헤드의 방수량 적정 여부 o방수구역 설정 및 수원의 저수량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용량 적정 여부 | | 4 | 비상경보설비 (제6조) o발신기 설치간격, 방법, 높이 적정 여부 o음향장치의 설치위치, 음량 및 경보방식 적정 여부 o시각경보기의 설치 위치, 방법, 작동방식 적정 여부 | | 5 | 자동화재탐지설비 (제7조) o감지기 종류 및 설치방법 적정 여부 o경계구역 길이 적정 여부(감지기와 다른 소방시설 등이 연동되는 경우 포함) o발신기 설치간격, 방법, 높이 적정 여부 o음향장치의 설치위치, 음량 및 경보방식 적정 여부 o시각경보기의 설치 위치, 방법, 작동방식 적정 여부 | | 6 | 비상조명등 (제8조) o터널안 차도 및 보도의 바닥면과 그 외 지점에서의 조도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자동 전환 여부 및 용량 적정 여부 o내장형 예비전원 상태 및 상용전원 공급에 의한 상시 충전상태 적정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603)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7 | 제연설비 (제9조) o설계 적정(설계화재강도, 연기발생률 및 배출용량) 여부 o위험도분석을 통한 설계화재강도 설정 적정 여부 (화재강도가 설계화재강도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될 경우) o예비용 제트팬 설치 여부(종류환기방식의 경우) o배연용 팬의 내열성 적정 여부((반)횡류환기방식 및 대배기구 방식의 경우) o개폐용 전동모터의 정전 등 전원차단시 조작상태 적정 여부 (대배기구 방식의 경우) o화재에 노출 우려가 있는 제연설비, 전원공급선 및 전원공급장치 등의 250℃ 온도에서 60분 이상 운전 가능 여부 o제연설비 기동방식(자동 및 수동) 적정 여부 o제연설비 비상전원 용량 적정 여부 | | 8 | 연결송수관설비 (제10조) o방수압력 및 방수량의 적정 여부 o방수구 및 방수기구함 설치 위치 적정 여부 o방수구함 설치 및 비치품목 적정 여부 (15m이상 호스 3본 이상, 방수노즐) | | 9 | 무선통신보조설비 (제11조) o무선기기 접속단자의 설치위치 적정 여부 o라디오 재방송설비와 무선통신보조설비 겸용 여부(라디오 재방송설비가 설치된 터널의 경우) | | 10 | 비상콘센트설비 (제12조) o전원회로 방식 및 공급용량 적정 여부 o전용 전원회로 사용 여부 o콘센트별 배선용 차단기 설치, 차단기 규격(KS) 적정 및 충전부 노출 방지 여부 o콘센트 설치 위치 및 설치 높이 적정 여부 | | 비고 | | | 1. 수동식 분말소화기는 성능확인을 받은 경우 1회에 한하여 3년 연장 가능 [소방용품의 품질관리 등에 관한 규칙(행정안전부령)] (시행‘17.2.15.) 2. 도로터널에 설치하는 소방시설에 대한 성능시험은 본 양식과 각 소방시설 성능시험조사표를 작성하여 첨부한다. 3.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37. 고층건축물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개요 (2쪽 중 1쪽) | 항 목 | 건축물 높이 및 대상 동수 | [ ] 30층 이상 ◦ 대상 동수 : | [ ] 50층 이상 ◦ 대상 동수 : | 옥내소화전 설비 | 수원 | ◦ 유효수량 : ㎥ [ ] 전용 [ ] 겸용 | 옥상수조 | [ ] 전용 [ ] 겸용 ◦ 유효수량 : ㎥ | 설치제외 | [ ] 고가수조 설치 [ ] 수원이 최상층 방수구보다 높은 위치 | 가압송수장치 | ◦ 펌 프 : [ ]전용 ◦ 예비 펌프 : [ ] | 배관 | 급수배관 | [ ] 전 용 [ ] 연결송수관과 겸용 | 수직배관 | ◦ 설치개수 : 개 | 스프링클러설비 | 수원 | ◦ 유효수량 : ㎥ [ ] 전용 [ ] 겸용 | 옥상수조 | [ ] 전용 [ ] 겸용 ◦ 유효수량 : ㎥ | 설치제외 | [ ] 고가수조 설치 [ ] 수원이 최상층 헤드보다 높은 위치 | 가압송수장치 | ◦ 펌 프 : [ ] 전용 ◦ 예비 펌프 : [ ] | 배관 | 급수배관 | [ ] 전 용 | ◦ 수직배관 설치개수 : 개 ◦ 유수검지장치 : 개 | 비상방송설비 | 음향장치 | [ ] 우선 경보기능 | 자동화재탐지 설비 | 감지기 | [ ] 아날로그 방식 [ ] 기타 | 음향장치 | [ ] 우선 경보기능 | 통신.신호배선 | [ ] 이중배선 [ ] 단선 시 고장표시 | 피난안전구역의 소방시설 | 제연설비 | ◦ 1면 이상 외기에 면하는지 여부 [ ] | ◦ 피난안전구역과 비제연구역간의 차압 : pa | 피난유도선 | ◦ 설치 위치 : [ ] 복도 [ ] 계단실 [ ] 광원점등방식 ◦ 작동가능시간 : [ ] 60분이상 | 비상조명등 | ◦ 조도 : | 휴대용 비상조명등 | 설치 개수 | | 건전지 용량 | [ ] 40분 이상 [ ] 60분 이상 | 인명구조기구 | ◦ 방열복 : 개 ◦ 방화복 : 개 ◦ 인공소생기 : 개 ◦ 공기호흡기 : 개(사용시간 : 분용 / 예비용기 : 개) | 연결송수관설비 | 배 관 | [ ] 전 용 [ ] 겸용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2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NFSC 604)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옥내소화전설비 (제5조) o주된 수원의 저수량 적정 여부 o보조수원(옥상수원)의 저수량 적정 여부 o전용 가압송수장치 설치 및 주펌프와 동등 이상의 예비펌프 설치 여부 o비상전원 용량 적정 여부 o전용 급수배관 설치 여부 o겸용 설비 성능 적정 여부(연결송수관설비와 겸용하는 경우) o주배관 중 수직배관 2개 이상 설치 여부 및 작동상태 적정 여부(50층 이상인 경우) | | 2 | 스프링클러설비 (제6조) o주된 수원의 저수량 적정 여부 o보조수원(옥상수원)의 저수량 적정 여부 o전용 가압송수장치 설치 및 주펌프와 동등 이상의 예비펌프 설치 여부 o비상전원 용량 적정 여부 o전용 급수배관 설치 여부 o주배관 중 수직배관 2개 이상 설치, 개별 유수검지장치 설치 및 작동상태 적정 여부(50층 이상인 경우) o헤드에 소화용수 양방향 공급 및 수리계산에 의한 설계 여부(50층 이상인 경우) o음향장치 우선 경보기능 적정 여부 | | 3 | 비상방송설비 (제7조) o음향장치 우선 경보기능 적정 여부 o축전지 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 적정 설치 여부 및 용량 적정 여부 | | 4 | 자동화재탐지설비 (제8조) o아날로그 방식의 감지기 설치 적정 여부 o아날로그 방식 외의 감지기 설치시 적정 여부(공동주택에 한함) o수신기에서 감지기 작동 및 설치지점 확인가능 여부 o음향장치 우선 경보기능 적정 여부 o통신.신호배선의 이중배선 설치여부 및 단선시 고장표시, 정상작동 여부(50층 이상인 경우) o축전지 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 적정설치 및 용량 적정 여부 | | 5 |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제9조) o제연설비의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용량 적정 여부 | | 6 | 피난안전구역의 소방시설 (제10조) o피난안전구역과 비제연구역간 차압 적정 여부 o피난유도선 설치위치, 피난유도 표시부의 너비, 종류 및 용량 적정 여부 o비상조명등 조도 적정 여부 o휴대용 비상조명등 설치개수, 건전지 및 충전식 건전지의 용량 적정 여부 o인명구조기구 설치개수, 설치장소, 표지판 설치 적정 여부 | | 7 | 연결송수관설비 (제11조) o전용배관 사용 여부 및 옥내소화전설비의 배관과 겸용시 주배관 구경의 적정 여부 | | 비고 | | | 1. 고층건물에 설치하는 소방시설에 대한 성능시험은 본 양식과 각 소방시설 성능시험조사표를 작성하여 첨부한다. 2.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38.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성능시험 조사표 | 가. 건축물 관리현황 (2쪽 중 1쪽) | ※ 관리주체가 하나인 여러개의 대상은 각각 작성할 것 | 건물현황 | 주소(도로명) | 건물용도 층수 동 연면적 ㎡ | [ ] 초고층건축물(초고층건축물+지하연계 복합건축물) [ ]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 건축허가일 | | 수용인원(지하연계 복합건축물만 해당) | | 피난안전구역 | 설치기준 | [ ]초고층건축물 [ ]30층 이상 49층 이하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 ]16층 이상 29층 이하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 ]초고층 건축물등의 지하층이 문화 및 집회시설 및 판매ㆍ운수ㆍ업무시설 등으로 사용 | 위치 / 면적 | 층중 층 / ㎡ | 법정여부 | [ ]법정, [ ]비법정 | 선 큰 | 설치여부 | [ ]있음, [ ]없음 | 법정여부 | [ ]법정, [ ]비법정 | 설비현황 | 차수판 | [ ]있음, [ ]없음 | 집수정(물저장고) | [ ]있음, [ ]없음 | 역류방지기 | [ ]있음, [ ]없음 | 제연설비 | [ ]있음, [ ]없음 | 종합방재실 | 위치 / 면적 | 층중 층 / ㎡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설치시설 조사표 (2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피난안전구역 [소방시설 등] o자동제세동기 등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응급장비 설치 여부 o피난안전구역 위층의 재실자수의 10분의 1 이상 수량의 방독면 확보 여부 o지하연계 복합건축물에 설치된 피난안전구역의 경우 설치된 층의 수용인원의 10분의 1 이상 수량의 방독면 설치 여부 o소화기구, 옥내소화전, 스프링클러설비 설치 여부 o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 여부 o방열복, 공기호흡기(보조마스크 포함), 인공소생기, 피난유도선(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직통계단 및 특별피난계단 포함), 유도등, 유도표지, 비상조명등 및 휴대용비상조명등 설치 여부 o제연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설치 여부 | | 2 | 선큰 o선큰 면적의 적정 여부 o직통계단 혹은 경사로 폭의 적정 여부 o선큰과 거실을 연결하는 출입문 너비의 적정 여부 o침수방지를 위하여 차수판, 집수정(물저장고), 역류방지기 설치 여부 o선큰과 거실에 접하는 부분에 제연설비 설치 여부 | | 3 | 종합방재실 o종합방재실 1개소(100층이상 2개소)설치 여부 o종방방재실 위치의 적정 여부 o종합방재실 방화구획 여부 o종합방재실 면적의 적정 여부 o대기 및 휴식을 위한 방화구획된 부속실 설치 여부 o출입문에 출입 제한 및 통제 장치 설치 여부 o조명설비(예비전원 포함) 설치 여부 o급수. 배수설비 설치 여부 o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의 공급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환하는 설비 설치 여부 o급기ㆍ배기설비 설치 여부 o냉방ㆍ난방설비 설치 여부 o전력공급 상황 확인 시스템 구축 여부 o공기조화. 냉난방. 소방. 승강기 설비의 감시 및 제어시스템 구축 여부 o자료 저장시스템 구축 여부 o지진계 및 풍향.풍속계(초고층 건축물에 한정) 설치 여부 o소화장비 보관함 및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설치 여부 o피난안전구역, 피난용 승강기 승강장 및 테러 등의 감시와 방범. 보안을 위한 폐쇄회로텔레비젼(CCTV) 설치 여부 | | 비고 | | | 1. 초고층 및 지하연계 건축물에 설치하는 소방시설에 대한 성능시험은 본 양식과 각 소방시설 성능시험조사표를 작성하여 첨부한다. 2.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39. 위험물 제조소등 성능시험조사표 | 가. 설치상태 개요 (3쪽 중 1쪽) | 항 목 | 건축물등 | 연면적(㎡) | 층수(지상/지하) | 높이(m) | | | | 지정수량의 배수 | | 위험물 유별 (품명) | 유별 | 품명 | 유별 | 품명 | [ ]1류위험물 | | [ ]2류위험물 | | [ ]3류위험물 | | [ ]4류위험물 | | [ ]5류위험물 | | [ ]6류위험물 | | 액 표면적 (㎡) | [ ]옥외탱크저장소 | [ ]옥내탱크저장소 | [ ]암반탱크저장소 | | | | 소화난이도 등급 | [ ]Ⅰ등급 [ ]Ⅱ등급 [ ]Ⅲ등급 | [ ]제조소 | [ ]일반취급소 | [ ]주유취급소 | [ ]판매취급소 | [ ]옥내저장소 | [ ]옥내탱크저장소 | [ ]옥외저장소 | [ ]옥외탱크저장소 | [ ]암반탱크저장소 | [ ]이송취급소 | 소화설비 | [ ]옥내소화전설비 | [ ]옥외소화전설비 | [ ]스프링클러설비 | [ ]물분무소화설비 | [ ]이동식 포소화설비 | [ ]고정식 포소화설비 | [ ]분말소화설비 | [ ]불활성기체소화설비 | [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 [ ]소형수동식소화기 | [ ]대형수동식소화기 | [ ]기타: | 경보설비 | [ ]자동화재탐지설비 | [ ]비상경보설비 | [ ]확성장치 | [ ]비상방송설비 | [ ]기타: | | 피난설비 | [ ]피난구유도등 | [ ]거실통로유도등 | [ ]복도통로유도등 | [ ]계단통로유도등 | [ ]기타: | | 비고 | ※ 건축물은 위험물시설로 허가받은 단위가 동(棟) 단위 일때를 말하며, 건축물 내부의 별도 실(室) 단위로 허가받은 대상은 해당 실(室)의 연면적, 높이를 말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나. 성능 및 점검항목 (3쪽 중 2쪽) | 번호 | 점 검 항 목 (위험물안전관리법시행규칙 별표17)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소화설비(공통) [소화난이도등급Ⅰ] o위험물제조소등의 소화설비 적응성 적정 여부 o소화설비의 방사범위를 적정하게 설치 여부 o고인화점위험물 100℃미만 온도취급 시 제조소, 일반취급소에 소화기 적정설치 여부(수량, 능력단위) o가연성증기, 가연성미분 체류 우려 있는 곳에 소화기 적정설치 여부 o제4류 위험물 저장, 취급하는 옥외탱크저장소, 옥내탱크저장소 소화기 적정 설치 여부 [소화난이도등급Ⅱ,Ⅲ] o위험물 제조소등의 소화설비 적응성 및 소화기 적정 설치 여부 | | 2 | [ ]옥내소화전설비 o층마다 설치 및 수평거리의 적정 설치 여부 o수원 수량의 적정 설치 여부 o방수압력, 방수량의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적정 설치 여부 [ ]옥외소화전설비 o수평거리, 설치수량의 적정 설치 여부 o수원 수량의 적정설치 여부 o방수압력, 방수량의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적정설치 여부 [ ]스프링클러설비 o스프링클러헤드 설치 장소, 수평거리의 적정 여부 o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 방사구역의 적정 여부 o수원 수량의 적정 설치 여부 o방수압력, 방수량의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적정 설치 여부 [ ]물분무소화설비 o분무헤드 수량, 설치기준 적정 설치 여부 o방사구역의 적정 여부 o수원 수량의 적정 설치 여부 o방수압력, 방수량의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적정 설치 여부 [ ]포소화설비 o고정식 포소화설비의 포방출구 개수의 적정 설치 여부 o이동식 포소화설비의 포소화전 개수의 적정 설치 여부 o수원 및 포소화약제의 수량의 적정 설치 여부 o비상전원 적정 설치 여부 | | 210mm×297mm [백상지(80g/㎡)] |
(3쪽 중 3쪽) | 번호 | 점 검 항 목 (위험물안전관리법시행규칙 별표17)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2 | [ ]불활성기체소화설비 o전역방출방식 분사헤드 개수의 적정 설치 여부 o국소방출방식 분사헤드 개수의 적정 설치 여부 o이동식의 경우 방호대상물에서 호스접결구까지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소화약제 설치량의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적정설치 여부(전역 및 국소방출방식) [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o전역방출방식 분사헤드 개수의 적정 설치 여부 o국소방출방식 분사헤드 개수의 적정 설치 여부 o이동식의 경우 방호대상물에서 호스접결구까지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소화약제 설치량의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적정설치 여부(전역 및 국소방출방식) [ ]분말소화설비 o전역방출방식 분사헤드 개수의 적정 설치 여부 o국소방출방식 분사헤드 개수의 적정 설치 여부 o이동식의 경우 방호대상물에서 호스접결구까지 수평거리 적정 여부 o소화약제 설치량의 적정 여부 o비상전원 적정설치 여부(전역 및 국소방출방식) [ ]소화기 o전기설비에 소형수동식소화기 설치 여부 o소요단위, 능력단위의 적정 여부 | | 3 | [ ]자동화재탐지설비 o건축물 등의 층별 경계구역의 적정 설치 여부 o건축물 등의 면적별 경계구역의 적정 설치 여부 o감지기 설치의 적정 설치 여부 o비상전원 적정 설치 여부 | | 4 | [ ]피난설비 o주유취급소 유도등의 적정 설치 여부 o옥내주유취급소 유도등의 적정 설치 여부 o비상전원 설치 여부 | | 비고 | | 1. 위험물 제조소등에 설치하는 소방시설에 대한 성능시험은 본 양식과 각 소방시설 성능시험조사표를 작성하여 첨부한다. 2. “가”의 설치상태개요의 [ ]란에는 해당 부분에 √ 표를 한다. “나”의 성능 및 점검항목의 비고란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ㆍ용도 및 소방시설의 상황 등이 이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40. 방염 및 형식승인ㆍ성능인증 확인표 | 가. 설치상태개요 (7쪽 중 1쪽) | 항 목 | 방염물품 | [ ]설치(층 : ) | [ ]미설치 | [ ]근린생활시설 [ ]체력단련장, [ ]의원, [ ]공연장 및 종교집회장 | [ ]건축물의 옥내에 있는 시설 [ ] 문화 및 집회시설, [ ] 종교시설, [ ]운동시설(수영장 제외) | [ ]의료시설 | [ ]교육연구시설 중 합숙소 | [ ]노유자시설 | [ ]숙박이 가능한 수련시설 | [ ]숙박시설 | [ ]방송통신시설 중 방송국 및 촬영소 | [ ]다중이용업소 | [ ]기타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아파트 제외) | 형식승인 및 성능인증 | [ ]형식승인 [ ]성능인증 [ ]해당없음 | 나. 방염물품 사용 조사표 | 종류 | 방염물품 사용장소 | 제조업체 | 제조번호 (두루마리번호 또는 포장상자번호등) 또는 로트번호 | 제조년월 | 사용층 | 호실 | 장소 | 업체명 | 등록번호 | 카페트 | | | | | | | | 커텐 | | | | | | | | 브라인드 | | | | | | | | 암막 | | | | | | | | 무대막 | | | | | | | | 벽지류 | | | | | | | | 합판 | | | | | | | | 목재 | | | | | | | | 섬유판 | | | | | | | | 합성수지판 | | | | | | | | 합성수지시트 | | | | | | | | 소파 | | | | | | | | 의자 | | | | | | | | 기타물품 | | | | | | | | 방염 후처리 | o 허가관서 : o 허가번호 및 일자 o 방염제 제조업체 및 형식승인번호 : o 설치장소 및 면적(㎡) : | 비고 | ※ 소방공사감리 결과보고서 제출(보고) 전에 방염물품을 설치(사용) 한 경우에 작성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다. 형식승인 소방용품 사용 조사표 (7쪽 중 2쪽) | | 연번 | 형식승인 품목 | 제조업체 | 업체명 | 승인번호 | 승인일자 | 1 | 소화기 | 물소화기 | | | | 산알칼리소화기 | | | | 강화액소화기 | | | | 포소화기 | | | | 할로겐화물소화기 | | | | 이산화탄소소화기 | | | | 분말소화기 | | | | 기타소화기 | | | | 2 | 에어로졸식소화용구 | | | | 3 | 투척용소화용구 | | | | 4 | 자동확산소화기 | | | | 5 | 주거용주방 자동소화장치 | | | | 6 | 캐비닛형 자동소화장치 | | | | 7 | 가스ㆍ분말 자동소화장치 | | | | 8 |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 | | | 9 | 소화전 | 옥내 | | | | 옥외 | | | | 10 | 송수구 | | | | 11 | 관창 | 25A | | | | 40A | | | | 65A | | | | 12 | 소방호스 | 25A | | | | 32A | | | | 40A | | | | 65A | | | | 13 | 스프링 클러헤드 | 폐 쇄 형 | 표준반응형(표시온도: ℃) | | | | 특수반응형(표시온도: ℃) | | | | 조기반응형(표시온도: ℃) | | | | 개 방 형 | 표준반응형(표시온도: ℃) | | | | 특수반응형(표시온도: ℃) | | | | 조기반응형(표시온도: ℃) | | | | 측 벽 형 | 표준반응형(표시온도: ℃) | | | | 특수반응형(표시온도: ℃) | | | | 조기반응형(표시온도: ℃) | |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3쪽) | 연번 | 형식승인 품목 | 제조업체 | 업체명 | 승인번호 | 승인일자 | 14 | 기동용수압개폐장치 | | | | 15 | 유수제어밸브 | 유수검지장치 | 습식 | | | | 건식 | | | | 준비작동식 | | | | 일제개방밸브 | | | | 16 | 수신기 | P형수신기 | | | | R형수신기 | | | | GP형수신기 | | | | GR형수신기 | | | | 방폭형 | | | | 방수형 | | | | P형복합식수신기 | | | | R형복합식수신기 | | | | GP형복합식수신기 | | | | GR형복합식수신기 | | | | 간이형수신기 | | | | 17 | 중계기 | | | | 18 | 감지기 | 열 | 차동식스포트형 | | | | 차동식분포형 | | | | 정온식감지선형 | | | | 정온식스포트형 | | | | 보상식스포트형 | | | | 연기 | 이온화식스포트형 | | | | 광전식스포트형 | | | | 광전식분리형 | | | | 공기흡입형 | | | | 불꽃 | 적외선식 | | | | 자외선식 | | | | 적외선ㆍ자외선식 | | | | 영상분석식 | | | | 복합 | 열복합형 | | | | 연복합형 | | | | 불꽃복합형 | | | | 열ㆍ연기 복합형 | | | | 연기ㆍ불꽃 복합형 | | | | 열ㆍ불꽃 복합형 | | | | 열ㆍ연기ㆍ불꽃 복합형 | |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4쪽) | 연번 | 형식승인 품목 | 제조업체 | 업체명 | 승인번호 | 승인일자 | 19 | 발신기 | | | | 20 | 가스관선택밸브 | | | | 21 | 누전경보기 | | | | 22 | 가스누설경보기 | 액화석유가스 | | | | 액화천연가스 | | | | 이소부탄 | | | | 메탄 | | | | 수소 | | | | 일산화탄소 | | | | 기타 | | | | 23 | 음향장치(경종) | | | | 24 | 피난사다리 | 고정식 사다리 | 단일식 | | | | 수납식 | | | | 접는식 | | | | 신축식 | | | | 올림식사다리 | | | | 내림식사다리 | 하향식피난구용내림식 사다리 | | | | 25 | 구조대 | 경사강하식 | | | | 수직강하식 | | | | 26 | 완강기(지지대 포함) | | | | 간이완강기(지지대 포함) | | | | 27 | 공기호흡기(충전기 포함) | | | | 28 | 유도등 | 피난구유도등 | | | | 통로유도승 | 거실 | | | | 복도 | | | | 계단 | | | | 객석유도등 | | | | 복합표시형피난구유도등 | | | | 29 | 비상조명등(예비 전원 내장) | |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5쪽) | 연번 | 형식승인 품목 | 제조업체 | 업체명 | 승인번호 | 승인일자 | 30 | 소화약제 | 포 | | | | 산알카리 | | | | 강화액 | | | | 분말 | | | | 할로겐화합물 | | | | 불활성기체 | | | | 침윤 | | | | 31 | 방염제(방염액, 방염도료, 방염성물질) | | | | 비고 | | 1.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등이 개정되면 형식승인 용품을 반영한다. 2. 비고란은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3. 형식승인 소방용품 수량 산출표를 별도로 첨부한다. | 라. 성능인증 소방용품 사용 조사표 | 연번 | 성능인증 품목 | NFSC (강제○, 해당없음-) | 제조업체 | 업체명 | 인증번호 | 승인일자 | 1 | 가스계소화설비 설계프로그램 | ○ | | | | 2 | 가압수조식가압송수장치 | ○ | | | | 3 | 공기안전매트 | - | | | | 4 | 다수인피난장비 | ○ | | | | 5 | 방수구 | - | | | | 6 | 방열복 | ○ | | | | 7 | 방염제품 | 침구류 | - | | | | 소파 및 의자용 직물 | - | | | | 인조잔디 | - | | | | 의류 | - | | | | 의류용직물 | - | | | | 바닥깔개 | - | | | | 자동차용내장재등 | - | | | | 8 | 분기배관 | 확관형 | ○ | | | | 비확관형 | ○ | | | | 9 | 비상경보설비의 축전지 | - | | | | 10 | 비상문자동개폐장치 | - | |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6쪽) | 연번 | 성능인증 품목 | NFSC (강제○, 해당없음-) | 제조업체 | 업체명 | 인증번호 | 승인일자 | 11 | 비상콘센트설비 | - | | | | 12 | 상업용주방자동소화장치 | - | | | | 13 | 소방용밸브 | 소방용개폐표시형밸브 | - | | | | 소방용릴리프밸브 | - | | | | 소방용푸트밸브 | - | | | | 14 | 소방용스트레이너 | - | | | | 15 | 소방용압력스위치 | - | | | | 16 | 소방용전선 | 내화전선 | ○ | | | | 내열전선 | ○ | | | | 17 | 소방용 합성수지배관 | 1종 배관 등 | ○ | | | | 2종 배관 등 | ○ | | | | 18 | 소방용흡수관 | - | | | | 19 | 소화기 가압용 가스용기 | 용접식 | - | | | | 조임금구식 | - | | | | 20 | 소화설비용 헤드 | 물분무헤드 | - | | | | 살수헤드 | - | | | | 분말헤드 | - | | | | 포헤드 | - | | | | 미분무헤드 | - | | | | 압축공기포헤드 | - | | | | 21 | 소화전함 | ○ | | | | 22 | 스프링클러설비신축배관 | ○ | | | | 23 | 승강식피난기 | ○ | | | | 24 | 시각경보장치 | ○ | | | | 25 | 예비전원 | - | | | | 26 | 자동차압ㆍ과압조절형댐퍼 | ○ | | | | 27 | 자동폐쇄장치 | 출입문용 | ○ | | | | 창문용 | ○ | | | | 28 |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 | ○ | | | | 29 | 지시압력계 | - | | | | 30 | 축광표지 | 축광유도표지 | ○ | | | | 보조축광표지 | ○ | | | | 축광위치표지 | ○ | | | | 210mm×297mm [백상지(80g/㎡)] |
(7쪽 중 7쪽) | 연번 | 성능인증 품목 | NFSC (강제○, 해당없음-) | 제조업체 | 업체명 | 인증번호 | 승인일자 | 31 | 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 | | | | 32 | 탐지부 | - | | | | 33 | 포소화약제 혼합장치등 | 포소화약제 혼합장치 (푸로포셔너방식) | 펌프 | ○ | | | | 프레져 | ○ | | | | 라인 | ○ | | | | 프레져사이드 | ○ | | | | 압축공기포 혼합장치 | ○ | | | | 34 | 표시등 | ○ | | | | 35 | 플랩댐퍼 | ○ | | | | 36 | 피난유도선 | 축광식 | ○ | | | | 광원점등식 | ○ | | | | 비고 | | 1. 화재안전기준 등 관계법령이 개정되면 성능인증 소방용품을 반영 한다. 2. 비고란은 표의 항목대로 기재하기 곤란하거나 이 표에서 누락된 사항을 기재한다. 3. 성능인증 소방용품 수량 산출표를 별도로 첨부한다. | 210mm×297mm [백상지(80g/㎡)] |
41. 기타 사항(방화ㆍ피난시설 등) | 가. 설치개요 | 항 목 | [ ]피난계단 | [ ]특별피난계단 | [ ]피난계단 | [ ]방화구획 | [ ]자동방화셔터 | [ ]방화문 | [ ]방화댐퍼 | [ ]배관 관통부 내화충전 | [ ]소방자동차 전용구역 | [ ]아파트(세대수 100세대 이상), [ ]기숙사(3층 이상) | 나. 점검사항 | 번호 | 점 검 항 목 | 결과 (양호○, 불량×, 해당없음/) | 1 | 방화문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으로 통하는 출입구 방화문) o화재로 인한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인지 여부 o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인지 여부 | | 2 | 자동방화셔터 o연기감지기에 의한 일부폐쇄와 열감지기에 의한 완전폐쇄 작동여부 | | 3 | 소방자동차 전용구역 o공동주택(아파트, 기숙사)에 소방자동차 전용구역 설치 적정 여부 | | 비고 | | 210mm×297mm [백상지(80g/㎡)] |
[ 출처: 법제처 ]
|